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이론 고진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이론과 지식의 출현 Ⅱ
1.1. Dorothea E. Orem 이론
1.1.1. 이론의 배경
1.1.1.1. 이론가 소개
1.1.1.2. 이론의 배경 및 특성
1.1.2. 이론의 개요
1.1.2.1. 이론의 가정
1.1.2.2. 이론의 구성
1.1.2.3. 이론의 주요 개념
1.1.2.4.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1.1.2.5. 이론의 적용
1.1.3. 이론의 평가 및 전망
1.1.4. 임상 적용 사례
1.1.5. 관련 연구 소개
2. Orem의 간호이론 적용 사례
2.1. 연구의 필요성
2.2. 연구의 목적
2.3. 연구의 개념 틀
2.4. 연구대상자
2.5. 연구방법
2.6. 연구결과
2.7. 결론
2.8. 연구의 의의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이론과 지식의 출현 Ⅱ
Dorothea E. Orem은 1914년에 미국 메릴랜드 볼티모어에서 출생하였다. 1930년대 초 워싱턴의 프로비던스병원 간호학교에서 간호사 면허를 받았으며, 1939년과 1945년에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Orem의 간호철학은 이때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와 관련 있는 성 빈센트 드 폴의 자선 수녀단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Orem은 개인 간호사, 병원 간호사, 그리고 교육자로 경력을 쌓았다. 그녀는 1949년까지 디트로이트의 프로비던스병원의 간호학교와 간호 서비스 책임자로 근무하였고, 이후에 인디애나 주로 이주해, 1957년까지 보건국에서 근무하였다. 1959년에는 가톨릭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후에 학장이 되었다. Orem의 목표는 종합병원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고 이 시기에 간호 실무에 대하여 실무가 무엇인지 정의하였다. 1959년 자격 간호사 과정의 실무 간호사들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지침을 처음으로 발표하면서, 이 당시 Orem은 인간에게 간호가 필요한 이유와 인간이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중요하게 인식한 것이 간호의 개념과 이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키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즉, Orem은 간호의 정의를 '간호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라고 하는 간호의 목표와 초점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으로서 간호가 필요한 조건을 '사람이 건강 때문에 도움이 필요할 때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무능력 상태일 때'라고 설명하였다. Orem의 이론은 명백하거나 함축적인 전제를 근거로 가설적인 구성개념으로부터 발전시킨 연역적 이론이라 할 수 있으며, 이론의 근거는 체계이론, 발달이론, 상호작용이론 모두에 두고 있다. 체계이론적 특징으로는 인간을 총제 또는 통합체로 정의하고 있으며, 인간을 자가간호 형태의 활동을 통해 자기유지 및 자기조절을 하는 존재, 즉 개방체계적 성격을 가진 존재로 보고 있는 점, 건강을 구조적 기능적 전체성 또는 통합의 상태로 보고 행동체계로서 자가간호를 정의하며 간호체계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점 등이 있다. 발달이론적 특징으로는 발달적 자가간호 요구에서 성장, 발달 및 성숙의 특징이 언급되며, 발달상태에 의해 자가간호 능력이 조절된다고 설명한 점이 있다. 상호이론적 특징으로는 개인의 자가간호 능력과 자가간호 요구의 관계는 가치에 대한 인간의 지각에 의해 결정되고 인간을 신중한 존재로서 자기결정을 할 수 있는 존재로 설명하며 인간의 자가간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간호를 도움이 필요로 하는 사람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으로 보는 의미를 함축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점이 있다.
Orem이 제시하는 자가간호 결핍 간호이론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특성에 대한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재능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존을 위해 활약하고 자신과 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신중한 투입이 필요하다. 둘째, 신중하게 활동하는 힘인 인간의 능력은 욕구를 규명하고 투입이 필요할 때에 자신과 남을 간호하는 형태로 활성화된다. 셋째, 성숙한 인간은 생명을 유지하고 기능 조절을 위한 투입과 관련하여 자신과 남에 대한 간호활동 결핍의 제한성을 경험한다. 넷째, 인간의 능력은 자신과 남에 대한 생존 요구를 확인하며, 필요한 투입의 방법과 수단을 발견, 발전시키고 전파하는 데 사용된다. 다섯째, 구조적 관계를 갖고 있는 집단으로서의 인간은 자신과 남에게 필요한 투입이 결핍된 집단 구성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일을 계획하고 책임을 분담한다.
자가간호 결핍 간호이론은 서로 관련된 세 이론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자가간호 이론, 자가간호결핍이론, 간호체계이론이다. 자가간호이론은 자가간호 활동과 개인, 집단의 기능 및 발달 사이에는 관계가 있다는 철학에 근거한다. 자가간호결핍이론은 총괄이론으로서, 간호의 대상은 건강과 관련 있거나 장애가 나타났을 때 자가간호를 할 수 없는 사람이다. 간호체계이론은 치료적 자가간호요구와 자가간호에 관여된 활동 및 체계들을 기술하고 설명한다. 간호체계는 사회적 위치, 역할, 역할관계, 관련된 사람, 기술적 요소 등과 같은 상황적 요소로 구성되고 이 요소들은 서로 관계를 맺으며 관계 형성 방식이 간호체계의 구조를 나타낸다.
