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자인씽킹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자인 씽킹을 통한 코로나19 대응 사례
1.1. 대중교통 안심 이용을 위한 앱 개발
1.2. AI 스피커를 활용한 심리 방역
1.3. 도시 디자인을 통한 경제 회복 방안
1.4. 친환경차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
2. 청소년 문제와 해결방안
2.1. 핀란드의 집단 따돌림 예방 프로그램 '키바코울루'
3.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푸드 운동
3.1. 일본 시즈오카현의 '지산지소' 운동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자인 씽킹을 통한 코로나19 대응 사례
1.1. 대중교통 안심 이용을 위한 앱 개발
서울특별시에서 출시한 'My-T(마이티)' 앱은 대중교통 또는 도보 이동 시 경로가 코로나19 확진자의 동선과 겹치면 자동으로 알람이 울리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앱은 코로나19 대응 4단계 중 첫 번째인 'Reaction(대응)'에 해당한다.
'My-T(마이티)' 앱은 서울시에서 출시한 맞춤형 앱으로, 감염병 노출 알림 정보, 대중교통 혼잡도 기반 길 찾기, 통행 분석을 통한 나만의 이동 경로 제공,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예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감염병 노출 알림 정보 기능은 앱에서 수집되는 개인 위치정보와 대중교통 운행정보, 교통카드 승하차 정보, 교통수단별 와이파이 정보 등을 결합·분석해 개인 통행·이동 궤적과 코로나19 확진자 이동 동선을 비교해 확진자 동선과 겹칠 경우 이를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전에 출시된 단순 확진자 이동 경로 확인 앱과 달리 'My-T(마이티)' 앱은 사용자의 실제 이동 경로와 확진자 동선을 자동으로 비교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대중교통 수단 이용 내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서울시는 앞으로 단계적으로 My-T 서비스를 개선할 계획이며, 민간 기술과 마이데이터 정보를 결합해 대중교통 이용 실적을 반영한 신용등급 향상, 데이터 판매 수익 환원 등의 추가 기능도 검토하고 있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 실장은 "뉴노멀 시대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서울시민이 코로나 감염병 걱정 없이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교통허브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2. AI 스피커를 활용한 심리 방역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신조어 '코로나 블루'를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실제로 올해 우울증 치료제를 처방받는 환자가 전년보다 15% 이상 증가하였다. 하지만, 정신건강과 관련해 병원을 방문하거나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 소비자가 많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는 사람보다 AI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해줄 수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가 많이 발달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KT기가지니 AI스피커 심심이'는 인공지능 챗봇 심심이 서비스로, "기가지니, 심심이랑 대화할래" 라고 말하면 심심이 대화 모드가 활성화되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간단한 이용 방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문장의 유사성을 이용해 나쁜 말 확률을 계산하는 통계적 추정(STAPX), 크라우드 소싱으로 전수 검사를 진행하는 전수 검사 프로젝트(Mission A), Mission A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이용해 자동화를 시키는 과정 등을 적용하며 4차 산업의 기술을 여럿 활용하며 코로나를 대응한 좋은 예시이다.
코로나19가 계속되는 사회에서 우울감을 느낀 사람들이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응하여 의사소통 부재의 새로운 탈출구로써 'KT기가지니 AI스피커 심심이'를 이용할 수 있다. 우울증은 보통 소통의 부재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일명...
참고 자료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2206998541
내 손안에 서울 https://mediahub.seoul.go.kr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69423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120seoulcall/222205905691
한국면세뉴스 http://www.kdfnews.com/news
비욘드포스트 http://cnews.beyondpost.co.kr
공감언론 뉴시스 https://www.newsis.com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news
디자인 가이드 북 https://static1.squarespace.com/static/Ideas_Guidebook.pdf
기사 https://www.brookings.edu/blog
기사 https://baltimorefishbowl.com/stories/design-for-distancing-guidebook
프레시안 기사 https://www.pressian.com
ICCT https://theicct.org/blog
폭스바겐 https://www.volkswagen.co.uk/electric/electric-cars
I am your Energy_마음톡톡지기. (2016). 건강한 또래 관계 만들기 대작전! - 핀란드 와 미국의 사례
https://gscaltexmediahub.com/maumtalktalk/mt-story-classhealing-global-programs-fo r-children-1/
키바프로그램홈페이지.
http://www.kivaprogram.net/program
여성동아_이보영 핀란드 통신원. (2012). 왕따 공화국 탈출 위한 핀란드의 노력.
https://woman.donga.com/List/3/all/12/144365/1
째깍악어. (2020). 웹사이트
http://tictoccroc.com/index.php
벤처스퀘어_이예화기자. (2017). 대학생 아이 돌봄이 매칭 서비스 ‘째각악어’
https://www.venturesquare.net/747784
뉴스서천_공동취재단 공금란. (2013). 기획취재/“지역경제 선순환 활성화가 해답이다” (4)시즈오카현의 지역경제 선순환사업 실천 사례?
http://www.newss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246
Ohmynews_장재완. (2013). 일본산 ‘신토불이’, 고속도로 휴게소에 떴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34350
청양신문_이진수. (2013). 공동기획 - 지역경제 선순환 활성화가 해답이다 ③-1
http://www.c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528
네이버지식백과,2021-03-02,최소 잔여형 주사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26273&cid=43667&categoryId=43667
연합뉴스,2021-01-16,미 백신 공급부족 비상, 접종중단 사태까지…"재고 고갈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116033900009
영남일보,2021-07-14,방역당국, 50대 백신예약 중단에 사과...예약체계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10714010001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