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버 비효과적 대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영화 활용
1.1. 영화 선정 이유
1.2. 정신건강 이슈 표현 양상
1.2.1. 우울증
1.2.2. 강박장애 및 불안장애
1.3. 치료적 의사소통 방법
2. 우울증 환자의 사례 분석
2.1. 일반적 정보
2.2. 현병력
2.3. 가족력
2.4. 정신상태 검진
2.5. 간호진단
3. 정신건강 관련 간호중재
3.1. 우울증
3.2. 불안장애 및 강박장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영화 활용
1.1. 영화 선정 이유
영화 '비버'를 선정한 이유는 현대사회에서 매년 우울증 진단을 받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우울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 또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 '비버'는 삶에 대한 에너지 상실, 역할장애, 자살 시도와 같은 우울증의 증상을 잘 표현하고 있다. 비버라는 인형을 통해 극복하는 듯하지만, 그 또한 우울증의 심각한 패턴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영화를 통해 우울증에 대한 경각심을 한 번 더 가지고,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해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이 영화를 선택하게 되었다."
1.2. 정신건강 이슈 표현 양상
1.2.1. 우울증
우울증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흔히 발병하는 정신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영화 '비버'에서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주인공 월터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월터는 장난감 회사의 사장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았지만, 갑자기 찾아온 우울증으로 인해 삶의 의욕을 잃게 된다. 우울증으로 인해 월터는 무기력하고 집중력이 떨어져 회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며, 가족들로부터 외면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월터는 극단적인 자살 시도까지 하게 되는데, 10층에서 뛰어내리려 하고 욕실에서 목을 매는 등 자살 시도를 2번이나 하게 된다.
월터의 우울증은 단순히 기분이 저하된 것을 넘어서, 망상과 자동행동 등 정신병적 증상까지 동반하고 있다. 월터는 '비버'라는 인형을 통해서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비버가 하는 말을 따라하며 자신의 행동을 대신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월터의 우울증이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월터의 우울증은 가족관계에서도 큰 문제를 야기한다. 아내는 월터를 이해하고 기다려주려 하지만 지치고 힘들어하며, 아들들은 월터를 부끄러워하고 자신과 닮지 않기를 바란다. 이처럼 월터의 우울증은 가족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불어 월터의 우울증은 사회적 기능 저하로 이어져, 회사에서도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월터는 비버라는 인형에 의지하여 CEO로서의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었지만, 결국에는 그마저도 불가능해지고 만다.
이처럼 영화 '비버'를 통해 우울증이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직장생활 등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우울증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과 사회 전체에 큰 부담을 주는 질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2.2. 강박장애 및 불안장애
영화 '매치스틱 맨'에서 주인공 로이는 오랜기간 사기극을 벌이며 강박장애와 ...
참고 자료
이미형 외, 『정신건강간호학[제6판]』, 현문사, 2019
송경애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2017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2017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