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아반(만0세) 발달관찰 및 놀이
1.1. 신체운동 발달 및 놀이
영아의 신체운동 발달 및 놀이는 매우 중요한 발달 영역이다. 이 시기 영아는 근육 발달과 자세 조절 능력이 점차 증진되어 다양한 신체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영아의 신체운동 발달 과정과 그에 따른 놀이 활동을 관찰하고 지원하는 것은 전인적인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다.
만 0세 영아의 신체운동 발달 및 놀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체 운동 면에서 바닥에 있는 공을 발로 차는 모습을 보이며, 공을 보고 눈과 협응하여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인형을 들고 뒤로 돌아 포대기를 가리키는 등 손과 팔의 협응 능력이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인다.
놀이 면에서는 공을 잡고 굴리거나 찾아 움직이는 등 다양한 탐색 놀이를 하며, 인형을 안아주고 토닥이는 등 상징 놀이를 즐긴다. 정리 시간에 교구를 정리하는 모습에서는 교구의 위치를 인지하고 교사의 말을 이해하여 행동으로 옮기는 능력이 드러난다. 또한 도구를 사용하여 음식을 먹는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신체 운동 능력을 발휘한다.
이처럼 만 0세 영아는 기초적인 신체 운동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신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놀이와 일상생활 속에서 이를 활용한다. 교사는 영아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놀이와 일상생활에서 신체 활동을 격려함으로써 전인적인 성장을 도와야 할 것이다.
1.2. 사회정서 발달 및 놀이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과 놀이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아는 안정적인 애착 형성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기르게 된다.
영아는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점차 발달한다. 영아는 울음, 웃음, 기분 변화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교사와 부모의 적절한 반응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관찰일지에서는 교사가 울고 있는 영아를 토닥여주며 "슬프구나"라고 공감해주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영아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해받는다는 경험을 하게 된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아는 또래와 함께 놀이하며 친구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기술을 익히게 된다. 관찰일지에서 영아가 또래가 하는 전화 놀이를 관찰하다가 직접 전화기를 가져와 또래와 함께 놀이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처럼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아는 타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 의사소통 기술 등을 발달시킨다.
한편 교사와의 상호작용도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중요하다.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한 영아는 교사에게 의지하고 친밀감을 느끼며, 이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얻게 된다. 관찰일지에서 영아가 교사에게 안기며 편안해하는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는 영아가 교사와의 애착 관계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은 애착 형성, 또래 관계, 교사와의 상호작용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는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영아의 감정을 공감하고 반응해 주며, 또래 간 상호작용을 격려하고,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3. 언어 발달 및 놀이
언어 발달은 영아기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영역으로, 영아는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만0세 영아의 경우 초기 발성과 낱말 이해, 표현의 기초단계를 경험하며, 다양한 언어 자극과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언어 능력이 향상된다.
관찰일지에 따르면 만0세 영아 OOO는 교사의 언어에 반응하며 낱말과 표현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가 물감 판 위에 올라서 "선생님은 친구들 사진을 보면서 한발자국씩 지나가 볼 거에요."라고 말하자 OOO는 종이블록을 바닥에 두고 교사 뒤로 다가와 교사가 한발자국을 디딜 때 한 발자국씩 따라가며 "우와 우와"라고 말한 뒤 교사를 쳐다보며 박수를 쳤다. 이처럼 OOO는 교사의 말을 듣고 이해하여 적절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OOO는 언어영역에 있는 동물 가면 책을 들고 사자그림이 있는 면을 펼쳐 교사 뒤로 다가와 옆에 앉은 친구를 가리키며 "00이 에게도 보여줄까?"라고 말하자 책으로 얼굴을 가린 뒤 "어흥" 이라고 3번 말한 뒤 친구에게 다가가 책을 내려 친구가 손으로 가리치자 책을 친구에게 건넨 뒤 "멍멍" 이라고 말하며 강아지그림 면을 펼쳐주었다. 이를 통해 OOO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동물 소리를 모방하는 등 언어적 표현력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OOO의 관찰일지에서 바닥에 붙은 친구들 사진을 보고 있는 OOO에게 교사가 다가가 "++ 친구들 사진 보고 있어?" 라고 말하자 "응" 이라고 대답하여 손가락으로 친구 사진을 가리키며 "00이가 어디있지?" 라고 묻자 고개를 돌렸다가 다시 돌린 뒤 왼손으로 친구를 가리킨 뒤 교사를 쳐다봤다. 이를 통해 OOO가 또래 친구에 대한 관심과 이해력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OOO의 식사 시간 관찰에서도 언어 발달이 나타났다. 교사가 카레를 밥에 비벼 숟가락으로 떠주자 OOO는 고개를 돌려 교사가 카레만 숟가락에 떠 입에 넣어주니 입을 벌렸다 오므렸다를 두 번 반복하고 카레를 손으로 가리켜 교사가 밥을 떠 카레에 찍어서 주자 2숟가락 먹고난 뒤 "아" 라고 말하며 숟가락으로 얼굴을 내밀어 입을 벌렸다. 이를 통해 OOO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요구하고 먹는 행위에 언어로 반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만0세 영아 OOO는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다양한 언어 자극을 통해 초기 발성과 낱말 이해, 표현 등 언어 발달의 기초 단계를 보여주었다. 영아기 언어 발달은 이후 성장에 중요한 기반이 되므로, 영아들에게 풍부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고 영아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4. 인지 발달 및 놀이
만 0세 영아들은 일차적인 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