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물 부족 현황
1.1. 세계의 물 부족 현황
세계의 물 부족 현황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현재 전 세계 8억 8400만 명이 깨끗한 물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26억 명이 안전한 공중위생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2025년에는 기후변화와 인구증가, 1인당 물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세계인구의 절반 수준이 물부족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물 사용량 증가, 그리고 신규 수자원 개발의 어려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세기에 인구는 두배로 증가한 반면 물 사용은 6배나 늘어났다. 이에 따라 1인당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이 감소하고 환경 피해도 더욱 커지고 있다. 유엔은 21세기 중반이 되면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 이상인 최대 60개국 70억 명이 물 부족으로 고통을 겪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적인 물 부족 문제는 시급한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각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협력하여 물 관리 및 보존을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1.2. 우리나라의 물 부족 현황
1.2.1. 우리나라 물 부족 실태
우리나라의 물 부족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2006년 기준으로 연간 1인당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은 1,512㎥로, 국제인구행동연구소에서 발표한 물 스트레스 국가에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수자원 총량은 2003년 기준 1,240억㎥지만 이중에서 제대로 사용되는 물은 27%에 불과하다. 이는 연간 강수량이 세계 평균인 880mm보다 많은 1,245mm지만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인데다 하천경사가 급해 유실량이 많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댐 건설과 상수도관 정비로 자연유출되거나 새나가는 물을 가둬 잡는 것만으로도 많은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상습적인 가뭄 피해지역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댐 건설 등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2.2.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사용량 급격한 증가
인구 증가에 따른 물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는 심각한 물 부족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전 세계 인구는 1950년 25억 명에서 1990년 53억 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83억 명, 2050년에는 10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 증가로 세계의 물 소비는 과거 40여 년 동안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UN 산하 인구행동연구소(PAI)에 따르면 1990년에는 28개국, 3억3천5백만 명이 물기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