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놀이치료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놀이치료실
1.1. 놀이치료실 위치
1.2. 놀이치료실 크기
1.3. 놀이치료실 특징
2. 놀잇감
2.1. 놀잇감 선택 기준
2.2. 놀잇감 범주
2.2.1. 실생활과 양육관련 놀잇감
2.2.2. 공격성 등 부정적 감정 표출을 위한 놀잇감
2.2.3. 창의적 표현과 이완을 위한 놀잇감
2.3. 놀잇감과 재료들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놀이치료실
1.1. 놀이치료실 위치
상담센터에서 놀이치료실은 독립적인 공간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매우 소란스럽기 때문에 놀이치료실의 위치는 아동들이 다른 내담자나 치료자들을 방해하지 않는 곳이 좋다. 놀이치료실은 내담자와 치료자 모두의 사생활이 보호되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소란한 분위기는 치료자들이 치료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해서 효과를 낮출 수 있으며, 불안한 다른 내담자를 자극할 수 있다. 아동의 사생활 보호는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놀이치료실 내에서 일어나는 대화를 밖에서 듣는다면 곤란하다. 부모나 타인들이 놀이치료실 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듣는다면 아동의 사생활이 침해되고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1.2. 놀이치료실 크기
놀이치료실의 크기는 아동이 편안하고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랜드레스(Landreth, 1991)에 따르면, 너무 큰 방은 아동의 행동반경이 너무 커지고 치료자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쉬워서 치료자가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기가 어렵고, 너무 작은 방은 자유롭게 자기를 표현하는 데 불편하다고 하였다. 개인치료의 경우 이상적인 놀이실은 아동이 가구에 부딪칠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신체활동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지만 아동이 버려진 느낌이나 고립감이 들지 않는 약 3.5m x 4.5m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고 있다. 만약 아동이 놀이실을 집단으로 사용한다면 조금 더 넓은 4.5m x 7.5m의 방이 집단 활동을 하는 데에 적절하다. 더불어, 놀이치료실은 치료대상 아동의 연령이나 발달 수준 또는 특성에 따라 공간의 크기와 구성이 달라져야 한다. 연령과 발달수준이 고려되지 않은 놀이실의 크기와 구성은 아동으로 하여금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1.3. 놀이치료실 특징
놀이치료실은 안전함, 비밀보장과 함께 편안함과 편리함도 보장되어야 한다. 독립적인 공간으로 방음시설을 필요로 한다. 창문이 없는 것이 비밀보장에 더욱 좋지만, 창문이 있다면 블라인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다란 창문이 있다면 건물 밖의 도로나 옆 건물에서 놀이치료실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놀이치료실 안에서 나누는 아동과 치료자의 대화가 밖으로 들리는 것도 문제지만 놀이치...
참고 자료
놀이치료의 이해 - 유가효, 위영희 외 3명 저(양서원, 2014)
놀이치료 - 김연진, 장미경 외 1명 저(창지사, 2009)
놀이치료의 기초 - CHarles E. Schaefer 저, 김은정 역(시그마프레스, 2015)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 Kevin J. O’Conner, Lisa D. Bravermanr 저, 이승희 외 2명 역(시그마프레스, 2011)
놀이치료개론 - 송영혜 저(에버그린북스, 2015)
놀이치료(아동세계의 이해) - 이숙희, 고인숙 저(교육아카데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