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곤란과 지구력 운동
1.1. 호흡곤란의 정의 및 측정
호흡곤란은 "숨을 쉬기가 곤란한 것"으로 정의된다. 호흡곤란은 "호흡의 주관적 경험으로, 다양한 강도의 질적으로 구별되는 감각들로 구성되며,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얻어지고 2차적인 생리적, 행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더욱 포괄적으로 정의되어 있다.
호흡곤란의 감각 유형은 개인이 다양한 원인의 호흡곤란을 경험할 때 사용하는 서술적인 단어들에 의해 나타난다. 호흡곤란의 평가는 복잡하여 감각의 강도와 질, 그리고 그에 대한 정서적·행동적 반응을 포함한다.
호흡곤란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척도들이 사용된다. 운동 검사 중 Borg 범주 척도와 시각상사척도(VAS)가 호흡곤란을 평가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Borg 척도는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타당하고 재현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반복 검사 시 Borg 평가 점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 호흡곤란 Borg 평가를 비교하면 이러한 잠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VAS를 사용하여 호흡곤란을 평가하는 것 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기능적 능력과 관련된 호흡곤란은 기저 호흡곤란 지수(BDI)와 이행성 호흡곤란 지수(TDI), 그리고 만성 호흡기 질환 설문지(CRDQ)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BDI는 과제의 크기, 노력의 크기, 기능적 제한과 관련된 호흡곤란을, TDI는 각 항목의 변화 정도를 평가한다. CRDQ는 4개 영역(호흡곤란, 정서 기능, 피로, 숙련도)을 평가하여 삶의 질을 측정한다. 이들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확립되어 있다.
1.2. 호흡곤란 발생의 생리적 기전
호흡곤란 발생의 생리적 기전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흡곤란은 호흡근육의 "길이-긴장 불일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근육에서 생성되는 긴장과 그로 인한 길이 변화 사이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이러한 근육의 길이-긴장 불일치가 호흡곤란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졌다.
둘째, 이 이론은 근육뿐만 아닌 다른 구조물로부터의 구심성 피드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Schwartzst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