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꿈해석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꿈의 이론적 해석
2.1. 꿈의 정의
2.2. 꿈의 종류
3. 꿈의 기능론적 해석
3.1. 해결책의 암시와 제시
3.2. 미래의 예언
4. 꿈과 풍속
4.1. 제물을 얻는 꿈
4.2. 태몽 [胎夢]
5. 결론 및 시사점
6. 상담이론에서의 정신분석이론
6.1. 프로이트의 정신상담이론
6.1.1. 심리성적발달 단계
6.2. 본인의 고착상태
6.2.1. 생식기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김유신의 큰 누이인 보희가 꿈에서 선도산에 올라가 오줌을 눴는데 어찌나 많이 나오던지 서라벌 전체가 오줌에 잠겼다. 잠에서 깬 보희가 꿈 얘기를 하자 동생 문희가 비단치마를 주고 그 꿈을 샀다. 이는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꿈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꿈은 실제로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이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해 본 서론에서는 꿈에 관한 이야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2. 꿈의 이론적 해석
2.1. 꿈의 정의
우리는 매일 잠을 자고 꿈을 꾼다. 하지만 어떤 날은 꿈의 내용이 전혀 기억나지 않기도 한다. 이럴 때 우리는 '꿈을 꾸지 않았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우리가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것일 뿐이다. 보통 우리가 수면상태에 들어갔을 때 주기적으로 수면의 깊이가 깊어졌다가 얕아졌다가를 반복하는데, 수면이 얕아졌을 때를 일반적으로 REM수면이라고 칭한다. 이 상태에서 우리는 비수면 상태와 비슷한 양상의 뇌파를 가지게 되고 눈 운동 또한 매우 활발해 진다. 우리가 꿈을 꾸는 때가 바로 이 REM수면 상태일 때다. 이렇듯 꿈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가장 먼저 거론되는 학자로는 프로이트와 융을 꼽을 수 있다. 그 둘을 놓고 봤을 때 프로이트가 "나는 왜 이런 꿈을 꾸게 되었을까?"하는 원인론적 관점에서 꿈을 관찰했다면, 융은 "이 꿈은 나를 어디로 끌고 가려고 하는 것일까?"하는 목적론적인 관점에서 꿈에 접근하였다.
2.2. 꿈의 종류
꿈의 종류는 나누기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서양에서는 꿈을 예시적인 꿈, 외상적인 꿈, 텔레파시적인 꿈, 경고적인 꿈 이렇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예시적인 꿈은 우리에게 미래에 일어날 일을 예시하는 꿈이고, 외상적인 꿈은 과거의 감정적 충격이 가시지 않았을 때 그 충격을 없애기 위해 꾸는 꿈이다. 텔레파시적인 꿈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 처한 일이 꿈에 보이는 것이며, 경고적인 꿈은 어떤 일에 대한 경고를 해 주는 꿈이다."
반면 동양에서는 꿈을 영몽, 정몽, 심몽, 허몽, 잡몽으로 나눈다. 영몽이란 신의 계시나 예언과 같이 영험한 꿈을 말하고, 정몽은 순수한 꿈이라고도 하는데 과거의 체험이 바탕이 되거나 욕구가 표출되는 종류의 꿈이 아니라 돌연히, 갑작스럽게 꾸는 꿈을 말한다. 심몽은 평소 마음먹었거나 느낀 것에 대한 꿈을 꾸는 것이고, 허몽은 정신이나 육체가 허약해졌을 때, 귀신에 시달린다거나 하는 꿈을 말한다. 끝으로 잡몽은 허영이나 욕망 따위의 망상들이 꿈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3. 꿈의 기능론적 해석
3.1. 해결책의 암시와 제시
꿈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
참고 자료
김성민, 『꿈의 해석과 영적 세계』, 다산글방, 2002.
백운당, 『해몽하는 법』, 동양서적, 1979.
쉴라 레이버리 저, 김병후 역, 『잠의 치유력』, 이채, 2003
이준용, 『꿈 해몽 비법』, 좋은글, 1997
전용훈, 『물구나무과학』 중 「관상은 과학일까?」, 문학과 지성사, 2000
프로이트의 자아 개념, 고원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과학, 마법 그리고 종교(14): 인간과학과 프로이트, 코트니 라이아 숙명여자대학교 2017-10-20 04:47:03
프로이트의 자아 개념, 고원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과학, 마법 그리고 종교(14): 인간과학과 프로이트, 코트니 라이아 숙명여자대학교 2017-10-20 04:4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