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약리학 중간고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혈관계 해부학적 구조
2.1. 심장(heart)
2.2. 심장세부구조
2.3.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3. 심혈질환의 간호 중재
3.1. 사정
3.2. 진단
3.3. 계획
3.4. 수행
3.5. 평가
3.6. 임상주의
4. 환자와 가족 교육
5. 심혈질환과 관련된 약물
5.1. 항고혈압제
5.2. 이뇨제
5.3. 혈관확장제
5.4. 항혈소판 제제
5.5. 고지혈증 제제
5.6. 쿠마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학년이 되면서 전공 교과들이 이전 학년보다 꽤 늘어났다. 양도 양이지만 배우는 내용의 깊이가 1학년 때와는 달라졌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체제와 간호방법과 술기들을 배우는 기본간호학, 미생물들에 대해 구체적인 개념과 이에 발현될 수 있는 질환 및 증상들을 배우는 미생물학 그리고 임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 중 하나인 약물들의 종류와 기전, 주 용도와 그 주의사항을 배울 수 있는 약리학을 배우게 되었다. 사실 약리학이란 과목을 배우기 전에 선배 들께 미리 들은 게 많아서인지 걱정이 되었지만 그만큼 기대도 많았던 과목이다. 예상했던 것만큼 양도 많았고 한 종류의 약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고 약 이름을 암기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의료인이 되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공부라고 생각하니 그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해 중간고사를 치를 수 있었다. 시험을 치니 과제가 기다리고 있었다. 주제는 '심혈관계 약물요법 대상자의 간호와 교육'이다. 수업시간에 이미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 파트를 배웠지만 간호와 교육에 대한 내용을 접하기 힘들었는데, 이번 레포트 작성 시간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을 보내게 되어 '약리학'과목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듯 하였다.
2. 심혈관계 해부학적 구조
2.1. 심장(heart)
심장(heart)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의 역할을 수행한다. 심장은 가슴 안에서 폐 사이에 위치하며, 왼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다. 심장은 근육주머니로 되어있으며 심장막(pericardium)에 싸여 있다. 심장은 네 개의 방(좌우의 심방과 심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 심장이 더 크다. 심방은 혈액을 모아두는 부분이며, 심실은 혈액을 밀어내는 부분이다. 네 개의 심장 판막은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며, 중격(septum)은 좌우 심장을 구분한다. 태아에게는 좌우 심방 사이에 타원구멍(foramen ovale)이 있으나 출생 시 이것이 막힌다. 이는 폐순환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2.2. 심장세부구조
심장세부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끝(심첨, apex of heart)은 심장의 왼쪽 아래 부분이다. 심첨음은 5번째 갈비뼈와 왼쪽 유두선 사이에서 청진할 수 있다.
심장바닥(base of heart)은 심장의 위쪽 편평한 부분이다.
심장벽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내부층인 심장속막(endocardium)은 단층의 편평상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장판막을 구성한다. 중간층인 심장근육층(myocardium)은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심실근이 더 두껍고 특히 좌심실근이 가장 두껍다. 가장 바깥층인 심장바깥막(epicardium)은 2층의 장막으로 되어 있으며 내장쪽 점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2.3.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심장전도계(conduction system)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심장전도계는 심장의 자동능(自動能)을 가진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 자체에서 발생한 자극이 빠르게 전도되어 심실의 수축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한다.
심장전도계의 주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굴심방결절(sinoatrial node)은 심장의 자연 박동기(pacemaker)로서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곳에서 발생한 자극이 심방 근육에 전달되어 심방이 규칙적으로 수축하게 된다. 둘째, ...
참고 자료
약리학 (제13판), 김진학 외, 정문각, 2021.08.15
황옥남 외 8명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8
전시자 외 29명 저, 『간호과정』, 현문사, 2004
정담 편집부 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정담, 2013
백운철 외 25명 저, 『핵심병리학』, 은학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