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생사 실기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피부미용의 정의 및 기능
1.2.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의 필요성
2. 나라별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
2.1. 한국
2.1.1. 자격취득 절차
2.1.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2.2. 일본
2.2.1. 자격취득 절차
2.2.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2.3. 미국
2.3.1. 자격취득 절차
2.3.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2.4. 유럽
2.4.1. 영국
2.4.1.1. 자격취득 절차
2.4.1.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2.4.2. 프랑스
2.4.2.1. 자격취득 절차
2.4.2.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2.4.3. 스위스
2.4.3.1. 자격취득 절차
2.4.3.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3. 결론
3.1. 한국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의 문제점
3.2. 개선사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피부미용의 정의 및 기능
피부미용은 안면 및 전신의 피부에 물리적·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피부의 생리기능을 자극하면서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시키는 미용기술이다. 피부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생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연령이나 계절의 환경, 생활 조건 등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다. 다양한 요인으로 미용 상의 문제를 예방하고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실한 피부를 관리하는 것이 미용술의 피부미용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피부관리사는 피부미용사, 피부관리사, 에스테티션, 뷰티테라피스트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피부미용학, 피부학, 해부생리학, 화장품학, 보건학 등 피부미용을 위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고객의 피부상태를 파악하여 피부가 건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의미한다. 고객관리의 서비스 정신을 바탕으로 하여 직업에 관한 확실한 신념을 가지고 피부 관리를 시행하며,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올바른 관리 및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2008년 10월부터 국가기술자격시험을 실시하여 전문가로 인정되면서 관리가 더욱 집중되었다. 국내의 피부 관리 산업이 국민의 소득수준향상과 더불어 해외정보의 유입, 피부 관리에 관한 인식의 변화, 자기관리 등으로 인하여 서비스 산업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가되는 뷰티 비산업과 연계하면서 맞춤형 바이오 화장품, 피부 관리 전문화장품 등 신 기능성화장품의 개발 등으로 피부미용 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1.2.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의 필요성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는 피부관리업이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전환됨에 따라 피부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전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피부관리는 공중위생분야로서 국민의 보건과 직결되는 중요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를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외모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관리 전문인의 전문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피부관리 전문인력에 대한 자격제도를 마련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가자격제도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전문성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관련 산업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2. 나라별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
2.1. 한국
2.1.1. 자격취득 절차
한국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취득 절차는 다음과 같다. 미용사(종합)자격증이 2008년도부터 미용사(일반)과 미용사(피부)로 분리되어 시행되고 있다. 양성기관으로는 전문대학, 고등기술학교, 전문학원 등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내용으로는 피부미용학, 피부학, 해부생리학, 화장품학, 보건학 등의 과목이 포함된다. 피부미용사의 업무내용은 의료기기나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피부상태 분석, 피부관리, 제모, 눈썹 손질 등이다.
2.1.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
한국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제도에서 '2.1.2. 교육내용 및 업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피부미용 자격증은 피부미용학, 피부학 및 해부생리학, 피부미용기기학, 화장품학, 공중위생관리학 등 총 5과목의...
참고 자료
“미용사(피부)”, 큐넷 검색결과, 2021-12-01 검색.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
“외국의 미용사 자격제도는 어떨까?”, 꿈도서관, 2020-11-26.
https://www.joblibrary.net/%EC%99%B8%EA%B5%AD%EC%9D%98%EB%AF%B8%EC%9A%A9%EC%82%AC%EC%9E%90%EA%B2%A9%EC%A0%9C%EB%8F%84/
국가별 피부미용자격제도 및 교육과정 비교 연구
정하나, 윤천성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2021] [국내박사]
국내와 해외의 미용직업교육 체제와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제도 비교 분석 : 프랑스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백지연,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2017] [국내석사]
피부미용사 직무분석을 위한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김혜련, 서경대학교 대학원,[2015] [국내박사]
피부미용의 국가자격제도 및 업무실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배윤희, 대구가톨릭대학교,[2011] [국내석사]
Q-NET 미용사(피부) 출제기준 / 실기시험문제 등 관련자료다수
이정선 / 2017 / 기초 피부 관리 실습 / 훈민사
이재남, 이혜영 / 2014 / New 기초 피부 관리학 / 구민사
홍미숙 / 2011 / 피부미용사 국가기술자격 시험 제도 중 수습기간 적용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