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테솔대학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어 수업에서의 드라마 활동
1.1. 내용중심 문학텍스트 기반 과정극
1.1.1. 연구 목적
1.1.2. 연구 문제
1.1.3. 연구 방법
1.1.4. 연구 결과
1.1.5. 논의 및 결론
1.2. 드라마를 활용한 영어 수업
1.2.1. 연구 목적
1.2.2. 연구 문제
1.2.3. 연구 방법
1.2.4. 연구 결과
1.2.5. 논의 및 결론
1.3. 드라마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 증진
1.3.1. 연구 목적
1.3.2. 연구 문제
1.3.3. 연구 방법
1.3.4. 연구 결과
1.3.5. 논의 및 결론
2. 자기분석과 미래설계
2.1. 비전, 미션, 목표의 개념
2.2. 나의 비전, 미션, 목표
3. 학원 조직 관리
3.1. 강사가 학원을 떠나는 이유
3.2. 존경 받는 원장의 특징
3.3. 강사 채용 시 유의사항
3.4. 강사 채용 방법
3.5. 강사근무준수사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어 수업에서의 드라마 활동
1.1. 내용중심 문학텍스트 기반 과정극
1.1.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초등학습자들이 의사소통을 경험하기 위하여 과정극을 도입하고, 그 실행이 초등 영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오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내용중심 문학텍스트를 언어 자원으로 활용하여 과정극을 하였다."
1.1.2. 연구 문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은 과정극을 통해 어떻게 영어 능력을 발전시키는가"이다. 내용중심 문학텍스트를 읽고 이를 바탕으로 과정극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어휘와 문장 패턴을 익히고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등장인물에 몰입하여 상황을 이해하고 맥락에 맞는 언어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증진된다. 나아가 학생들은 과정극 활동을 통해 자신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새로운 이해와 해석을 만들어내는 확장된 경험을 할 수 있다."
1.1.3.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은 G 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 24명으로, 이들은 각기 다른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중 13명, 즉 전체 참여 학생 중 54%가 사설 영어 학원에서 3년 이상 공부한 경험이 있었다. 대체적으로 영어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많았으나 학교 영어 수업에 불만족하고 있었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읽기 전, 읽기, 읽기 후 과정을 통해 내용중심 문학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과정극을 위한 기반을 수립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등장인물을 창조하는 활동을 통해 언어 입력을 언어 생산으로 연결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변환 작업을 거쳤다. 셋째, 과정극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와 욕구에 따라 의미를 만들고 교환하는 의사소통을 경험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학생들의 학습지, 학급 활동 전사문, 교사 일지, 설문 조사가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Method)으로, 자연스러운 관찰과 참여 관찰이 중시되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귀납적인 분석과 해석학적 접근을 취하였다.
1.1.4. 연구 결과
내용중심 문학텍스트 읽기 기반 과정극을 통해 학생들은 풍부한 언어 사용을 경험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내용중심 문학텍스트에서 배운 언어를 기반으로 등장인물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들의 언어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즉, 등장인물에 몰입하면서 학생들은 영어를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영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과정극을 통해 자신의 배경 지식을 기반으로 자신의 생각을 확장하면서 새로운 언어를 경험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학생들은 드라마에서 서로의 생각을 쌓아가는 과정을 통해 텍스트 너머의 새로운 세상을 창조할 수 있었다. 즉, 자신감 있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친구들에게도 마음을 열고 협동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결여된 학생에게는 실제 세상으로 발을 디딜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주었다.
1.1.5. 논의 및 결론
첫째, 학생들은 듣기와 말하기를 통해 목표 언어를 배우는 것에만 의존하기보다 내용중심 문학 텍스트 읽기를 통해 쓰기뿐만 아니라 말하기를 위한 풍부한 언어 입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학생들은 내용중심 문학텍스트 읽기를 통해 등장인물을 이해하고 분석하면서 영어 이해력과 표현력을 키울 수 있었다. 이는 텍스트 내용에 몰입하는 과정에서 언어를 입력하고 산출하는 연습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영어 학습자들은 읽기를 통해 받아들인 언어를 자신의 언어로 생산을 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인물 분석 및 창조하는 활동과 인물이 하고 싶은 말을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 입력과 언어 생산을 연결시킬 수 있었다. 이 과정은 언어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단계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과정극의 여러 특징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진정한 의사소통의 경험으로 초대한다"" 즉흥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생들은 이전에 존재하던 세계 너머를 창조하고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사건을 바라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다른 언어로 말하기를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타인과 진정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생각을 말로 전달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내용중심 문학텍스트 기반 과정극이 영어 학습자들의 언어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과정극의 도입을 통해 학생들은 언어 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영어 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1.2. 드라마를 활용한 영어 수업
1.2.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드라마를 수단으로 하여 만들어진 활동을 이용함으로써 교실 밖 상황인 학부모의 개입이 어떤 양식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지 관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EFL 환경에서 영어사용이 된 드라마를 한 번 관찰하기 위해 사례연구 형식이 사용되었다. Cook(1997)에 따르면 드라마의 활동은 재미있고, 흥미진진할 뿐 아니라 환상의 세계로 안내 해주며 무대소품을 만들거나 상대 역할을 보면서 다른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학교에서 드라마를 사용하여 형성된 활동이 학교 밖에서도 계속되려면 확실히 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 첫째로 가능한 드라마 프로젝트에 학생들이 열중하여야 한다. 그러나 열중한 활동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흥미진진함과 재미까지 있는 활동이야말...
참고 자료
Creating Communication Through Process Drama Based on Content Literary Texts in a Primary EFL Setting, 이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영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2011) 82p
The Use of Drama to Promote Play In and Out of the Elementary School EFL Classroom, Charles Sanders Copeland, 단국대학교 TESOL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9)63p
A Case Study of Enhancing Interaction in an English Class through Drama Activities, 유 미 영, 숙명여자대학교 TESOL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110p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경(2008).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91-1210.
선혜연, 김계현(2008). <청소년 진로의사결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특성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아시아 교육연구, 9(2), 161-179.
선혜연, 이제경, 김선경(2012).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진로고민 내용 및 원인과 결과: 합의적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 교육연구, 13(2), 1-24.
김강한 기자(2020). <대학생 절반 진로 결정 못해>. 조선일보
윤정구. <리더는 어떻게 탁월한 의사결정을 하나?>
http://nlearners.org/gnuboard4/bbs/board.php?bo_table=nlearning&wr_id=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