자가간호는 성숙중인, 또 성숙한 인간이 어떤 일정 시간대에서 기능적, 발달적 측면의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서, 자신의 삶과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계속적으로 개인의 발달과 안녕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하여 자신이 주도하고 수행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자가간호 요구는 보편적 자가간호 요구, 발달적 자가간호 요구, 건강이탈 자가간호 요구의 3가지 유형이 있다. 보편적 자가간호 요구는 인생 전 단계에서 모든 인간에게 공통된 것으로서 인간 구조의 통합과 기능 및 안녕의 유지와 함께 전 생의 과정에서 나타난다. 발달적 자가간호 요구는 발달과정에서 특별히 요구되는 것으로서 보편적 자가간호 요구 중 특수한 것이거나 상황과 관련해 필요한 새로운 요구이다. 건강이탈 자가간호 요구는 질병이나 상해 등으로 개인의 자가간호 능력이 영구적, 일시적으로 손상되었을 때 자가간호 제공자에서 환자로 위치가 바뀌는데, 이 때 필요한 의학적 치료로 참여하는 것이 건강이탈 자가간호 활동이다.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는 생명유지, 건강, 성장발달 및 안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조절활동을 충족시키기 위해 일정기간동안 요구되는 간호이다. 자가간호 능력은 성숙된 또는 성숙중인 인간이 자신의 기능과 발달을 조절하기 위한 의도적이고 목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요구를 알고 그 요구를 충족시키는 복합적이고 습득된 능력이다. 자가간호 결핍은 개인의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와 자가간호 능력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요구가 능력보다 클 때 결핍이 나타난다. 간호능력은 일정 범위의 자가간호 결핍 상태에 있는 인간을 위해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간호를 설계, 생산하는 등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을 위한 복합적 능력을 말한다. 간호체계는 인간의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자가간호 능력을 조절해야 하는 간호상황에 놓인 자신이나 다른 인간이 활동을 돕는 방법으로서 일련의 연속적 활동을 말한다.
Orem의 자가간호 결핍 간호이론은 많은 대학의 간호 커리큘럼의 근간이 되어왔으며, 실무 상황에서 활용되어 왔고, 연구 프로젝트, 석사논문 및 박사논문에도 사용되었다. 오렘 이론은 주로 간호사의 활동과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간호처방이론으로서 연구보다는 실무를 유도하는 데 더 유용하며, 간호 실무를 위한 틀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1. Dorothea E. Orem 이론
오렘(Orem)은 1914년에 미국 메릴랜드 볼티모어에서 출생하였다. 1930년대 초 워싱턴의 프로비던스병원 간호학교에서 간호사 면허를 받았으며, 1939년과 1945년에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오렘의 간호철학은 이때 아메리카 가톨릭대학교와 관련 있는 성 빈센트 드 폴의 자선 수녀단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오렘은 개인 간호사, 병원 간호사, 그리고 교육자로 경력을 쌓았다. 그녀는 1949년까지 디트로이트의 프로비던스병원의 간호학교와 간호 서비스 책임자로 근무하였고, 이후에 인디애나 주로 이주해, 1957년까지 보건국에서 근무하였다. 1959년에는 가톨릭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후에 학장이 되었다.
오렘의 목표는 종합병원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고 이 시기에 간호 실무에 대하여 실무가 무엇인지 정의하였다. 1959년 자격 간호사 과정의 실무 간호사들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지침을 처음으로 발표하면서, 이 당시 오렘은 인간에게 간호가 필요한 이유와 인간이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중요하게 인식한 것이 간호의 개념과 이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키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오렘의 간호이론은 오렘 자신의 개인적 연구와 학생, 실무자, 연구자, 교육자 및 행정가들과의 협동 작업을 통해 40년 이상의 기간 동안 발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
참고 자료
고진강(2016). 간호이론(Theoretical Basis for Nurging). 수문사
김혜원 외(2016). 간호이론가와 이론Ⅰ. 대학서림
이소우 외(2017). 간호이론의 이해 제 3판. 수문사
장성옥 역(2004). 간호학 이론과 탐구의 입문. 군자출판사
박영임(1997). 자가간호(Self-Care)의 개념분석. 혜화의학회지, 5(2), 463-472
윤혜봉 외(1992). Orem의 자가간호모형을 적용한 간질환아의 임상사례연구. 대한간호, 31(1),45-56
전민경(2016). 위암수술 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측정도구 개발. 종양간호연구, 16(2), 67-74
김분한 『간호이론』 (2016, 포널스 출판사)
이종경, <간호학 탐구> 14권 2호(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고진강 『간호이론』 (2016, 수문사)
이원희 「간호학논집」 (1991, 연세대학교 간호학 연구소)
Martha Raile Alligood 『간호이론가와 이론』 (2016, 대학서림, 공저 김혜원, 고문희 외)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 : Exploring Functional Status(Billy A. Caceres, RN;MSN)
<목표달성이론에 근거한 건강계약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조미경, 2008)
김동희, 이라진, 2021,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21(1), 720-721
박효진, 이윤미, 김민혜, 2021, 임상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구조모형, 중환자간호학회지, 14(1), 1-13
박미라, 제남주, 2019, 임종간호수행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IPA 분석)-요양병원 종사자를 중심으로,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4), 191-199
설은미, 고진강, 2018,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자 돌봄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11(2), 1-10
김형철, 김은숙, 방광희,2007, 일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와 가족의 요구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0(3),
국립암센터 중앙호스피스센터 외, 2018, 일반병동에서의 임종돌봄 사례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