심근경색 pbl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상세정보

소개글

"심근경색 pbl"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례 개요
1.1. 환자 정보
1.2. 입원 경과
1.3. 주요 증상 및 검사 결과

2. 심근경색증의 이해
2.1. 정의 및 분류
2.2. 병태생리 및 위험요인
2.3. 임상증상
2.4. 진단검사

3. 환자 관리
3.1. 약물치료
3.2. 비약물치료
3.3. 예방 및 간호

4. 검사 결과 분석
4.1. 일반혈액검사
4.2. 혈청화학검사
4.3. 전해질검사
4.4. 혈액응고검사
4.5. 면역혈청검사
4.6. 혈액 가스 분석 검사
4.7. 영상의학검사

5. 간호과정
5.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5.2. 항응고제 사용과 관련된 출혈 위험성
5.3.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5.4. 호흡기계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5.5. 심근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5.6. 높은 혈당수치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5.7.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례 개요
1.1. 환자 정보

환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조○○씨는 61세 남환으로 2021년 12월 9일 chest pain, dyspnea를 주호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NSTEMI 진단을 받고 CCU에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으로는 2000년부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었으며 가족력은 없었다. 흡연력과 음주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CABG 수술 후 현재 Isoket 50mg + 5% DW 200ml mixed fluid(15)ml/hr, heparin 2만 unit+ 5% DW 500ml mixed fluid (20)ml/hr 로 치료 중이다.


1.2. 입원 경과

입원 경과는 다음과 같다"

서ㅇㅇ씨는 2021년 12월 9일 chest pain, dyspnea를 주호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NSTEMI 진단을 받고 CCU에 입원하였다. 2000년부터 HTN, DM, hyperlipidemia 진단을 받았으며 가족력은 없고, 흡연력과 음주력이 있었다. CABG 수술을 받은 후 Isoket 50mg + 5% DW 200ml mixed fluid(15)ml/hr, heparin 2만 unit+ 5% DW 500ml mixed fluid (20)ml/hr로 주입되고 있었다.

Lab 결과 Troponin-T 1320ng/L(▲), CK-MB 10.13ng/mL(▲), pro BNP 9652pq/mL(▲), CRP 11.07mg/dL로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CABG 수술 후 chest bottle 내로 bloody하게 배액되고 있었고 열감, chilling, shivering 증상이 관찰되었다.

12월 20일에는 Troponin-T 537ng/L(▲), CK-MB 8.47ng/mL(▲), CRP 134.88mg/dL(▲)로 증가하였고 BT가 37.8도로 측정되어 ice bag을 적용하였다. BST는 251이었다. 12월 21일에는 V/S이 T/P/R= 38.1도- 92회/분- 20회/분, BP=148/66mmHg, SpO2 = 94%로 측정되었고 tridol 100mg/2ml/amp*1, astrix 100mg/cap을 처방받았다. Rt PICC부위에 redness, oozing, heating sense를 관찰하였다.

이후 대상자는 열감, 어지러움증 등의 증상을 보였으며 수술 부위와 PICC 삽입 부위의 출혈과 감염 증상이 지속되었다. 혈액검사 결과 Troponin-T, CK-MB, CRP 수치가 계속 높게 측정되었다.


1.3. 주요 증상 및 검사 결과

대상자는 61세 남성으로 2021년 12월 9일 chest pain, dyspnea를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NSTEMI 진단을 받고 CCU에 입원하였다.

대상자는 2000년부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진단받았으며 가족력은 없고 흡연과 음주력이 있다.

입원 당시 대상자는 CABG 수술을 받고 있었으며, chest bottle 을 통해 bloody한 배액이 관찰되었고 열감, chilling, shivering 증상을 보였다.

검사 결과에서 Troponin-T 1320ng/L(▲), CK-MB 10.13ng/mL(▲), pro BNP 9652pq/mL(▲), CRP 11.07mg/dL로 심근손상이 확인되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36.9도- 84회/분- 20회/분, BP=140/73mmHg였으며 수술부위 통증을 NRS 3점으로 호소하였다. 전신 mild edema가 관찰되어 dobutamine 3mcg/kg/min으로 투여하였고, 후에 BT 가 37.8도로 증가하여 ice bag을 적용하였다.

이후 검사 결과에서 Troponin-T 537ng/L(▲), CK-MB 8.47ng/mL(▲), CRP 134.88mg/dL(▲)로 지속적인 상승 소견을 보였고, 활력징후도 T/P/R= 38.1도- 92회/분- 20회/분, BP=148/66mmHg, SpO2 = 94%로 악화되었다.


2. 심근경색증의 이해
2.1. 정의 및 분류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급성폐색으로 인해 심근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한 정도에 따라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subendocardial infarction, 심내막하경색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ST절 상승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쇄되어 심근경색이 발생한 경우이며,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불안정 협심증으로 시작되다가 심근경색으로 진행된 경우이다.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은 ST절 상승 심근경색증보다 예후가 좋은 편이다.


2.2. 병태생리 및 위험요인

심장 근육은 관상동맥이라 부르는 3가닥의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일생 동안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따라서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 근육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다""라고 볼 수 있다.

심근경색증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흡연, 고혈압, 당뇨병, 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다. 고령은 관상동맥 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나이가 들수록 관상동맥 내막이 두꺼워지고 동맥의 탄력성이 감소하며, 죽상경화반의 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흡연은 죽상경화증을 가속화시키고 혈액 응고를 촉진하여 심근경색증의 위험을 높인다. 고혈압은 심장에 부담을 주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을 높이며, 당뇨병은 혈관의 내피세포 기능을 손상시켜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가속화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유전적 소인으로 인해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비만과 운동부족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위험인자를 증가시켜 간접적으로 심근경색증 발생 위험을 높인다""고 할 수 있다.


2.3. 임상증상

대부분의 경우 갑자기 가슴이 아프다고 호소한다. 대개 '가슴을 쥐어짠다', '가슴이 쎄한 느낌이 든다'고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 없이도 '명치가 아프다' 또는 '턱끝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비전형적이기는 하지만 흉통 없이 구역, 구토 증상만 있는 경우도 있고, '소화가 안 된다', '속이 쓰리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흉통은 호흡곤란과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왼쪽 어깨 또는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 하 – 현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의료정보
대한내과학회 일반인을 위한 건강정보
약학정보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삼성서울병원 질환 백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