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과거부터 우리의 선조들은 "의·식·주"의 중요성을 말하였다. 이 중 "의"는 남달랐다. 조선시대의 양반만 하더라도 "의"와 관련한 여러 가지 예절, 원칙, 절차 등은 "의"를 통해 자신의 위치에 대한 마음가짐을 달리하게 하였으며 질서에 따라 의복을 차려입음으로써 양반으로서의 체통을 지키기도 했다. 의복에 쓰이는 옷감 역시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얻긴 어려웠다. 특히 비단의 경우에는 비싼 가격으로 인해 양반가에서도 경제력을 갖춘 곳에서만 좋은 비단을 사용할 수 있었다. 평민은 무명옷을 지어 입었는데 저렴한 가격이 무명옷을 선택하게 된 요소로 작용했다. 과거에는 "의"를 통해 신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흑립이나 장옷 등이 구분되기도 했다. 그들에게 "의"는 생활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자 동시에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은 현대에서의 "의"의 위치와도 동일함을 찾을 수 있다.
요즘의 의류 시장은 과거보다 더욱 다양한 소재를 통해 의류를 완성한다. 과거처럼 신분에 따른 의복 차이가 존재하지 않기에 누구나 자신의 필요성에 따라 의복의 소재나 특성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소재를 선택할 때도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하게 되는데 외관의 특성은 물론 내구성이나 쾌적성은 물론 관리의 편의성까지 고루 살펴보게 된다. 이중 '관리의 편의성'에 해당하는 방추성은 구김과 연관된 것으로 방추성에 따라 다림질이나 보관의 주의가 요구되기도 한다. 이에 본 고에서는 "의류 소재 실험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방추성 실험을 통해 섬유가 가지는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신장 탄성 회복률과 방추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섬유의 특성
2.1.1. 면
면은 표준수분율 8%이며 흡습성이 우수하다. 알칼리에 잘 견디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다. 또한 면은 위생적이고 세탁 등 손질이 쉬운 실용적인 섬유로, 속옷을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에 사용된다. 비록 구김이 잘 가는 단점이 있지만, 수지가공으로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 면섬유는 표면이 매끄럽고 다공성이 크며, 세포벽이 비교적 두꺼워 굵고 리브형태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면섬유의 흡습성과 통기성이 우수하다. 면섬유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는 친수성이 높아 수분을 잘 흡수하고 방출하며, 이에 따라 면섬유의 흡수성과 투습성이 뛰어나다. 또한 면섬유는 구김이 잘 가는 단점이 있지만 구김 방지 가공 기술의 발달로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면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면섬유는 속옷, 셔츠, 드레스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1.2. 린넨
린넨은 표준수분율 9%를 가지고 있으며, 흡습성이 우수하다. 열전도성이 좋고 흡수와 건조가 빠르며 습윤강도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초기탄성률이 커서 뻣뻣하고 구김이 잘 생기지만 수지가공을 하거나 폴리에스터와 혼방하여 이러한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린넨의 단면은 다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중심에 작은 중공들이 있는데, 이는 린넨의 우수한 통기성의 이유가 된다. 이러한 린넨의 특성으로 인해 여름철 옷감으로 많이 사용되며, 인체의 분비물을 잘 흡수하여 청결을 유지해주는 장점이 있다.
2.1.3. 모
모는 표준수분율이 16%로 실험편 중 가장 흡습성이 크다. 양모는 스케일과 권축이 발달되어 있어 비눗물에 적셔서 서로 마찰하면 축융성이 생겨 엉켜서 풀리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모의 발수성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또한 초기 탄성률이 작아서 부드러운 텍스처를 갖는 것도 특징이다. 모직물은 보온성이 좋고 위생적이며, 구김이 잘 가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인해 직물이나 편성물에 계절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활용된다. 모는 알칼리에 약하지만 산에는 비교적 잘 견딘다.
2.1.4. 견
견은 표준 수분율이 11%이며 흡습성이 우수하다. 모와 마찬가지로 산에는 비교적 잘 견디지만 알칼리에 약하며, 그 밖의 약품에 대한 성질은 양모와 비슷하다. 견은 내구성이 좋지 못하며 관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우아한 광택과 부드러운 촉감이 특징이며, 드레이프성이 좋아 여성의 드레스를 비롯하여 스카프, 넥타이 등에 널리 이용된다.
2.1.5. 레이온
레이온은 표준 수분율이 12%이며 흡습성이 좋은 편이다. 레이온의 표면은 매끄러우며 정전기가 거의 생기지 않기 때문에 옷의 안감으로 사용되며 광택이 우수하여 커튼, 레이스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습윤강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세탁 견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주로 폴리에스터를 혼방하여 활용한다. 이는 레이온의 강도를 보완하고 폴리에스터의 흡습성과 촉감을 크게 향상시킨다.
2.1.6. 아세테이트
아세테이트는 표준수분율이 6.5%이며, 흡습성은 평균 수준이다. 광택이 견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