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반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론적 배경
1.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대두
1.1.2. CSR 개념
1.1.3. 사회적 책임의 유형
1.2. 사회적 책임의 찬반론
1.2.1. 기업의 본질적 가치
1.2.2. 사례분석
1.3. 기업의 CSR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기업에 미치는 영향
1.3.1.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 3조 시대
1.3.2. 사회적 책임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1.4. 대책 및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이론적 배경
1.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대두
세계화의 급속한 진전과 글로벌 경제위기라는 국제적 환경 속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요구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기업이 이익 극대화에만 관심을 기울이다 보니 인권침해, 정경유착, 뇌물제공, 분식회계, 기업지배구조 문제, 환경파괴 등의 문제를 야기시켜 사회로부터 반기업 정서가 생겨났다. 이에 따라 노동자, 소비자, NGO, 국제기구 등으로부터 기업의 비윤리적 경영에 대해 지탄을 받게 되었다. 결국 기업은 사회적으로 가장 영향력이 큰 집단이 되면서 그들이 누리게 된 지위에 걸맞은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기대도 함께 높아졌다. 이와 같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기업의 존재 가치와 목적이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이익 극대화에서 경제적 가치 극대화, 그리고 사회적 책임에 따른 사회적 가치가 중시되어졌다."라고 할 수 있다.
1.1.2. CSR 개념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용어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즉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라는 약자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의 CSR 이론의 기초는 '이해관계자이론(Stakeholder Theory)'을 통해 형성되었다. 즉,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 소비자 및 협력 파트너의 이익을 중시할 경우 기업 경쟁력이 직접적으로 강화되며, 외부이해관계자인 지역사회, 환경 등 사회 차원의 이해관계자를 중시할 경우 기업의 명예가 높아짐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1.1.3. 사회적 책임의 유형
CSR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다. Archie B. Carroll 교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범주를 경제적 책임(economical responsibility), 법적 책임(legal responsibility), 윤리적 책임 (ethical responsibility), 자선적 책임(philanthropic r...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김나민(Kim Namin),and 윤성준(Yoon Sung-Joon).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지각된 품질의 상호작용." 商品學硏究 29.5 (2011): 77-88. 공기업과 사기업의 차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