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꿈의 해석
1.1. 책 소개
전세계 최초로 꿈,해몽과 정신분석학을 연관시켜 설명한 프로이트가 저술한 『꿈의 해석』은 꿈을 통해 무의식의 신비로운 현상을 발견하였고, 이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는 정신분석을 체계화한 책이다. 프로이트는 『꿈의 해석』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꿈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꿈을 해석한다는 설정 아래서 꿈에 대한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도록 하였다.
1.2. 프로이트 소개
프로이트는 자신의 정신분석학을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19세기의 생물학과 함께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라는 인간중심주의를 무너뜨린 사상사적 전환점이라 스스로 평가하고 있다"". 그의 공로로 인해 프로이트는 니체, 맑스와 함께 20세기 대표적 사상가로 지목되고 있다"".
1.3. 꿈의 해석을 읽고 느낀 점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을 읽고 느낀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이트의 연구는 이렇게나 체계적이고 방대한 사례분석과 연구를 통해 발표되었지만, 현 시점에서 볼 때 많은 실수와 오류가 담겨져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내용은 아주 흥미롭고 기본적인 꿈에 대한 접근을 하기에는 완벽했다. 이 책에서 있는 연구는 비록 틀린 부분일지라도(일부 내용은 맞기도 하지만) 필자의 경험과 다른 사람의 경험과 빗대어 볼 때 완벽하게 일치하였고 아주 잘 써진 책으로 여겨졌다.
둘째, 프로이트가 주장한 것처럼 꿈은 소원 실현의 공간이라는 사실이 인상 깊었다. 악몽도 모두 소망 충족이 왜곡되어 나타났다는 것을 통해 그동안 필자가 여태껏 꾸었던 꿈들을 되새겨보며 왜 그런 악몽으로 표현되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셋째, 꿈에 대한 프로이트의 견해 중에서 특히 인간의 타락성과 관련된 부분이 충격적이었다. 필자는 원래 꿈은 단순히 우리가 원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프로이트는 꿈이 우리의 본성인 성욕을 드러내기도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인간이 타락했다는 사실에 부끄러움과 두려움을 느꼈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인간의 본모습을 수용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1.4. 꿈의 문제에 대한 학문적 문헌
꿈은 오랜 시간 동안 학자들의 주요한 관심사였으며,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어 왔다. 프로이트 이전에는 꿈 해몽서나 민속적인 해석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고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그의 저서 『꿈의 해석』은 시대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프로이트는 꿈을 단순한 상징의 집합체가 아니라 무의식에 대한 표현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꿈이 억압된 욕망, 감정, 기억 등이 무의식적인 방식으로 표출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꿈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무의식 속에 숨겨진 생각과 감정을 드러내는 중요한 매개체라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이트의 견해는 꿈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프로이트는 꿈 해석 방법으로 자유연상, 꿈의 상징 분석, 꿈의 작업 등을 제시하였다. 자유연상은 꿈에 떠오르는 모든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꿈의 상징 분석은 꿈 속에 등장하는 대상과 상징이 가진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꿈의 작업은 꿈의 내용을 압축, 변위, 상징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