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T-BT-NT 융합기술 동향
1.1. IT-BT 융합기술
1.1.1. IT-BT 융합기술의 정의와 범위
1.1.2. IT 기반의 BT
1.1.3. IT 기반으로의 IT-BT
1.2. IT-NT 융합기술
1.2.1. IT-NT 융합기술의 정의와 범위
1.2.2. IT-NT 융합 요소기술
1.3. BT-NT 융합기술
1.3.1. BT-NT 융합기술의 정의와 범위
1.3.2. BT-NT 융합 요소기술
1.4. 국내 IT-BT-NT 산업의 현황 및 경쟁력 수준
2.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기술
2.1.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
2.1.1. 나노입자의 특성 및 장점
2.1.2. 나노입자 제조 방법
2.2. HA-PLGA 나노입자
2.2.1. HA-PLGA 나노입자의 특성
2.2.2. HA-PLGA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IT-BT-NT 융합기술 동향
1.1. IT-BT 융합기술
1.1.1. IT-BT 융합기술의 정의와 범위
IT-BT 융합기술은 기존 정보통신 기술을 생명체 현상과 접목하여, 생물학적인 원리와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IT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는 응용 IT 기술이다. IT 산업과 BT 산업이 융합됨에 따라 시너지 효과가 막대하며, 대용량 컴퓨팅 기술과 집적화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정보 해독 및 신약 개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정보통신 기술 개발이 가능해진다. IT를 BT에 응용하는 대표적인 분야로는 생체 센서, 바이오칩, 생체용 로봇 등이 있으며, BT를 IT에 응용하는 분야로는 생체를 모방하거나 생물질을 이용한 컴퓨터용 칩, 지능형 통신용 로봇 등이 있다.
1.1.2. IT 기반의 BT
IT 기반의 BT란 기존 정보통신기술을 생명체 현상(BT)과 접목하여, 생물학적인 원리와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IT 제품/서비스(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응용분야)를 창출하는 기술이다. IT 기반의 BT 요소기술에는 바이오인포매틱스, 바이오전자, 생체정보인터페이스, 생체정보보호, 바이오컴퓨터 등 5개 분야가 포함된다.
바이오인포매틱스는 유전자나 단백질 정보를 IT 기술을 활용하여 해석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BT 연구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시켜 BT 관련 산업의 획기적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바이오전자는 IT 기술을 기반으로 생체분자와 전자 또는 광학 신호변환 장치를 결합하여 바이오칩과 바이오센서 등을 만드는 기술이다. 생체정보인터페이스는 의사, 감성, 생리상태 등의 인체 정보를 인식 처리하여 인간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생체정보보호는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의 생체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이다. 바이오컴퓨터는 생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컴퓨팅 기술이다.
이러한 IT 기반의 BT 기술들은 기존 IT 산업의 새로운 영역 확장이자 생물학적 원리를 활용한 IT 기술의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바이오인포매틱스는 BT 분야의 한계를 극복하고, 바이오전자와 생체정보인터페이스는 인간 친화적 IT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보호 기술은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IT 기반의 BT 융합기술은 기존 IT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1.1.3. IT 기반으로의 IT-BT
IT 기반으로의 IT-BT는 정보통신 시스템이 인체관련 기술 및 정보를 흡수하여 인간 친화적인 정보통신시스템(IT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IT산업의 발전 방향 중 하나는 인간 친화적인 시스템의 개발이며, IT 기반으로의 IT-BT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한다.
첫째, 휴먼 인터페이스이다. 이는 의사, 감성, 생리상태 등의 인체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여 인간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친화적 정보통신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바이오 정보단말 소자이다. 이는 차세대 인체 장착형 정보통신단말기를 구성하는 ASIC, MEMS 트랜시버, 초소형 음성전달 및 감지 소자 관련 기술 및 산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에 장착할 수 있는 초소형 정보통신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한 정보처리 기술 관련 산업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IT 기반으로의 IT-BT는 인간 친화적인 시스템 개발을 통해 정보통신 기술이 생명체 현상에 보다 밀접하게 융합되어 발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새로운 시장 창출이 기대되고 있다.
1.2. IT-NT 융합기술
1.2.1. IT-NT 융합기술의 정의와 범위
IT-NT 융합기술은 정보통신 기술(IT)과 나노 기술(NT)의 결합을 통해 IT 기술을 고도화하여 새로운 기술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IT·BT·NT 융합기술 [IT/BT/NT Technology] (손에 잡히는 IT 시사용어, 2008.02.01.)
ETRI, “IT-BT 융합기술기획보고서”, 2005.6.21, pp.28-32.
ETRI, “IT-NT 융합기술기획보고서”, 2005.6.20, pp.17-20
성 호 준 (리크루트 개발연구원)논문 유비쿼터스 하에서의 바이오 정보시스템(BT+IT+NT) 융합기술의 조화와 산업화 접근체계 연구
데이코산업연구소(편), 「한국바이오산업연감」, 데이코산업연구소, 2005.
벤처아이, 「바이오 생명공학 : 벤처기업 103 현황」, 벤처아이, 2004.
사단법인 한국바이오벤처협회, 「한국바이오산업총람」, 사단법인 한국바이오벤처협회, 2005.
산업자원부, “대통령주제 바이오산업 발전방안 보고회의 자료”, 2002.
전황수, 허필선, “IT-BT-NT 기술융합에 따른 산업육성전략”, 전자통신연구소 전자통신동향분석,
2006.4, pp.15-24.
전황수, 허필선, “IT-BT-NT 융합기술”, ETRI기획보고서, 2006.1, pp.188-193.
정보통신부, “IT기반 융합기술 발전전략”, 2005.9, p.4.
정상기, 명재진, “생명과학기술의 응용과 기본권 보호적 한계”, 「아산재단연구총서」, 제 139집,2003. p.23-24.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 (권익찬,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Vol. 28, No. 2, 2010 pp. 177~182)
약물전달시스템 기술의 개발동향 (성하수, 최연수,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Vol. 8, No. 2, 2004, pp. 183~191)
약물전달 기술동향 (주예령, 박영준, 한국바이오협회 Issue 115, 2021.06, pp. 1~9)
약물전달시스템의 최신 연구 동향 (곽승화, Bric View 동향리포트 2019-T27, pp. 1~6)
Jeong, Woo Yeup, et al. "Transdermal delivery of Minoxidil using HA-PLGA nanoparticles for the treatment in alopecia." Biomaterials research 23.1 (2019): 16
심상은. "[고분자 특성분석 지상강좌] 고분자 입도 분석 기기 및 원리."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2.5 (2011): 483-491.
조금실, 신진섭, and 김중현. "입자 크기 분석 원리 및 연구 동향." 고분자 과학과 기술 15.2 (2004): 198-208.
이재현. 약물전달에서 나노입자 응용의 최근 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Oct. 2018, doi:10.22800/KISTI.KOSENEXPERT.2018.14.
이준웅, 강상규. 기능성 나노입자 제조기술 연구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Jeong, Woo Yeup, et al. "Transdermal delivery of Minoxidil using HA-PLGA nanoparticles for the treatment in alopecia." Biomaterials research 23.1 (201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