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후 성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2.1. PTSD의 정의와 증상
2.2. PTSD의 원인 및 사례
3. 외상 극복 방안
3.1. 마음챙김 명상
3.2. 인지행동치료
3.3. 스트레스 면역 훈련(SIT)
4. 외상 후 성장
4.1. 외상 후 성장의 개념
4.2.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4.3. 성장을 위한 방안
4.3.1. 규칙적인 운동
4.3.2.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사건을 당하여 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은 다음에 신체손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2차적으로 특수한 정신과적 증상이 나타나는 장애를 말한다. 여기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사건은 대표적으로, 교통사고, 자연재해, 산업장 사고, 폭력, 폭행 혹은 전쟁과 같은 것들을 지칭한다. 이런 사건사고를 겪은 후 보통 적응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5가지 종류의 장애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하위 장애 증상들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침투 증상, 외상 사건과 관련 있는 자극의 회피, 부정적인 인지와 기분, 과잉각성과 지나친 반응성이 있다. 이러한 PTSD는 후천적인 장애이므로 원인을 파악하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고 완전한 치료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본인과 주변이 장애증상을 어떻게 대처할 지 잘 파악한다면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하다.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2.1. PTSD의 정의와 증상
PTSD의 정의와 증상은 다음과 같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사건을 당하여 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은 다음에 신체손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2차적으로 특수한 정신과적 증상이 나타나는 장애이다. 이러한 사건사고에는 대표적으로 교통사고, 자연재해, 산업장 사고, 폭력, 폭행 혹은 전쟁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사건을 겪은 후 일반적으로 적응 장애, PTSD,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등의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PTSD로 진단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증상들이 1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1개월 미만의 증상은 단순 급성 스트레스 장애로 분류된다.
PTSD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침투 증상, 외상 사건과 관련 있는 자극의 회피, 부정적인 인지와 기분, 과잉각성과 지나친 반응성이 있다. 침투 증상은 외상 사건과 관련된 반복적인 악몽이나 플래시백과 같이 외상 기억이 의식적으로 떠오르는 것을 말한다. 회피 증상은 외상과 관련된 생각, 감정, 대화, 활동 등을 피하려 하는 것이다. 부정적인 인지와 기분에는 타인이나 세계에 대한 부정적 신념, 자책감, 분노, 죄책감 등이 포함된다. 과잉각성과 지나친 반응성에는 수면 장애, 과도한 경계심, 충동성 등이 해당된다.
이와 같은 PTSD 증상은 전쟁 경험자나 참전용사들에게서 많이 나타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PTSD를 겪는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자연재해, 폭행, 교통사고 등의 트라우마 경험자들도 PTSD를 호소할 수 있다. 또한 어린 시절의 학대나 폭력 경험, 가족력, 정신장애 등도 PTSD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2. PTSD의 원인 및 사례
PTSD의 원인 및 사례는 다음과 같다.
PTSD는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사건을 당하여 정신적으로 심한 충격을 받은 다음에 발생하는 장애이다. 여기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사건에는 교통사고, 자연재해, 산업장 사고, 폭력, 폭행 또는 전쟁 등이 있다. 이런 사건사고를 겪은 후 적응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TSD 발생의 대표적인 사례로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삼풍 백화점 붕괴 사고가 있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당시 5만 명의 주민이 대피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피...
참고 자료
吳相宇. "外傷後 스트레스障碍 ." 圓光精神醫學 1.5 (1985): 17-21. 外傷後神經症.
김승태 외. “삼풍사고 생존자들에서의 급성 외상후스트레스장애:발생빈도, 예측인자, 증상 변화에 대한 예비적 연구.”(1997).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6, No 3
윤병수, 2020,「PTSD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가능성」,『정서·행동장애연구 』제36권 제3호.
김예원 외 3인, 2020,「잠재프로파일분석(LPA)를 통한 성인 외상 경험자의 PTSD 증상의 유형과 특성 분석」,『상담학연구』제21권 제1호.
박아름 외 3인, 2018,「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정신치료에 대한 양ㆍ한방 비교 고찰」,『동의신경정신과학학회지』제29권 제1호.
경기메디뉴스(http://www.ggmedinews.com).
청년의사(https://www.docdocdoc.co.kr).
병원신문(https://www.khanews.com).
동아일보(https://www.donga.com).
신주내, 2018,「PTSD 치료에 있어 정신분석 이론의 적용과 분석가의 역할 : 비온 이론을 중심으로」,『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유성훈·김태원·강용주, 2014,「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진 만성요통 환자에게 도수치료가 외상후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사례 연구」,『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제20권 제1호.
최승미·김영재·권정혜, 2013,「인지적, 문제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PTSD 증상 수준에 따라」,『인지행동치료』제13권 제2호.
김명식, 2009,「PTSD의 인지행동치료」,『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권 제1호.
김안젤라, 2008,「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대한 미술치료의 의미와 역할 - 신경화학적 관점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지』제8권 제1호.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