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부조직 손상 및 근골격계 손상
1.1. 피부의 기능 및 구조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우리 몸을 보호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신체를 외부의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피부의 표피층은 박테리아나 세균의 침입을 막는 방어벽 역할을 하며, 특히 표피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은 방수 기능을 하여 수분 손실을 막는다. 또한 피부는 체온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의 확장과 수축, 그리고 땀샘의 분비를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감각 기능 또한 피부의 중요한 역할로, 피부의 감각 신경을 통해 온기, 냉기, 압박, 통증 등의 자극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피부는 신체를 보호하고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의 세 가지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는 가장 바깥층으로, 각질세포, 멜라닌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 등이 존재한다. 각질세포는 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의 약 90%를 차지한다.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랑게르한스 세포는 면역 반응을 담당한다. 진피는 표피 아래에 위치하며,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풍부한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의 강도와 탄력을 제공한다. 또한 모낭, 땀샘, 혈관 등이 존재한다. 피하지방층은 진피 아래에 위치하며, 지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체온 유지, 장기 보호, 에너지 저장 등의 역할을 한다.
이처럼 피부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우리 몸을 보호하고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피부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는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피부 관리와 보호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연부조직 손상의 종류
1.2.1. 개방성 상처
개방성 상처는 피부가 찢어져 상처 부위가 외부에 노출된 상처이다. 개방성 상처에는 찰과상, 열상, 절상, 자상(관통상), 박탈상(결출상), 절단상 등의 다양한 유형이 있다.
찰과상은 피부의 표피층만 다친 경우로, 신경의 말단이 피부와 함께 벗겨져 통증을 유발한다. 상처 부위가 크거나 이물질이 상처 안으로 들어가면 감염의 위험이 있다.
열상은 상처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생긴 상처로, 주로 자동차나 물체에 부딪치거나 강한 힘을 받을 때 생긴다.
절상은 가장자리가 매끄럽게 수술 시 절개 부위처럼 생긴 상처로, 상처의 깊이, 위치, 크기에 따라 출혈량이 다르다.
자상(관통상)은 손톱이나 칼에 찔린 상처로, 상처가 깊고 좁아 피부의 내부 조직까지 상처가 남는다. 상처 부위가 작아 보이지만 감염의 위험이 크고 원인이 되는 물체가 꽂혀있기도 한다.
박탈상(결출상)은 살이 찢어져 상처 부위에 붙어 있기도 하고 완전히 떨어져 나가기도 하는 상처로, 주로 귀, 손가락, 손에서 발생한다. 떨어진 조직을 잘 유지하여 병원으로 가져가야 한다.
절단상은 손가락, 발가락, 손, 발, 팔, 다리와 같은 신체 부위가 잘려 나간 경우로, 잘려 나간 부위를 병원으로 함께 이송해야 한다. 절단 부위를 6시간 이내에 적절히 처치하지 못하면 접합 가능성이 낮아진다."이다.
1.2.2. 폐쇄성 상처
폐쇄성 상처는 피부 표면이 개방되지 않고 표피 아래의 조직과 혈관이 파손되어 폐쇄된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상처이다. 이러한 폐쇄성 상처에는 내부 조직의 손상, 출혈, 근육 파괴, 골절, 탈구, 장기 파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폐쇄성 상처의 대표적인 경우로는 강타, 충격, 추락이나 자동차 사고 등 둔탁한 물체가 몸에 부딪힌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부 표면이 개방되지 않더라도 표피 아래 조직과 혈관이 파손되어 폐쇄된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폐쇄성 상처는 연조직의 파괴, 내부 조직의 손상,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떨어짐이나 탈구에 의한 골절, 타박상, 좌상, 내부 열상, 장기 파열 등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폐쇄성 상처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1.3. 드레싱의 종류
드레싱의 종류에는 습윤 드레싱, 건조 드레싱, 접착 드레싱, 거즈 드레싱 등이 있다.
습윤 드레싱은 상처 표면이 지속적으로 습윤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통증을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