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특성 분석
1.1. 지리학적 특성
부산진구는 지리적으로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황령산을 경계로 연제구, 남구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사상구, 남쪽으로는 동구, 북쪽으로는 북구와 접하고 있다. 또한 백양산, 황령산, 엄광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도심 중앙으로 동천이 흐르고 있다. 여름에는 열섬 현상으로 열대야가 나타나며, 산과 바다로 인해 겨울에는 차고 매서운 바람이 불어 도심 주변의 저소득층 밀집지역 주거 상황이 열악하여 기후 변화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1.2. 인구학적 특성
부산진구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부산진구의 동별 인구수는 해마다 소폭 감소하고 있으며, 0-14세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15-64세 인구는 73%, 65세 이상 인구는 16.9%로 매년 증가하고 있어 2025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수가 가장 많은 동은 개금3동, 당감1동, 부암1동 순이며, 노인 인구수는 초읍동, 개금3동, 당감1동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거노인의 비율이 가장 높은 동은 범천2동, 개금3동, 초읍동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산진구는 전반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노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 사회 환경적 특징
부전동 서면교차로에 상업, 금융, 유통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고, 재래시장과 대형마트가 집중되어 있어 부산 최대 상업지역으로 서민 경제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
중앙로, 가야로, 동서고가로 등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동서, 남북간 연결된 원활한 도심 교통망을 갖추어 접근성이 용이하다"".
지하철 1,2,3,4호선, 부전역의 KTX 중간역 지정,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사업, 경전선직, 복선 전철화 사업 등이 추진되어 동 부산 관광기능과 서 부산 경제권역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70개의 초, 중, 고교가 구 전역에 분포되어 있고 초읍, 연지지역의 시민도서관과 국립국악원, 부전동의 글로벌 빌리지(영어마을)가 건립되어 있으며, 서면 중심부에는 학원과 대형서점 등 교육관련 기관이 밀집되어 있다"".
1.4.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부산진구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를 살펴보면, 사망률과 출산율에서 전국 및 부산광역시 평균에 비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2016년 이후 전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사망률은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8년 기준 부산진구의 사망률은 684.6으로 부산광역시 468.9, 전국 582.5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또한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2018년 부산진구의 출산율은 0.811로 부산광역시 0.899, 전국 0.977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부산진구의 주요 5대 사망원인은 전국 및 부산시와 유사하게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자살, 폐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암사망률과 자살사망률은 부산시에서 각각 6번째, 3번째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 영역에서는 부산진구의 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스트레스 인지율이 부산광역시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만율은 매년 감소추세를 보이며 부산광역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부산진구는 전반적으로 건강수준이 좋지 않은 편이며, 특히 사망률과 출산율, 주요 건강행태지표 등에서 부산광역시 및 전국 평균에 비해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