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일지
1.1. 초기 실습 목표 및 내용
초기 실습 목표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습생은 장수보건복지센터라는 기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훈련을 이해하고 기관의 분위기를 익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요리활동, 독거노인 도시락 배달, 기관 소개 및 교육 등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실습생은 기관 탐방을 통해 장수보건복지센터가 총 8명의 클라이언트가 거주하는 주거시설이자 사회복귀시설임을 파악하였다. 클라이언트 중 2명은 직업훈련을 통해 자립하였으며, 나머지는 간질, 정신분열증, 지적장애를 가진 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실습생은 이들의 증상과 약물치료 과정을 관찰하며 실제 현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실습생은 도시락 배달 활동에 참여하면서 정신장애인 클라이언트들이 지역사회에 동화되고 일원으로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러한 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초기 실습에서 실습생은 기관 이해, 클라이언트 파악, 주요 사업 경험 등을 목표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사회복지 현장을 경험하고자 하였다.
1.2. 기관 이해 및 클라이언트 파악
장수보건복지센터는 사회복귀시설로서 총 8명의 클라이언트가 거주하고 있다. 클라이언트들은 직업훈련을 통해 자립한 2명을 제외하고는 간질, 정신분열증상 및 지적장애를 가진 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정신분열증 클라이언트의 경우 망상 등 다양한 증상들을 경험하고 있으며, 약물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다.
클라이언트들은 공동생활을 하면서 조금 색다른 모습을 보인다. 약물치료를 위해 매시간 복용하는 약물의 종류와 양이 다르며, 사회복지사가 이를 사전에 기억하고 제공하는 모습을 통해 실제 약물치료의 현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주거시설이라는 점에서 공동생활을 하는 것이 색다르고 생소한 경험이었다.
복지관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자존감 회복과 지역사회 동화를 위해 도시락 배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클라이언트가 직접 요리하고 도시락을 싸서 배달하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신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도 나타났다.
이처럼 장수보건복지센터는 정신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들의 자립과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습생은 이러한 기관의 운영 목적과 특성, 그리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1.3. 복지관 주요 사업 교육 및 실습
복지관 주요 사업 교육 및 실습은 실습생에게 복지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이해하고 실제 참여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실습일지에 따르면 장수보건복지센터의 경우 요리활동을 통한 독거노인 도시락 나눔, 장수지역 독거노인 도시락 배달, 아침마당 프로그램, 정신보건 프로그램, 밀알 노인복지센터 자원봉사활동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실습생은 이를 통해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복귀시설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고, 도시락 배달 활동을 통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체감할 수 있었다. 또한 아침마당 프로그램에서는 정신장애인들이 스스로 하루 일과를 계획하고 서로 소통하는 모습을 관찰하며, 이러한 일상생활 훈련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한편 정신보건 역사에 대한 교육을 통해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 변화 과정과 지역사회 중심의 정신보건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