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국보건의료정책변화활동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내 보건의료정책 변화
2.1. 건강생활센터 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2.2. 2021 건강생활지원센터 사업 변화 주요 내용 및 추진방향
3. 보건의료정책변화와 관련된 보건의약관계법
4. 국내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의견
4.1. 정책의 장점
4.2. 정책의 문제점
4.3. 개선 의견
5. 국외 보건의료정책 변화
5.1. 미국의 보건의료정책 변화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내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건강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좋은 완전한 상태를 의미하며, 단지 질병이나 병약함이 없는 상태만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정의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헌법은 기본권 중 건강권을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지니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가진다'라고 정의하였다. 더불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건강증진이란 '사람들이 그들의 건강을 개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주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병약하고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노인인구 집단이 증가하고 소득의 양극화 심화로 인한 건강취약 가정이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국제화 등에 따른 신종 감염병이 출현되고 해외 유입 감염병도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생활습관 등의 건강결정요인이 악화되었다. 더불어 만성질환의 지속적 증가와 노령화와 고급서비스 욕구 증대에 따른 국민 의료비 증가,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수요 변화, 흡연율 및 음주율의 증가, 비만인구 증가, 고혈압 및 자살률 증가 등의 건강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건강문제에 대응하고자 학교, 사업장, 지역사회 등 다양한 생활터에서의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학교에서는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고, 사업장에서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함으로써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건강증진 역량을 강화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전체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2. 국내 보건의료정책 변화
2.1. 건강생활센터 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서울과 같은 대도시 지역에는 취약인구가 집중되어 있지만 보건소가 대부분 1개소만으로 운영되고 있어 도시 취약지역 주민에 대한 질병예방, 건강증진 등 보건의료 및 건강증진서비스의 필요성이 충족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 밀착형 건강관리 전담기관으로서 건강생활지원센터를 활성화해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즉, 지역사회의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주민참여와 지역자원 협력을 통해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영위하도록 지원하는 소생활권 중심 시역보건기관으로서 건강생활지원센터를 확충한 것이다.
2.2. 2021 건강생활지원센터 사업 변화 주요 내용 및 추진방향
...
참고 자료
Health plan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5차 계획,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MENU01287&siteId=null-, 2021.09.14
남은우 외 다수, 2004, ‘한국과 일본의 건강증진정책 비교’,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1 No.3
김춘미 외 다수(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제 2판, 수문사
서경화, 이정찬, 김계현, &이얼. (2015). 감염병 발생 시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에 관한 고찰. 국가정책연구, 29(4), 219-242.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편,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2020). 파주시
문, 현철. (2020). 해외 감염병 재난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Vol. 11. No. 1. 155-170.
질병관리청.주간 감염병 발생 동향.http://xn--now-po7lf48dlsm0ya109f.kr/nqs/oidnow/infect/weekly_info.do?weekly_disease_trend_no=we_202203030001&pageIndex=&disease_no2=&search_nm=
간호법교육학회. (2021). 2021 보건의약관계법규. 수문사
보건복지부. (2020). 2021년 건강생활지원센터 사업안내 보고서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2019). 최신 지역사회보건 간호학 1. 수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2019). 최신 지역사회보건 간호학 2. 수문사
김나연 기자. 2021.01.28. 바이든 정부 출범과 오바마 케어...헬스케어 방향은?. Medical Observer. 검색일 2021.10.31., From.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883
부산진구 보건소 – 건강생활지원센터 소개. 검색일 2021.10.31., From. https://www.busanjin.go.kr/index.busanjin?menuCd=DOM_000000506001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