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 간호진단 omah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대상자 정보 및 건강문제
1.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설정
1.3. 간호계획
1.3.1. 목표설정
1.3.2. 수행계획
1.3.3. 평가계획
1.4. 보건프로그램 계획
1.4.1. 교육주제 및 대상자
1.4.2. 교육내용 및 방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대상자 정보 및 건강문제
장OO씨는 만 68세 남성으로 치매판정을 받았다. 음주, 흡연을 모두 한다. 현재 배우자와 사별 후 혼자 살고 있으며, 집 근처 3분 거리에 아들 내외가 거주 중이다.
2010년도에 대학병원에서 당뇨와 고혈압을 진단받고 약은 아들의 도움으로 꾸준히 복용 중이다. 3년 전 보건소에서 시행한 MMSE 검사 결과 인지 저하 소견이 나와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고 치매로 진단되었다. 과거 약 5년 전 쯤 우울 장애로 입원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
대상자의 집은 다세대 주택의 4층에 위치하며 높은 계단으로 인한 환경 위험요소가 있는 상태이다. 집에서 가만히 아무 활동을 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된다. 불규칙한 식습관으로 올바른 영양섭취가 되지 않고 있으며, 불규칙한 수면 패턴으로 잠을 잘 이루지 못해 수면제를 복용 중이다.
1.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설정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확인한 결과, 총 6가지의 주요 간호진단이 도출되었다. 이를 OMAHA 간호진단체계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 Ⅲ. 생리적 문제(진단): 증상/증후 - 17. 청각 - 기타'에 해당하는 진단으로, 지하 설비실에서 3~5분 간격으로 발생하는 79.3dB 수준의 압축기 가동음이 고주파 소리로 인한 난청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영역 Ⅰ. 환경 - 4. 이웃/직장의 안전 - 7) 물리적인 위험'에 해당하는 진단으로, 시설 유지 보수 시 수공구 사용으로 인한 찍힘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보호구 선정 및 지급 시 인증마크가 없고 지급대장 작성이 되지 않아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참고 자료
스트레칭이 의료기간 사무직 종사자의 근 경직도에 미치는 효과, 고민균, 전영주, 2021.
OO병원 직업환경의학센터 보건관리팅 사업장관리카드.
올바른 자세로 VDT증후군 예방, 고용노동부, 2022.
VDT 증후군 예방 5대 수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