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문화읽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재일코리안 3세대의 키워드: 차별과 조화
1.1. 영화 속 차별과 극복
1.2. 일본인과의 조화
2. 일본 유치원 교육의 특징
2.1. 아동에 대한 자유로운 교육
2.2. 중요시되는 가정교육
2.3. 부모와 아동이 함께 하는 유치원
3. 한·중·일 3국의 여성 생활과 변화
3.1. 여성의 사회적 진출과 경제 활동
3.2. 혼인과 가족관에 대한 변화
4. 일본 문화에 나타난 특징
4.1. 메이와쿠: 집단 내 조화와 타인에 대한 배려
4.2. 코다와루: 일본 애니메이션과 만화의 장인정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일코리안 3세대의 키워드: 차별과 조화
1.1. 영화 속 차별과 극복
영화 《잿빛 눈빛》을 통해 본 재일코리안 3세대의 키워드는 '차별'과 이를 극복해 이뤄낸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이 '차별'을 당한 후 그들과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사건은 조선 학교에 다니던 츠기하라가 일본 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발생한다. 일본 학교로 전학을 간 츠기하라는 전학 첫 날부터 많은 학생들과 몸싸움을 하게 된다. 이는 츠기하라가 재일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놀림을 받으면서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이후 츠기하라는 자신과 싸웠던 학생들 중 한 명인 카토와 친구가 되었고, 카토가 초대한 생일파티를 가면서 학교에서도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사건은 츠기하라의 여자친구 사쿠라이와 관련된 것이다. 카토의 생일파티에서 만난 사쿠라이와 연인이 된 츠기하라는 즐거운 시간을 보냈지만, 츠기하라가 일본인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사쿠라이는 이별을 말하게 된다. 하지만 사쿠라이는 곧 츠기하라에게 다시 연락을 하면서 이 둘은 다시 재회하게 된다. 한국인 신분인 츠기하라는 일본인 사쿠라이와 조화를 이룬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사건은 츠기하라의 가장 친한 친구인 정일이 죽는 장면이었다. 정일은 곤란한 상황에 처한 한국인 여학생을 구해주기 위해 나섰지만 칼을 든 일본 학생에게 칼을 맞아 죽었다. 이 일을 계기로 츠기하라가 일본에 대한 반발심이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는 "내 안의 조선인의 혼이 남아있다면 20엔에 팔겠다"라며 정일의 죽음을 슬퍼하는 모습을 보였다. 즉, 츠기하라는 정일의 죽음을 그 자체로 슬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잿빛 눈빛》에서 재일코리안 3세대의 키워드는 '차별'과 이를 극복해 이뤄낸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속에서 츠기하라는 조선 사회에서 일본 문화 즉, 사회나 친구들과 어울리지 않고 살아갈 수도 있었지만 이를 깨고 더 큰 사회로 나가 모든 차별을 극복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1.2. 일본인과의 조화
영화 를 통해 재일코리안 3세대는 일본 사회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일본인들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인 츠기하라는 일본 학교로 전학을 가면서 일본 학생들로부터 자신이 재일한국인이라며 놀림을 받는다. 하지만 그는 일본 학생 카토와 친구가 되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일본인 여자친구 사쿠라이와도 연인이 된다. 이처럼 츠기하라는 일본 사회에 동화되어 가며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받고 일본인들과 조화를 이루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츠기하라의 가장 친한 친구인 정일이 일본 학생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지만, 츠기하라는 이에 대한 반발심보다는 정일의 죽음을 슬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츠기하라가 일본 사회에 완전히 동화되지는 않았지만, 일본인들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츠기하라 아버지는 아들에게 "원 밖의 세상에 나갈 것인가"라며 묻는다. 이 장면에서 알 수 있듯이, 츠기하라는 조선 사회에서 일본 사회로 나아갈 것을 결심한다. 이는 그가 자신의 정체성을 일본 사회 속에서 찾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비록 츠기하라가 차별과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그는 일본인들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재일코리안 3세대인 츠기하라는 일본 사회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일본인들과 조화를 이루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참고 자료
한국일보 일본 시민들은 왜 가만히 있는 것일까?
https://www.youtube.com/watch?v=Hx97lqsZFGM
『2014 도시계획현황통계』, 국토교통부, 2014
“[데이터로 본 불법 주정차] 서울시 지난해 주정차 위반 과태료만 1107억원”, 중알일보 강남센터, 2016년 6월 29일, http://gangnam.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20234559, 2016년 10월 14일에 확인
“주차 다툼 없는 일본…"차 사려면 주차장 확보 먼저", MBC뉴스, 2014년 11월 17일,
http://imnews.imbc.com/replay/2014/nwtoday/article/3558495_18458.html, 2016년 10월 14일에 확인
『세대별 정치 이데올로기 차이 - 한ㆍ중ㆍ일 3국의 시민의식 비교』, 박희봉·이희창, 2006
"월트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97%B0, 2016년 10월 25일에 확인
『2016년도 일본콘텐츠산업동향 제5호 이슈』,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년 4월 5일.
강항, 『간양록』, 김찬순 옮김, 보리, 2006, p.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