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노스페이스 기업소개 및 목표
1.1. 기업 소개
199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작은 규모의 등산용품 전문점으로 시작한 노스페이스는 우연치 않게 발매한 침낭이 고객으로부터의 큰 인기를 얻게 되면서 이후 고기능 등산장비와 배낭 소매점인 'THE NORTH FACE'로 알려지게 되었다. 노스페이스 로고에 있는 3개로 나누어진 심볼은 1960년대 당시 가장 오르기 힘들다고 여겨졌던 알프스 3대 북벽인 아이거, 그랑조라스, 마터호른을 상징한다. 이러한 노스페이스는 골드윈코리아에서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국내시장에 진출한 이휴 아웃도어 패션의 처음을 알린 기업으로서, 아웃도어라는 단어가 점점 친숙해지고 있는 만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는 것을 기업목표로 삼고 있다.
1.2. 기업 목표
노스페이스의 기업 목표는 "아웃도어 업계 1위 자리 굳히기"이다. 2016년 업계 매출 2위에서 2017년 1위를 탈환하며 10% 증가한 매출을 기록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속적인 한파 발생으로 롱패딩 특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아웃도어 업계 Top of mind인 노스페이스가 1위 자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노스페이스는 아웃도어 시장을 주도하는 대표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2. 아웃도어 시장 상황 분석
2.1. 5 Forces Model 분석
포터의 5 Forces Model을 이용하여 아웃도어 시장의 구조적 분석을 해 보면, 먼저 구매자와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지 않다고 평가되는 점은 아웃도어 시장의 매력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하지만 현 아웃도어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100여 개에 달하는 크고 작은 아웃도어 브랜드들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노스페이스는 아웃도어 브랜드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코오롱스포츠, K2, 빈폴 아웃도어 등과의 경쟁으로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또한 아웃도어 제품과 일반 의상의 경계가 희미해지면서 다양한 구매자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는 대체재의 위협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볼 때 아웃도어 산업의 구조가 장밋빛이라고는 볼 수 없다.
2.2. 시장 전망
아웃도어 시장의 전망을 살펴보면,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03년 6,000억 원 수준이었던 국내 아웃도어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14년 7조 1,600억 원, 2017년 6조 8,000억 원에 이르렀다. 이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직장에서의 주5일제 실시 등으로 등산, 산책, 낚시 등 아웃도어 활동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또한 중고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아웃도어 브랜드와 제품이 유행하면서 소비자층이 확대된 것도 시장 성장의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아웃도어 시장 성장률은 다소 둔화되는 추세이다. 2017년 아웃도어 시장 규모가 전년대비 약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시장 포화와 함께 저가 SPA 브랜드의 성장에 따른 경쟁 심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아웃도어 시장이 성장세에서 정체기로 접어들면서 기업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