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살을시도한 내담자와의 면접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살을 시도한 내담자와의 면접에서 고려할 사항
2.1. 내담자의 안전과 위기 대응
2.2. 내담자에 대한 심리적 지원과 이해
2.3. 자살 위험 요인 평가
2.4. 자원 및 지원 시스템 활용
2.5. 마지막 면담과 후속 조치 계획
3. 사회복지 면접기술 활용
3.1. 공감적 경청
3.2. 개방적 질문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살은 개인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가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OECD 국가 중 장기간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자살을 시도한 내담자와의 면접은 매우 신중하게 다뤄져야 하는데, 이들은 깊은 고통과 불안 속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면접자는 내담자의 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그들의 자살 시도 동기와 배경을 이해하여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면접 기술로는 공감적 경청과 개방적 질문 등이 필요한데, 이를 통해 내담자와의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그들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자살 시도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장하고, 그들이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2. 자살을 시도한 내담자와의 면접에서 고려할 사항
2.1. 내담자의 안전과 위기 대응
내담자의 안전과 위기 대응은 매우 중요하다. 우선 내담자의 현재 안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들이 자살 시도를 한 상황이라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내담자의 주변 환경을 살피고, 자살 위험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만약 내담자가 현재 위험에 처해 있다면, 즉각적인 위기 대응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활력소극적 방법은 내담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이는 내담자가 자살을 시도하거나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을 때, 그들의 신체적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자해를 시도하려고 할 때에는 그들의 손에 날카로운 물건이나 유해한 물질이 없도록 환경을 정리하고, 그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겨야 한다.
또한 대화 기법을 사용하여 내담자와 소통하며 위기 상황을 대응할 수 있다. 내담자에게 안전한 상태에서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안전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내담자의 감정을 듣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들이 자살을 시도한 이유와 그에 대한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내담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
위기 대응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내담자의 신체적 안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전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내담자가 위기 상황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그들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내담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2.2. 내담자에 대한 심리적 지원과 이해
내담자에 대한 심리적 지원과 이해는 상담 과정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은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역량 중 하나이다.
내담자가 자살을 시도한 이유와 그에 대한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들이 느끼는 고통과 불안을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은 상담자가 ...
참고 자료
양옥경, 김정진 외 3명, 사회복지실천론, 나남, 2010.03.05.
윤선오, 사회복지 실천론, 양성원, 2016.08.15.
자살위기 상담매뉴얼, 보건복지콜센터, 2013.1.
중앙자살예방센터, 한국자살현황(2018년).
하루 36명, 40분마다 1명 자살하는 나라...13년째 OECD 1위, 연합뉴스, 2018.1.23.
오혜경, 엄명용 저,‘사회복지실천의 이해’,학지사,2016.07.30
장수미, 최정숙 외 6명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학지사,2017.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