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말초문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0.25
1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약리학 말초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약물의 분류
1.1. 활용에 따른 분류
1.1.1. 전문의약품
1.1.2. 일반의약품
1.1.3. 안전상비의약품
1.2. 전문의약품의 용도에 따른 분류
1.2.1. 응급약물
1.2.2. 전해질
1.2.3. 일반약물
1.2.4. 항생제
1.2.5.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1.2.6. 냉장보관약물
1.2.7. Insulin
1.2.8. 마약류
1.2.9. 향정신성 의약품
1.2.10. 수액
1.3. 주요 질환별 약물
1.3.1. 영양장애
1.3.2. 성 생식기계 장애
1.3.3. 활동 휴식 장애
1.3.4. 호흡기 장애
1.3.5. 심혈관계 장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약물의 분류
1.1. 활용에 따른 분류
1.1.1. 전문의약품

전문의약품은 "사람의 구조·기능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으며, 용법 또는 용량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의약품으로서 의약품의 제형과 약리작용상 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적응증을 갖는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의약품"이다. 전문의약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가 처방하여야 구매할 수 있다. 둘째, 약국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 셋째, 단 한 사람만을 위해 처방하고 사용한다.

전문의약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째, 마약법의 규정에 의한 마약. 둘째,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의 규정에 의한 향정신성의약품. 셋째, 약사법 제2조제11항의 규정에 의한 독약 또는 극약. 넷째, 당해 의약품의 제형, 약리작용 등으로 볼 때 의사의 감독하에 사용되어야 하는 의약품. 다섯째, 의사의 감독하에 사용하지 않으면 의료상 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적응증을 갖는 의약품.


1.1.2. 일반의약품

일반의약품은 주로 가벼운 의료분야에 사용되며 부작용의 범위가 비교적 좁고, 그 유효성,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일반 국민이 자가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다. 의사의 처방전 없이 구매가 가능하며 상점 진열대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증상이나 문제를 가진 경우, 한 명 이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의약품은 주로 소화기계 관련 의약품, 감기 및 진통제 관련 의약품, 외용제 의약품, 영양보충제 등의 분류로 구분된다.

소화기계 관련 일반의약품에는 위궤양 치료제, 제산제, 소화제, 변비약, 지사제, 구충제 등이 포함된다. 위궤양 치료제로는 ranitidine, aluminium magnesium hydroxide, aluminium magnesium silicate 등이 있으며, 제산제로는 almagate, sodium bicarbonate, amino acetic acid 등이 사용된다. 소화제로는 trimebutine maleate, pancreatin, cellulase, simethicone, pancellase SS, biodiastase 2000, lipase 등이 있고, 변비약으로는 plantaginis ovatae semen, psyllium husk, bisacodyl, docusate sodium, dried cnidii rhizoma extract, rhei rhizoma extract 등이 사용된다. 지사제로는 simethicone powder, loperamide hydrochloride, berberine chloride Hydrate, bismuth subnitrate, scopolia extract 등이 활용되며, 구충제로는 albendazole, flubendazole 등이 있다.

감기 및 진통제 관련 일반의약품에는 해열/소염/진통제, 종합감기약, 알레르기/비염 치료제, 진해거담제 등이 포함된다. 해열/소염/진통제로는 clonixin lysinate, ibuprofen, acetaminophen, flurbiprofen, naproxen 등이 사용되며, 종합감기약으로는 acetaminophen, guaifenesin, oxomemazine hydrochloride, chlorpheniramine maleate, anhydrous caffeine, cloperastine hydrochloride, dl-methylephedrine hydrochloride 등이 있다. 알레르기/비염 치료제로는 alismatis rhizoma, bupleuri radix, pseudoephedrine hydrochloride, cetirizine dihydrochloride, xylometazoline hydrochloride, chlorpheniramine maleate, dipotassium glycyrrhizinate 등이 활용된다. 진해거담제로는 s-carboxymethylcysteine, platycodi radix, senegae radix, glycyrrhizin, potassium guaiacolsulfonate, ammonium chloride, thymi fluid extract 등이 있다.

외용제 일반의약품에는 점안약, 근육통/통증 파스제, 피부염 외용제 등이 포함된다. 점안약으로는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dextrose, potassium chloride, sodium chloride, aminocaproic acid, sulfamethoxazole, naphazoline hydrochloride 등이 사용된다. 근육통/통증 파스제로는 ketoprofen, methyl salicylate, indometacin, dl- camphor, l- menthol, flurbiprofen 등이 있으며, 피부염 외용제로는 ciclopirox olamine, hydrous benzoyl peroxide, azelaic acid, triclocarban, ketoconazole, titrated centella asiatica extract, sodium fusidate, mupirocin, prednisolone valeroacetate, dexpanthenol, guaiazulene 등이 활용된다.

영양보충제 일반의약품에는 자양강장제, 칼슘제, 철분제, 혈액순환제 등이 포함된다. 자양강장제로는 tocopherol acetate, magnesium oxide, ascorbic acid, thiamine mononitrate, pyridoxine hydrochloride, ursodeoxycholic acid, fursultiamine hydrochloride 등이 사용되며, 칼슘제와 철분제로는 ferritin extract, cyanocobalamin, folic acid, calcium gluconate Hydrate, ibasic calcium phosphate Hydrate 등이 활용된다. 혈액순환제로는 ginkgo biloba extract, ginkgo leaf extrac, aspirin, titrated centella asiatica extract 등이 있다.

기타 일반의약품으로는 피임약, 무스카린성 수용체 작용제, 항콜린성 약물 등이 있다. 피임약으로는 desogestrel, ethinyl estradiol, gestodene 등이 사용된다. 무스카린성 수용체 작용제인 pilocarpine은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며, 항콜린성 약물인 atropine과 scopolamine은 주로 소화기계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이처럼 일반의약품은 다양한 질병과 증상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약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국민들이 손쉽게 구매하여 자가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의약품 분류라고 할 수 있다.


1.1.3. 안전상비의약품

안전상비의약품은 일반의약품 중 주로 가벼운 증상에 시급하게 사용하며 환자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안전상비의약품을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약사법이 개정되어 2012년 11월 1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안전...


참고 자료

약사법 제 2 조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정의]
보건복지부고시 제2000-23호 제4조 (심사 기준)
약바로쓰기운동본부 http://www.paadu.or.kr/sub/pharm01.asp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290402&PAGE=2&topTitle=%EC%95%88%EC%A0%84%EC%83%81%EB%B9%84%EC%9D%98%EC%95%BD%ED%92%88%20%EC%95%BD%EA%B5%AD%EC%99%B8%20%ED%8C%90%EB%A7%A4%20%EC%A0%9C%EB%8F%84
국립부곡병원 http://bgnmh.go.kr/checkmehealme/bbs/bbsView.xx?catNo=15&idx=101
제 5판 성인간호학(상, 하), 전시자외.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