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및 소비트렌드 전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1.1. 서론
1.2.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1.3.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사례
1.4.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외 사례
1.5. 향후 발전 방향
1.6. 결론
2. 액티브 시니어 특징, 소비트렌드 및 향후전망
2.1. 액티브 시니어 개념
2.2. 액티브 시니어 인구구조 변화
2.3. 액티브 시니어 특징
2.4. 액티브 시니어 소비트렌드
2.5. 시장규모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1.1. 서론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유래없이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전체 인구중 20%가 노인)에 진입하였고, 앞으로 10년 동안 베이비부머들의 지속적인 고령화가 이어져 고령화는 지금보다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 노인돌봄과 의료서비스는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돌봄인력과 의료인력의 부족을 타계할 만한 방향으로 사물인터넷과 IoT 기술 등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가 주목받고 있다. 본론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와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ㆍ외 사례를 조사하고,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도록 하겠다."
1.2.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디지털기술(사물인터넷, 웨어러블기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과 헬스케어 분야 간 융합인 디지털 헬스케어는 e-Health, u-Health, 스마트헬스케어 등 다양한 용어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과거에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용어는 디지털과 헬스케어 간 융합의 일부분만을 다루거나 국제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으나, 현재 디지털 헬스케어는 다양한 융합 분야를 다루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추세이다.
WHO는 디지털헬스케어를 건강과 관련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상적 혹은 혁신적 형태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사용하는 분야로, 건강 관련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통신기술 및 모바일 무선기술 등의 기술, 빅데이터, 유전체학, 인공지능 등 진보된 기술이 건강 분야에 융합되는 영역까지도 포괄하는 용어로 정의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디지털헬스케어가 모바일 헬스, 건강정보 기술, 웨어러블 기기, 원격진료 및 원격의료, 맞춤의료 등 광범위한 범주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디지털헬스케어를 통해 개인을 위한 건강관리를 보다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헬스케어를 "데이터로 연결된 지능기반의 건강관리로서 헬스케어와 의료 빅데이터를 연결한 최첨단 ICT가 융합한 개인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의료서비스로 의료서비스 사용자가 데이터의 생산자로 의료서비스 생산에 참여하게 되어 공동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의료서비스"라고 정의한다.
1.3.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사례
국내에서는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해 다양한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먼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사업'은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가정에 화재·가스감지기 등을 설치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시범사업이 연기되었고, 장비의 오작동, 데이터 전송 오류, 정보 인식 오류, 전달체계 등의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하여 소방대의 불필요한 출동이 잦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오류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은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손목 활동량계, 블루투스 체중계, 혈압계, 혈당계, AI 생활 스피커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기기가 사용되고 있고, 모바일 앱을 통해 기기 연동 및 데이터 전송, 노인에게 일상미션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유자만 가능하고 안드로이드 개발만 이루어져 아이폰 사용자는 서비스 참여가 불가...
참고 자료
이윤경 외.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21.
이준영,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스마트 융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전은선,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의 서비스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기대와 사용자효용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관계부처합동. 한국판 뉴딜 2.0 : 미래를 만드는 나라 대한민국. 관계부처합동. 2021.
정책보도자료, 「어르신, 가정에서 비대면으로 건강관리서비스 받으세요!」, 보건복지부, 2020.10.29
보건복지부. 「2022년도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pp. 3-5. 2022.
WHO 홈페이지 https://www.who.int/publications/who-guidelines
[투자 큰손, 액티브 시니어 ①] 新 소비층 핵심된 액티브 시니어/장서윤/2020.04.11
소비시장 새로운 큰 손, 액티브시니어가 뜨고 있다/이길상/2022.02.25
100세 인생 시대 '액티브 시니어'로 살아가는 법 PART1/김지아/2017.01.11
시니어, 마켓의 변화를 주도하다/서용구/2022.02.09
[한섬칼럼] 老? NO! 거대 소비주체 ‘액티브 시니어’/이영희/2021.05.14
‘웰에이징’ 시장 트렌드 주도하는 5060세대/권오섭/2021.10.14
“MZ는 가라, 시니어가 온다”…구매력으로 무장한 5070/이다비/2022.01.05
코로나로 '5060'도 배달앱 단골 이용...2030 명품 선호/한승후/2021.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