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의4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복지정책과 노인문제
1.1. 노인문제의 정의
1.2. 노인복지정책과 실천
1.2.1. 빈곤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
1.2.2. 질병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
1.2.3. 고독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
1.2.4. 역할상실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
1.3. 노인문제 해결방안
1.3.1. 빈곤 문제 해결방안
1.3.2. 질병 문제 해결방안
1.3.3. 고독 문제 해결방안
1.3.4. 역할상실 문제 해결방안
2. 노인 개념과 삶의 경로
2.1. 노인의 4가지 개념: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 선배시민
2.2. 인터뷰 대상자의 삶의 경로와 노후준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복지정책과 노인문제
1.1. 노인문제의 정의
노인문제의 정의는 노인이 경험하게 되는 대표적인 네 가지 고통인 빈곤, 질병, 고독 및 역할상실이라 할 수 있으며, 치매, 학대, 자살 등과 같은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 산업화·정보화 사회에서 노동력이 상품화되어 기술과 능력이 부족한 노인들은 점차 산업현장에서 물러나게 되고, 정년제도와 실업 등으로 인하여 생계 수단이며 소득의 주요한 원천인 일자리를 잃게 된다. 그와 더불어 연금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미비, 재산과 개인저축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노인들이 빈곤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노인들은 생물학적 노화로 인하여 건강이 약화하면서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주로 만성적 질병과 합병증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질병은 진행 정도가 느리고 회복이 어려운 관계로 과다한 의료비 지출로 노인들이 생활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노인이 되면서 점차 직업적 역할과 지위의 상실, 사회참여 기회의 상실, 자녀 세대와의 가치관과 지식수준 차이, 가족 내에서 역할 상실 등이 나타나며, 이러한 것들은 노인이 고독과 소외감을 느끼게 하며, 세대 간의 갈등을 초래하고, 외부와의 단절로 고립된 생활을 하게 되며, 노인에게 심리적 갈등을 유발하여 우울증과 자살에 이르게까지 한다.
1.2. 노인복지정책과 실천
1.2.1. 빈곤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
빈곤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은 산업화·정보화 사회에서 노동력이 상품화되어 기술과 능력이 부족한 노인들이 점차 산업현장에서 물러나게 되고, 정년제도와 실업 등으로 인하여 생계 수단이며 소득의 주요한 원천인 일자리를 잃게 되면서 나타나는 문제이다. 연금보험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미비, 재산과 개인저축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노인들이 빈곤에 시달리게 된다.
우리나라의 2020년 노인가구 연평균 경상소득은 2,335만원인 반면, 전체 연평균 경상소득은 5,924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OECD 국가 중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여전히 40%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인복지정책으로는 연금제도와 생활지원서비스 등이 있다. 그러나 미성숙한 연금제도로 인한 제한적인 연금소득과 장시간 근로에도 불구하고 고령 인구의 낮은 노동소득, 가정지원서비스의 미약, 노인복지시설의 한계 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노후준비 지원사업의 경우에도 예산상의 문제와 정책적·제도적 관심 부족 등으로 인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능력에 맞는 일자리 제공, 재가노인서비스와 노인연결사업 등의 확대, 노인복지시설의 기능 다양화와 서비스 질 개선, 노후준비에 대한 정책적·제도적 지원 강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2.2. 질병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
질병 문제에 대한 노인복지정책은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 급여를 이용하는 노인일수록 이용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가지 차원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현시대의 노인들은 대부분 타인에 의한 돌봄 및 부양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요양보호사와 같은 제 3자의 개입으로 인해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둘째,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했듯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문제가 상당히 심각한 편이다. 한국 노인들이 타인에 의한 돌봄 및 부양에 익숙하지 않기도 하지만 심층적인 교육과정 및 명확한...
참고 자료
OECD. (2020). 한국경제보고서.
보건복지부. (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신혜리, 이민아. (2018).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이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이근홍, (2021). 노인복지론 제3판, 지식공동체.
이희성, 권순호. (2020). 초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노동법논총.
임해원, 이현수. (2018). IT 기술을 활용한 독거노인 고독사 관리 서비스에 관한 연구.
통계청, 2020 고령자 통계,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통계청, 독거노인가구비율(시도/시/군/구),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가구특성별 소득원천별 가구소득,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김소연, 80살 이상 신입도 뽑아요…일본 ‘정년 폐지’ 잇따라, 한겨례, 2021.10.14.,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1015171.html
이재호, 빈곤 노인들에게 매달 30만원 줬다 뺏는 정부...“기초연금 개혁하라” 한겨례, 2021.09.30., https://www.hani.co.kr/arti/society/rights/1013352.html
원소정, 독거 치매 노인 돌봄 ‘사각지대’많다‘. 김해뉴스. 2020.10.20.,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023
최효정, 은퇴 후 가난해지는 삶... 노인 빈곤율 OECD 1위, Chosun Biz, 2021.09.29.,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1/09/29/6NA72ERBBVC4BHHKA62GGLVM4E/
유범상(Bumsang Yoo);이현숙(Hyunsook Lee). (2021). 노인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생명연구, 61(), 27-53. 10.17924/so1c.2021.61.27
이현지 기자. 시사저널 (2022). “韓 100명 중 17명은 노인”…고령인구 900만 명 첫 돌파.
성미애,이현숙,노인복지론,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강,15강. 2019
유범상·문병기.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유범상,이현숙, 노인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에서 선배시민으로, 생명연구, 61. PP.27-53. 2021
유범상,유해숙, 선배시민: 시민으로 당당하게 늙어가기, 마북. 2022
유범상·유해숙·이현숙·고상진·정영정·김정효. 선배시민대학 실천론 개발보고서. 한국노인복지관협회. 2017
정지연, 노인세대의 선배시민 자원봉사단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