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울혈성 심부전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주관적 자료
2.1.1.1. 개인정보
2.1.1.2. 기본 욕구 사정
2.1.1.3. 현재 건강력 사정
2.1.1.4. 과거 건강력 사정
2.1.2. 객관적 자료
2.1.2.1. 신체 검진
2.1.2.2. 검사소견
2.1.2.3. 의학적 치료계획
2.2. 진행기록
2.3. Problem List
2.4. 간호진단
2.5. 간호과정 적용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부전은 신체 각 기관과 조직에 산소공급이 줄어들 수 있는 심장의 중요한 기능적 장애이다. 미국 인구의 약 480만 인구가 심부전을 앓고 있고 매년 465,000명이 심부전으로 진단되고 있다. 다른 심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심부전 발생률과 이와 관련된 사망률은 1975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매년 25만 명의 인구가 직·간접적으로 심부전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지난 40년간 6배 증가하고 있다. 그만큼이나 내가 실습하고 있는 ㅇㅇ병원 ER 역시 심부전으로 인해 입원하는 환자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심부전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성인간호학 순환기계 파트에서 이미 배우고 나왔지만, 이론적으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실제 실습에서 환자를 접하여 관찰되는 증상, 치료 및 간호, 사용하는 약물 등에 대해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또 내가 배운 이론과 어떻게 같은지, 다른지에 대해 비교하며 공부해보고 싶었기 때문에 case study 하기로 결정하였다.
1.2. 문헌고찰
심부전의 병태생리와 원인에 대한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다.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기능 장애로 인해 신체 각 기관과 조직에 산소공급이 줄어드는 심장의 중요한 기능적 장애이다. 심부전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관상동맥 질환이다. 관상동맥 질환은 심장의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히는 상태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심장은 정상적으로 펌프 기능을 할 수 없다. 또한 고혈압, 심장근육병증, 심장판막질환 등도 심부전의 원인이 된다.""
심부전의 발생기전은 크게 전부하의 증가, 후부하의 증가, 심실 충만 장애, 심근의 수축력 저하 등으로 설명된다. 전부하의 증가는 심장의 확장기 말에 심실의 용적이 최고로 증대되는 현상으로, 대동맥판(AR)과 승모판막의 폐쇄 부전증 등이 대표적이다. 후부하의 증가는 심장이 혈액을 박출해내기 위해 심실이 수축하면서 받는 저항으로, 고혈압과 대동맥판막이나 폐동맥판막 협착증 등이 원인이 된다. 심실 충만 장애는 심박수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신진대사율의 증가, 저산소증, 빈혈 등이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심박동수가 증가하면 심실로의 혈액유입이 방해받게 된다. 심근의 수축력 저하는 허혈성 심질환, 염증성 심질환, 만성적인 심장의 과부담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심부전의 발생기전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교감신경계의 자극,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의 활성화, 신경성호르몬의 반응, 심실 확대와 심실 비대 등이 나타난다.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심박동수와 심근 수축력이 증가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심근의 과부담을 초래하여 심부전을 악화시킨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가 활성화되면 체액 저류와 혈압 상승을 통해 보상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심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신경성호르몬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강력한 혈관수축제와 사이토카인은 심근비대, 수축성 기능부전, 심근세포 괴사를 초래하여 심장기능을 악화시킨다. 또한 심실이 확대되거나 비대해지는 보상기전도 결국에는 심박출량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심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대한 보상기전들이 작용하지만 결국에는 심장의 기능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심부전의 치료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원인 질환의 관리와 함께 보상기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주관적 자료
2.1.1.1. 개인정보
성인간호학실습 ER 사례보고서 - 울혈성 심부전, Heart failure - 간호진단 5 간호과정 2 - 0 - 1. 일반적 사항
환자이름 000 병실 ER→7110호 나이 68 성별 M 입원당시 주호소 진단명 수술명 결혼상태 dyspnea Triage 응급(KTAS 3군) Heart failure, Atrial fibrillation X 수술날짜 X 무응답 직업 사정불가 종교 없음 기혼
환자 000은 68세의 남성 환자로, 결혼 상태이며 직업과 종교는 확인되지 않았다. 환자는 호흡곤란(dyspnea)을 주 호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응급 분류 결과 응급(KTAS 3군) 상황으로...
참고 자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양선희 외 공저, 2020, 「기본간호학」,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 2020, 「핵심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Priscila LeMone 외 공저, 2017,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원종순 외, 2018,「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제2판)」, 현문사
성미혜 외, 2014,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아산병원홈페이지, 진단검사 https://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19
약학정보원 홈페이지. https://www.health.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홈페이지. https://labtestsonline.kr/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6
김근순 외, 성인간호학 ∥, 수문사,
길숙영,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서울대학교의과대학 저, 심장학, 서울대학교출판부(1998.01.01), p123~128
네이버 지식백과, “심부전 [heart failur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윤해영, 이순남 저, ”울혈성 심부전의 병인과 치료”, 이화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38~45p
서울아산병원, “울혈성 심부전”,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