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난 2017년, 일명 '생리대 유해물질 파동'이 터지며 화학물질 신드롬이 한국 사회를 강타했다. 그 중에서도 깨끗한나라의 릴리안 생리대에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다량 검출되었다는 사실에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이슈가 된 릴리안 생리대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여파가 커졌었다. 그 중 눈에 보이는 생리대 부작용으로는 생리혈 양이 줄어드는 것, 생리불순, 생리통, 질염, 피부 트러블, 발진 등이 언급되었다. 실제로 여성환경연대라는 시민단체와 강원대 교수팀이 함께 조사한 결과, 생리대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 그리고 TVOC 농도가 가장 높게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TVOC 종류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타이렌 등이 검출되었다는 것도 알려졌다. 그 후에도 이것은 비단 릴리안 생리대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도 밝혀졌다. 다른 생리대 제품들에서도 조금씩 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고 밝혀져 더 큰 논란으로 번져갔다. 나는 같은 여성으로서 이러한 생리대 파동이 터진 것에 대해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일명 가습기 살균제 사건, 살충제 계란 사건 등 우리 사회에서는 이미 여러 차례 화학약품의 독성에 대한 위험성과 관련된 사건들이 몇 차례 일어난 상태였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에서 존재하는 화학약품의 위험성을 느끼고 어떻게 해서든 나와 주변사람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면 괜찮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초경을 시작하게 된 13세부터 23세에 이르는 10년 동안 사용해왔던 일회용 생리대에서 화학물질이 검출되었고, 그 화학물질이 신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정보를 접했을 때에는 좌절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과연 나는, 그리고 우리 사회의 모든 여성들은 생활 속에 도사리고 있는 화학물질들을 피할 방법이 없다는 사실인가에 대해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2. 생활 속 화학물질
2.1. 화학물질의 발생 원인
화학물질의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인간의 삶을 편하고 윤택하게 하기 위해 만든 제품들 안에는 많은 화학물질들이 들어있다. 이러한 화학물질들은 제품의 기능과 인체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방향을 이끌고 있지만, 인체와의 상호작용이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들 화학물질 중 일부는 인체의 정상적인 호르몬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이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면서 호르몬처럼 작용하여 비정상적인 호르몬 기능을 만들어낸다.
둘째, 화학물질 중에는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환경 중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 또는 생물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이 어떤 질환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생식기능, 대사 장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인간의 편리와 윤택한 삶을 위해 개발된 제품들 안에 포함된 화학물질들이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2.2. 건강생활물질의 정의
건강생활물질이란 인간에게 편리함, 생활의 윤택함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화학 제품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강생활물질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화장품, 가습기, 치약, 생리대 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에는 인간의 삶을 더욱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물질이 첨가되어 있다. 그러나 이 화학물질들은 때로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즉, 건강생활물질은 인간에게 편리함을 주지만 동시에 건강상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3. 건강생활물질의 건강 영향
3.1. 아토피
아토피 피부염은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주요 원인 물질로는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집 먼지 진드기 등이 있으며, 특히 영유아의 발생률이 높다"".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건조증, 습진 등의 임상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다"". 환경적인 요인 중에서도 특히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집 먼지 진드기 등이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영유아기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2. 폐섬유화증
폐섬유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