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1. 시나리오 작성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37세의 이OO씨는 임신 24주에 임신성 당뇨 진단을 받았다"이다. 이OO씨는 평소 정기검진을 잘 받아왔으며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고 하였으나, 최근 실시한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에서 혈당이 145mg/dL 이상으로 나와 확진검사를 받게 되었다. 확진검사 결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되었으며, 금일 측정한 공복혈당은 100mg/dL, 2시간 후 혈당은 160mg/dL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간호사는 이OO씨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작성할 수 있다.
37세 임신 24주의 이OO씨는 평소 정기검진을 잘 받아왔으나, 최근 실시한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에서 혈당이 145mg/dL 이상으로 나와 확진검사를 받게 되었다. 확진검사 결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되었으며, 금일 측정한 공복혈당은 100mg/dL, 2시간 후 혈당은 160mg/dL로 나타났다. 이OO씨는 "그동안 별 이상이 없었는데 혈당이 왜 높게 나왔죠? 저는 살도 찌지 않았는데..."라며 걱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간호사는 이OO씨에게 임신성 당뇨에 대한 교육과 관리방법을 제공하여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1.2. 간호과정
1.2.1. 간호사정
간호사정은 대상자의 건강 및 간호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수집한 자료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이해하고 간호진단을 내리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본 사례에서의 간호사정은 다음과 같다.
주관적 자료 수집 결과, 32세 임신 32주 임부 안OO씨는 "배 뭉치는 느낌이랑 뭔가 흐르는 느낌이 들어서 급하게 왔어요"라며 병동에 내원하였다. 또한 "움직일 때마다 조금씩 흐르는 듯 느낌이 있어요", "제가 지금 양수가 적은편이라던데요", "아.. 배가 좀 많이 아픈 거 같아요.."라고 호소하였다. 이를 통해 안OO씨가 조기 양막 파열, 양수감소, 자궁 수축으로 인한 통증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객관적 자료 수집 결과, 안OO씨의 활력징후는 120/70mmHg, 36.8℃, 92회/분, 16회/분으로 정상 범위였다. 니트라진 검사 결과 청록색이 나타나 양막 파열이 확인되었고, 질 분비물은 묽은 색으로 냄새가 나지 않았으며 균도 검출되지 않았다. 경관 개대는 1cm였고,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는 11.2 X 10^3/uL, C-반응 단백은 0.6mg/dL로 증가되어 있었다. 태아의 체중은 2.5kg이었고, 양수지수는 6으로 감소된 상태였다. NST 결과 자궁 수축은 70mmHg까지 확인되었고 태아 심음은 140-150bpm 사이였다. 이를 통해 안OO씨가 조기 양막 파열, 양수감소, 자궁 수축으로 인한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감염의 위험성과 태아 손상 위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안OO씨의 간호사정 결과, 조기 양막 파열, 양수감소, 자궁 수축과 관련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