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미생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알츠하이머병
2.1. 원인
2.1.1. 연령의 증가
2.1.2. 외인성 독소
2.1.3. 아밀로이드
2.1.4. 유전적 요인
2.2. 병태생리
2.3. 진단
2.3.1. 유전성 검사
2.3.2. 경증 인지장애 검사
2.3.3. 뇌 부검
2.3.4. 영상검사
2.3.5. 인지기능 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의 보고에 의하면, 2010년 전 세계적으로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환자는 3천5백만 명이 넘으며, 2050년에는 1억 2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한국보건 사회연구소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0년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520만여 명 중에서는 약 9%인 47만 명이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 알츠하이머로 진단받은 후 기억력 감퇴로 시작하여 망상, 성격 변화, 배회, 주위 인지 기능 상실, 언어 기능 마비, 운동 기능 마비까지 일어나며 사망하게 된다. 장기간에 걸친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는 물론 가족 까지 심한 정신적, 물질적 고통을 느끼게 된다.
2. 알츠하이머병
2.1. 원인
2.1.1. 연령의 증가
연령의 증가는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보다 더 빨리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한다. 65세 이상 노인에게서 알츠하이머병이 10-15% 발생하며, 75세 이상에서는 19%, 85세 이상에서는 47%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크게 높아진다. 이는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 인구 비율이 늘어나면서 알츠하이머병 환자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평균수명이 남성보다 길기 때문에 여성에게서 좀 더 많이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의료 접근성 저하도 알츠하이머병 발병률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1.2. 외인성 독소
외인성 독소는 뇌에 독성 작용을 하는 환경적 독소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알루미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신장 투석을 하는 경우 많은 알루미늄이 환자에게 투입되어 점진적인 지적 장애, 언어이상, 간대성 근경련, 비정산적인 뇌파 등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독소물질에 노출되면 뇌에 직접적인 독성 작용을 일으켜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2.1.3. 아밀로이드
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중요한 병인기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1907년 독일의 정신과의사 Alois Alzheimer가 치매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뇌에서 특징적인 신경병리적 소견을 발견한 이후, 아밀로이드 β-단백질(amyloid beta-protein)의 과다생성이 이 병의 기전으로 제시되어왔다.
아밀로이드는 혈관 기형과 관련되는 물질로, 혈관에서 관찰되는 울퉁불퉁한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이 과다 생성되면 혈관과 신경원을 폐쇄시키거나 환자의 뇌에 반점을 형성하게 된다. 아밀로이드 β-단백질은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
참고 자료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외(2014). 성인간호학Ⅱ(7판). 서울: 수문사. 1353~1356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2013). 성인간호학 하(6판). 서울: 현문사. 528~532
강정희, 김은심, 고은 외(2014). 성인간호학 간호사 국가고시 대비 문제집(9판). 서울, 대한 간호협회. 516~523
자종식, 김수경.(2012). 알츠하이머환자와 혈관성 치매환자의 CERAD-K를 통한 인지기능의 비교와 평가도구의 유용성.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6(2).
양진희, 오대영.(2010). 알츠하이머 병과 글루타메이트성 시냅스 단백질의 분자적 질환 기 전. 생물정신의학,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