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 다문화가족 복지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한국의 가족복지정책
2.1.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
2.2. 가족복지정책의 문제점
3.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4. 다문화가정의 복지정책
4.1.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4.2. 다문화가정의 복지정책 대안
5. 결 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급격한 사회변화와 출산률 감소로 인한 핵가족화로 가족 기능이 약화되면서 사회복지서비스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중심의 치료 위주의 사회복지대책이 아닌 가족복지를 통한 예방과 치료를 통합하는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오늘날 현대 가족은 과거 가족이 지닌 주요 기본적인 기능을 이미 사회에 넘겼음에도 상당한 책임을 여전히 지고 있다. 이는 자유주의적 복지이념아래 가족에게 많은 책임을 전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국가와 지역사회가 나서서 가족복지정책 아래 밀접한 상호관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레포트에서는 한국의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과 문제점, 외국의 가족복지정책 사례, 다문화가정의 복지정책 문제점 및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2. 한국의 가족복지정책
2.1.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
우리나라 사회는 급속한 가족구조 변화를 경험하면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따라 가족의 주요 기능이 약화되면서 가족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가족의 자녀 보호 기능이 약화되었고, 고령화와 가족 가치관의 변화로 가족의 노인 부양 기능도 약화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가족 병리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개별 가족이 이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가족 문제는 단순히 개별 가족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 안정과도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가족복지정책이 필수 불가결하게 되었다. 국가 차원에서 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복지 정책이 필요한 것은 가족의 변화뿐만 아니라 현대 복지의 패러다임이 변화한 것에서도 기인한다. 과거의 복지는 사회 취약계층에 국한되었고 사후 치료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오늘날 복지 패러다임은 '보편적 복지'를 지향하며 문제 해결에 있어 사후 치료뿐만 아니라 사전 예방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대상에 있어서...
참고 자료
김찬동(2017), 「국내에 적용 가능한 해외 다문화정책 사례」, 『지방행정』 66(768),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김혜영(2014),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이념과 정책의 탈구」, 『여성연구』 8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이미현(2018), 「해외 사례로 본 다문화 정책의 방향성」, 『도시문제』 53(599),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임경애(2009), 「국제결혼이주자의 다문화가족복지정책에 대한 구조 기능적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현숙(2009), 「한국 가족복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스웨덴의 분야별 복지제도, 주OECD대한민국 대표부, 2005, pp.7~14.
문성식 외, 다문화가정의 이해, 아담북스, 2012, pp.21~53.
한국 가족복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최현숙,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 행정학과 행정학 전공, 2009. 8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복지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장재열,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