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다큐멘터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큐멘터리 '놀이의 힘' 내용 요약
1.1. 1부 '놀이는 본능이다'
1.2. 2부 '진짜 놀이, 가짜 놀이'
1.3. 3부 '놀이는 경쟁력이다'
2. 다큐멘터리 '놀이의 힘' 영상평
3. 영유아의 놀이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큐멘터리 '놀이의 힘' 내용 요약
1.1. 1부 '놀이는 본능이다'
다큐멘터리 '놀이의 힘' 1부 '놀이는 본능이다'는 현재 대한민국 아동들의 놀이 시간과 학습 시간의 불균형에 대해 말하며 시작한다. 아동들의 평균 여가시간은 49분에 불과한 반면 학습시간은 평균 6시간 49분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의 불균형이 아동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아동들이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면 아동들은 목적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영상에서는 예찬이라는 아동의 사례를 보여주었다. 예찬이는 어렸을 때부터 한국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영어는 잘했다. 양육자는 영어를 집중적으로 가르치면 한국어도 따라올 것이라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 예찬이의 영어실력은 늘지 않았고 한국어 실력도 또래에 비해 뒤처졌다. 또한 적절한 언어적 자극을 받지 못해 조음장애가 발생했고, 정서적 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다. 예찬이는 학교에 가는 것을 무서워하고 힘들어했으며, 사람에 대한 거부 반응까지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예찬이의 모습이 놀이의 부족이 가져온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예찬이는 두 달간 놀이 시간을 가졌고, 그 결과 조음장애가 개선되고 정서적 행동도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이는 놀이가 아동의 뇌 발달에 전인적으로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태어날 때부터 감각기관이 발달하면서 시작되는 놀이는 유아기에 감정과 본능을 담당하는 부분, 만 3세 이후 이성을 담당하는 부분까지 아동의 균형잡힌 뇌 발달을 돕는다.
핀란드의 교육에서는 아동들의 놀이를 실제 교육에 적용하고 있다. 미래의 교사들에게 "아이들에게 어떻게 배우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놀이를 통해 스스로 배울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친다. 국내 청주의 한솔초등학교 또한 놀이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
참고 자료
김조자 외, 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하영수 외, 2018, 아동청소년간호학Ⅰ, 신광출판사.
서울 성동구 육아종합지원센터 (https://ccic.sd.go.kr)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