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당뇨병 오마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례분석보고서
1.1. 간호사례
1.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1.2.1. 간호문제 도출
1.2.2. 간호진단(오마하 분류체계)
1.2.3. 우선순위
1.2.4. 근거
1.3. 간호계획
1.4. 참고문헌
2. 대상자 사정
2.1. 지역사회 간호사정 방법
2.2. 지역사회 간호사정 영역
2.2.1. 현재 실습중인 지역의 지리적 특성(Mapping)
2.2.2. 인구특성: 지역주민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평가
2.2.3. 건강수준
2.2.4. 환경특성
2.2.5. 교통 및 통신 · 공공시설
2.2.6. 오락과 휴식
2.2.7. 지역사회 자원
3. 지역사회 간호진단
3.1. 지역사회 간호진단에 활용되는 분류체계- 오마하 분류체계
3.2. 우선순위결정- 이선자, 2004
3.3. 간호계획의 목표 설정하기
3.4. 간호방법 및 수단 선택
3.5. 수행 계획
3.5.1. 간호진단 수행계획서
3.5.2. 추진일정표
3.6. 평가 계획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례분석보고서
1.1. 간호사례
71세 이○○ 할아버지는 20년 동안 당뇨병이 있었지만 건강하게 지내왔다. 그러나 지난 달부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움증이 심해 병원을 방문한 결과 고혈압으로 진단받아 고혈압 약을 복용하게 되었다. 최근에 잘못된 식습관으로 체중이 갑자기 5kg정도가 늘어난 상태로 관절의 통증도 심해졌으며 혈당조절도 잘 되지 않고 있다. 고혈압 진단 이후 가족들에게 화를 내는 횟수가 늘어났으며, 아내가 외출하는 것도 무척 싫어한다. 1남1녀를 두었지만 자녀들은 평소에 부모 집을 방문하지 않는다.
1.2.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1.2.1. 간호문제 도출
대상자의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에 따른 간호문제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20년 동안 당뇨병을 앓고 있었지만, 최근 잘못된 식습관으로 체중이 갑자기 5kg 증가한 상태이다. 증가한 체중으로 인해 관절의 통증이 심해졌고, 혈당 조절도 잘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대상자의 정규적인 건강관리 실패와 관련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당뇨병은 갑자기 인슐린이 부족해지면 급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만성 합병증으로는 망막병증, 신장병증, 신경병증 등의 미세혈관질환과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대혈관질환이 있다. 따라서 대상자는 20년 동안 당뇨병을 앓아왔으므로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상자는 최근 잘못된 식습관으로 체중이 갑자기 늘어났고, 관절 통증과 혈당 조절 문제를 겪고 있다. 이는 대상자의 정규적인 건강관리 실패와 관련된 문제로 볼 수 있다.
1.2.2. 간호진단(오마하 분류체계)
간호진단(오마하 분류체계)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중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분류체계이다. 대상자의 건강문제는 영역, 문제, 수정인자, 증상/징후로 구성된다.
먼저, 건강관리 감독 영역에서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라는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대상자가 20년 동안 당뇨병을 앓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체중이 증가하고 관절 통증이 심해지며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등 실제적 결핍 상태임을 나타낸다.
순환 영역에서는 "비정상적 혈압"이라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대상자가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움증이 있어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점에서 실제적 결핍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영역에서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학대"라는 문제가 드러났다. 대상자가 고혈압 진단 이후 가족들에게 화를 내는 횟수가 늘어났으며, 아내가 외출하는 것도 싫어하는 등 실제적 결핍 상태이다.
이처럼 대상자는 건강관리 감독, 순환, 대인관계 영역에서 실제적 결핍 상태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3. 우선순위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 건강문제는 순서대로 건강관리 감독, 순환, 대인관계로 설정하였다. 이는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 비정상적 혈압,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학대에 따른 문제 순으로 심각성과 긴급성, 그리고 예방 가능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먼저,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는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건강관리가 시급히 필요하므로 가장 높은 순위로 설정하였다. 비정상적 혈압은 최근 고혈압 진단 이후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2순위로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학대는 완전한 학대의 기준이나 증거는 없지만, 잠재적인 문제로 볼 수 있어 3순위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각 건강문제의 특성, 해결능력, 예방 가능성, 그리고 문제인식의 차등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특히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와 비정상적 혈압은 당뇨병 환자의 치명적인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데 가장 시급한 문제로 판단하였다.
1.2.4. 근거
제2형 당뇨병 환자가 500만명을 넘어섰다는 통계와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대상자가 오랜 기간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규적인 건강관리의 실패가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문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 발생위험이 최대 4배로 높으며, 심혈관계 질환은 대상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혈압도 중요한 건강문제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학대는 폭력 외에도 다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잠재적인 문제로 볼 수 있어 3순위로 설정하였다""
1.3. 간호계획
간호계획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립한 실천 방안이다. 본 사례의 간호계획은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 비정상적인 혈압,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학대의 3가지 우선순위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수립되었다.
첫째,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 문제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혈당과 체중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자가 혈당측정 방법을 교육하고 실천하도록 하였다. 또한 당뇨병 식이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식단을 점검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정상 혈당 수치와 목표 혈당을 설정하고 교육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2개월 내에 당화혈색소 수치를 6.5 이하로 낮추는 것을...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개정8판, 이영란 외 (2021), 신광출판사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김소남 (2022)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outLink=Y&entrType=#content-group
[네이버 지식백과] 당뇨병 [diabetes mellit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35&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고혈압 [hypertens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329&cid=51007&categoryId=51007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96788#home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60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15/2017051501986.html
김혜영, 당뇨와 치주질환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7
최연희 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 p.159-164
단원보건소, https://www.ansan.go.kr/health/main/main.do
안산시청 통계 사이트, https://www.ansan.go.kr/stat/main/main.do
안산시 행정동 위치도, https://www.ansan.go.kr/stat/common/cntnts/selectContents.do?cntnts_id=C0001014
안산시 제 7기 의료보건의료계획, https://www.ansan.go.kr/health/common/bbs/selectBbsDetail.do?key=1272&bbs_code=B0626&bbs_seq=1081494&sch_type=sj&sch_text=¤tPage=1
안산시 제 8기 의료보건의료계획, https://www.ansan.go.kr/www/common/bbs/selectBbsDetail.do?bbs_code=B0214&bbs_seq=1557074
최연희 이지현 외 공저,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수문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