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도미노 시스템과 근대 건축
1.1. 도미노 구조의 역사적 의미
근대 건축이 추구했던 기계주의의 본질을 내포하고 있으며, 건축이 더 이상 오브제가 아니고 근대적 삶을 기능적으로 담아내는 대량생산화될 수 있는 일종의 기계장치임을 시사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가지는 구축성을 가장 이상적으로 가시화시켰다는 점에서 도미노 구조의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2. 도미노 구조와 서구 건축의 구축성
철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등장하기까지 서구 건축은 가구식 구조와 아치식 구조로 형성되어 왔었다. 그러나 근대 이후 새로운 건축재료와 구법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의 구조 방식들이 그 존재 이유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건축가들은 구조-형태-공간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게 되었고, 도미노 구조는 그러한 시도들의 중요한 결과물이 되었다.
도미노 구조는 표준화되고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는 시공 시스템이다. 모든 하중은 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벽체는 자유롭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이 대량생산 체제와 결합하면서 구조물 속의 모든 부재들은 공장에서 대량생산되어 현장 조립만 하는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르 꼬르뷔제에게 있어서의 표준화는 건축 생산의 중요한 수단이자, 시각적인 것과 통합되어야 할 하나의 목표였으며, 도미노 구조는 그러한 출발점이 되었다.
또한 도미노 구조는 집의 기능과는 완전히 분리된 독립적인 구조 시스템이다. 내부 공간은 칸막이 벽에 의해 자유롭게 구획이 가능하고, 콘크리트의 강력한 조소성으로 인해 다양한 레벨의 바닥판 시공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공간의 유동적인 디자인이 가능해지면서, 건축가에게 공간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하게 되었다.
한편, 도미노 구조는 평면의 그리드, 규준선, 모듈러 등의 개념이 건축화되고 고려되어야 하는 풍부한 조형 개념을 적용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도미노 구조는 단순히 기능적 측면에서의 혁신에 그치지 않고, 건축에 새로운 조형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자면, 도미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