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관광상품 개요
관광상품은 관광(tourism)과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관광상품에는 유형(tangible)과 무형(intangible)의 상품이 포함된다. 유형 상품은 관광지 또는 관광지에서 구입할 수 있는 실물 상품이며, 무형 상품은 관광 서비스를 의미한다.
관광상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해외여행 상품인 에어텔(항공권과 호텔을 포함한 패키지) 및 패키지 상품, 그리고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호캉스 상품 등이 있다. 호캉스는 호텔과 바캉스를 합성한 신조어로, 고급 호텔에서 고급스러운 서비스를 누리고자 하는 새로운 관광 수요를 반영한 상품이다.
관광상품만의 특징은 성수기와 비수기의 구분이 뚜렷하다는 점이다. 주로 직장인들의 휴가철이나 학생들의 방학 시기에 관광 수요가 급증하게 되므로, 이 기간에는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비수기에는 가격이 크게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관광상품은 유행과 흐름에 매우 민감한 편이어서 새로운 트렌드에 따른 신상품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광상품은 다양한 유형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절적 특성과 트렌드 변화에 민감한 특징을 보인다.
1.2. 관광상품의 특징
관광상품은 일반상품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관광상품은 성수기와 비수기의 구분이 뚜렷하다. 관광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쉴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한데, 직장인의 경우 휴가 기간이 주된 성수기가 되며 학생들의 경우 방학 기간이 성수기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성수기에는 많은 소비자들이 관광상품을 구매하려 하므로 수요가 늘어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반면 비수기에는 수요가 크게 줄어들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둘째, 관광상품은 흐름과 유행에 민감하다. 최근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일반상품들도 새로운 유행을 타고 있지만, 관광상품의 경우 그 주기가 훨씬 더 짧다. 따라서 관광상품은 트렌드와 사회적 흐름에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광상품의 특징으로 인해 관광산업에서는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른 매출 변동이 크게 나타나며, 소비자의 기호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2. 관광상품의 수명주기 분석
2.1. 기획·개발기
새로운 관광상품에 대한 아이디어의 기획·개발단계이다. 신규 기업을 설립하였거나 기존 관광상품의 쇠퇴기를 맞이하여 새로운 관광상품 개발의 필요성에 의하여 이루어진 개발계획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관광상품의 고객계층에 대한 정확한 목표시장을 설정하기 위하여 고객 욕구와 관광시장 조사, 분석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광상품 개발이 이루어진다. 새로운 관광상품의 기획 및 개발 시에는 목표시장을 정확히 설정하고, 시장 조사와 분석을 통해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 도입기
도입기는 신상품이 시장에 도입됐을 뿐 지명도도 낮고 상품에 관한 지식이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들에게 신상품의 품질이나 효용 및 특징을 널리 광고하여 판매촉진을 적극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시장개발기이다. 따라서 자사상품에 대한 선택적 수요보다 기본적 수요를 더욱 자극시켜야 한다. 도입기의 마케팅 전략으로는 상품설명회, POP광고, 경품첨부, 전시회 등의 프로모션을 행하고 있지만 아직 생산성이 낮아 생산가격은 높고 이익률은 낮으며 가격경쟁도 심하지 않은 단계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신상품의 품질이나 효용 및 특징을 널리 알려 판매를 촉진시키고자 한다. 즉, 도입기에는 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 마케팅 전략이라 할 수 있다.
2.3. 성장기
성장기에는 광고의 효과 등에 의하여 상품의 지명도와 유용성이 널리 소비자에게 인식되어 매상고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시장에서 상품이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