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안녕 헤이즐"을 통해 본 소아암 환자와 가족의 건강문제
1.1. 영화 "안녕 헤이즐" 요약
영화 "안녕 헤이즐"의 여주인공인 헤이즐은 18세의 소녀로, 어릴 때부터 갑상선암이 있었고 폐까지 번져 폐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여 항상 산소통을 들고 다니면서 비강 캐뉼라를 차고 다녔다"" 헤이즐은 13살 때 갑상선암 말기 진단을 받았고, 반복적인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어느 순간부터 소강상태에 빠졌다"" 그러던 중 폐에 물이 차기 시작해 폐부종으로 숨을 쉬기가 힘들었으나 갑자기 항생제가 듣기 시작했고 폐안의 물을 없애기 시작했다"" 환자 대상 의학 실험에 참여하면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1.2.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소아암 질환 고찰
1.2.1. 원인-증상-진단/검사-치료-간호-합병증
갑상선암은 모든 소아암의 약 0.5-3%를 차지하고 있는 드문 질환이다. 갑상선암의 원인은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가족력이 있거나 두경부 방사선 조사에 노출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주된 증상으로는 갑상선 결절, 경부 림프절병증, 연하장애, 성대마비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 미세바늘흡인검사, 초음파, 스캔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외과적 수술을 통한 근치적 절제가 기본이며, 수술 후 방사선요오드치료나 갑상선호르몬 보충요법 등의 보조치료도 시행된다. 간호에서는 수술 전 갑상선기능 정상화, 호르몬 조절, 수술 후 합병증 예방 등이 중요하다. 합병증으로는 부갑상선기능저하증, 되돌이후두신경손상, 폐전이 등이 있다.영화 "안녕 헤이즐"의 주인공 헤이즐은 어릴 때부터 갑상선암과 폐 전이를 겪고 있는 인물이다. 갑상선암은 헤이즐에게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는 만성질환이었으며, 반복적인 수술과 치료에도 불구하고 완치가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헤이즐은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으로 인해 호흡곤란을 겪는 등 질병의 악화로 인한 합병증도 겪고 있었다. 이처럼 소아암 환자인 헤이즐은 갑상선암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합병증 등을 경험하며 힘든 투병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3. 영화 속 소아암 환자와 가족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
1.3.1. 간호진단 도출
영화 속 소아암 환자와 가족에 대한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관련 간호진단이다. 영화 속 주인공 헤이즐은 "우울증은 암 때문에 오는 것이 아니다 죽어가고 있기 때문에 오는 것이다"라며 자신의 우울감을 토로하고 있다. 헤이즐은 밥을 조금만 먹고 집 밖을 나가지 않는 등 우울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우울감 관련"이라는 간호진단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가스교환 장애 관련 간호진단이다. 헤이즐은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손발이 차갑다"고 말하며 폐부종으로 인한 호흡 곤란을 겪고 있다. 또한 계단을 오르내릴 때 숨이 차오르고 어지러워 하는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가스교환 장애 관련"이라는 간호진단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상실감 관련 간호진단이다. 영화에서 연인인 어거스터스가 사망하자 헤이즐은 눈물을 흘리며 극심한 슬픔을 표현한다. 헤이즐은 "통증이 어느정도인지 1부터 10사이에서 고르라고 물어봐요. 지금이 거대하고 끔찍한 10"이라고 말하며 어거스터스의 죽음에 대한 깊은 상실감을 호소한다. 이에 "상실감 관련"이라는 간호진단을 도출할 수 있다.
이처럼 영화 속 소아암 환자 헤이즐과 그의 가족은 우울감, 가스교환 장애, 상실감 등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간호진단을 도출할 수 있다.
1.3.2. 간략한 간호과정: 사정-진단-계획-수행-평가
사정 단계에서는 환자의 주관적 증상과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