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1.1. 소독간호사(Scrub Nurse)
소독간호사(Scrub Nurse)는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사로, 멸균된 수술가운(sterile attire)을 입고 멸균영역(sterile)에서 활동한다. 소독간호사는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하고 신속·효과적으로 처리한다.
소독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이 맡은 수술에 대하여 미리 예정표를 보고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둘째, 수술에 필요한 기구나 기계를 준비하고 멸균한다. 셋째, 모자와 마스크를 쓰고 수술을 위해 외과적 손씻기를 실시한다. 넷째, 멸균 가운을 입고 멸균 장갑을 낀 후 장갑에 묻은 가루는 준비된 소독액이나 젖은 패드에 씻는다. 다섯째, 멸균 가운상에 가운과 장갑들을 정돈한다. 이때 수술 포는 두 겹의 포로 깔아 사용한다. 여섯째, 모든 것을 준비 후에 기다려야 할 때는 준비된 상을 멸균포로 덮는다. 일곱째, 개복포 꾸러미(laparotomy package)의 안쪽을 열고 소독 여부를 확인한 다음 여러 개의 포를 정돈하여 사용하기 편하도록 놓는다.
여덟째, 수술에 필요한 기구나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요구한다. 아홉째, draping에 사용되는 린넨을 준비한다. 열째, mayo stand를 준비한다. 열한 번째, 수술에 사용되는 기계와 물품, electrosurgical unit의 tip(bovie tip), suction tip을 준비한다. 열두 번째, sterile field에 있게 될 의사의 gowning과 gloving을 도와준다. 열세 번째, 직접 또는 의사와 함께 수술환자의 수술부위를 draping한다. 열네 번째, 수술 전 과정에 있어 무균술을 철저히 지킨다.
열다섯 번째, specimen을 잘 보관하였다가 순환간호사에게 건내주며 필요시 처리절차를 알려준다. 열여섯 번째, 환자가 수술실을 떠나 회복실로 갈 때까지 수술실에 환자와 함께 머무른다. 열일곱 번째, 순환간호사로 하여금 수술실이 청결히 유지되도록 한다. 열여덟 번째, 수술 전에 sponge, needle, instrument의 count를 한다. 열아홉 번째, 수술이 끝난 후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스무 번째, 혈액의 손실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한 세척 용액을 계산해둔다. 스물한 번째, 집도의가 사용한 epinephrine 용액과 국소마취제의 양을 보고한다. 스물두 번째, 대상자의 신체 내에 물품이 남아있는 일이 없도록하기 위해 수술과정동안 사용된 물품의 수를 확인한다. 특히 순환간호사와 함께 정확하게 sponge, needle, instrument의 수를 count한다. 스물세 번째, 수술의 해부와 생리, 수술과정에 대하여 점검한다. 스물네 번째,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수술실의 청결을 유지한다.
이처럼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철저한 무균술 준수와 수술 기구 및 물품의 관리, 수술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적절한 대응을 통해 환자의 안전과 수술의 성공적인 진행을 도모한다.
1.2. 순환간호사(Circulation Nurse)
순환간호사(Circulation Nurse)는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간호사이다. 수술실에 들어가 정리정돈을 하고, 물품배치와 기구배치 및 기구 작동시범과 환자체크 등을 담당한다. 또한 소독간호사의 보조를 담당하며, 수술 과정 전체에서 무균술이 철저히 지켜지도록 관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순환간호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술실의 준비를 담당한다. 수술에 필요한 기구와 물품을 배치하고 기구의 작동을 시연한다. 또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간호계획을 수립한다. 환자가 수술실로 오면 수술대로 옮기는 것을 보조하고, 감시 장치를 부착하는 것을 돕는다. 마취유도 시 환자를 보호하고 체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술 중에는 무균술이 철저히 지켜지도록 관찰하며, 사용되는 기구와 물품의 상태를 확인한다. 필요한 경우 소독간호사에게 물품을 공급하고, 누락된 기구나 물품을 신속하게 공급한다. 또한 수술 과정을 기록하고, 조직 검사물과 배양물을 적절히 처리한다. 수술 중 혈액과 수분 손실을 측정하며, 국소마취제 사용량도 기록한다.
수술이 끝나면 회복실로 환자를 동반하고, 회복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인계한다. 수술실 청소와 기구 정리 등 환경관리 업무도 담당한다. 이처럼 순환간호사는 수술실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소독간호사와 협력하여 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수술을 위한 환자의 피부 준비
수술을 위한 환자의 피부준비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미생물, 오물, 피부 기름기가 없는 수술 부위를 만들어 감염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피부소독제의 종류와 특성을 살펴보면, 알코올은 작용시간이 가장 빠르지만 지속효과가 없어 다른 소독약과 혼합사용 시 더욱 효과적이다. 70% 알코올은 손, 피부 소독에 사용된다. 포비돈 아이오딘은 요오드를 유리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내며 수술부위, 감염피부, 피부염, 열상, 창상의 살균 소독에 이용된다. 단점으로는 얼굴 혹은 피부에 장기간 도포 시 착색의 우려가 있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는 지속효과가 매우 우수하나 눈, 귀에 독성이 있으며 혈액이나 혈청 존재 시 효과가 1/10로 저하된다. 4%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는 손씻기에 사용된다.
기계적 세척으로는 목욕을 통해 피부로부터 많은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매일 사용하는 클로르헥시딘 세척제나 헥사클로로펜을 함유한 고체 또는 액체 비누의 사용으로 미생물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환자의 일반적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알레르기에 대한 과거력을 알아야 한다. 수술부위의 비정상적인 피부자극, 감염 또는 찰과상은 수술 금기사항이므로 의사에게 보고되어야 한다.
털의 제거는 피부표면의 미생물 침입과 군집화의 기회를 제공하여 감염의 잠재적 원인이 되므로 수술부위의 털을 제거하여 상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의사가 수술 전에 피부준비 방법을 처방해야 하며 이 과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