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체해부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체 순환계의 특징
1.1. 태아 순환의 특성
1.2. 혈액 유지를 위한 구조
1.3. 태아의 폐 기능 및 호흡
2. 호르몬의 종류와 기능
2.1. 호르몬의 정의 및 분류
2.2. 뇌하수체 호르몬의 종류와 역할
2.3. 갑상선, 부신, 이자 등의 호르몬
2.4. 성 호르몬의 작용
3. 인체 해부학의 기본 용어 및 부위
3.1. 인체의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3.2. 머리와 얼굴 부위
3.3. 목, 가슴, 배, 등의 부위
3.4. 팔, 다리, 골반 등의 부위
4. 인체 운동의 종류와 특성
4.1. 신체 관절의 굽힘, 펴짐, 모음, 벌림
4.2. 회전, 엎침, 뒤침 등의 운동
4.3. 내밈, 들임, 올림, 내림의 움직임
본문내용
1. 인체 순환계의 특징
1.1. 태아 순환의 특성
태아 순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태아가 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태아의 몸은 폐로 가는 혈액을 최대한 다른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난원공과 동맥관이라는 두 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난원공은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정상인의 경우 "우심방 → 우심실 → 폐"의 순서가 태아의 경우 우심실로 가야할 혈액이 난원공을 통해 일부 빠져나가 바로 좌심방에 다다르게 된다. 이로 인해 좌심방에 흘러들어온 혈액은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경로로 흐르게 된다.
다음으로 동맥관은 폐동맥과 대동맥 사이에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순환경로가 "우심실 → 폐동맥 → 폐"의 순서였는데, 태아의 경우는 폐가 아니라 대동맥으로 빠지게 된다. 그 결과 혈액이 대동맥에서 온몸으로 빠지게 된다.
태아가 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자궁 속의 태아는 폐호흡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태아의 폐는 태반과 제정맥을 통하여 모체로부터 산소를 받아 들이며, 제정맥은 제대속을 구불구불하게 통과하여 배꼽을 지나 간에 이르러 상대정맥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산소를 포함한 혈액은 간으로 흘러들어가 하대정맥으로 유입되어 우심방으로 유입된다.
이처럼 태아 순환에서는 폐 순환을 우회할 수 있는 두 가지 구조인 난원공과 동맥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태아는 모체로부터 직접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폐호흡을 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1.2. 혈액 유지를 위한 구조
태아에게는 폐를 쓰지 않아도 정상적인 순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두 가지 존재한다. 첫째는 난원공(foramen ovale)이다. 난원공은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있는데, 이로 인해 정상인의 경우 우심실로 가야 할 혈액이 난원공을 통해 일부 좌심방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써 좌심방에 흘러들어온 혈액은 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경로로 순환하게 된다. 즉, 태아에서는 폐로 가는 혈액을 난원공을 통해 온몸으로 보내는 것이다.
둘째는 동맥관(ductus arteriosus)이다. 동맥관은 폐동맥과 대동맥 사이에 존재하는데, 정상인의 경우 폐동맥 - 폐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의 경로로 혈액이 순환하지만, 태아의 경우 폐로 가는 혈액이 동맥관을 통해 대동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대동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공급되게 된다.
이처럼 태아에게는 난원공과 동맥관이라는 두 가지 구조가 폐를 우회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태아의 정상적인 순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1.3. 태아의 폐 기능 및 호흡
태아의 폐는 태반과 제정맥을 통하여 모체로부터 산소를 받아 들이므로 폐 호흡을 하지 못한다. 대신 태아의 순환계는 난원공과 동맥관을 통해 우회로를 만들어 폐로 가는 혈액을 최대한 다른 방향으로 돌려 태아 순환을 유지한다. 난원공은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에 존재하여, 정상인의 경우 "우심방 → 우심실 → 폐"의 순서로 흐르는 혈액이 태아에게서는 난원공을 통해 일부 좌심방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좌심방에 흘러들어온 혈액은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의 경로로 순환한다. 또한 동맥관은 폐동맥과 대동맥 사이에 존재하여, 태아에게서는 폐가 아닌 대동맥으로 혈액이 흘러나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태아의 혈액은 폐로 가지 않고 대동맥으로 흘러 온몸을 순환하게 된다. 이처럼 태아는 폐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산소 공급을 위해 모체로부터 제공받게 되며, 출생 후 폐 호흡이 시작되면...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