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상을 리드하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21세기 교회의 현황과 전망
1.1. 교회의 본질
1.2. 초기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 개척자들
1.3. 교회의 목회적 기능
1.3.1. 복음전도
1.3.2. 교육과 훈련
1.3.3. 예배
1.4. 교회 정치
1.4.1. 교회 조직의 의의
1.4.2. 교회 정치의 형태
1.4.3. 교회와 국가의 관계
1.4.4. 교회 직원의 종류와 자격
1.5. 예배의 상황적 표현
1.6. 21세기 한국교회의 전망
1.6.1. 신세대의 출현
1.6.2. 가속적 변화
1.7.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21세기 교회의 현황과 전망
1.1. 교회의 본질
교회의 본질은 로마 카톨릭 교회, 그리이스 정교회, 개신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로마 카톨릭 교회는 교회의 본질을 교황 아래 법적인 목자들의 지도를 받고 세례와 성례에 참여하는 자들로 구성된 외형적 조직에서 찾는다. 그리이스 정교회 또한 카톨릭과 거의 유사하게 현실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실체인 가견적 교회(可見的 敎會)만을 강조한다. 반면 개신교는 외면적 조직보다는 그리스도의 피로 씻음받은 성도들의 모임을 교회로 본다. 유형 교회(有形敎會)는 단지 부차적 요소로 여긴다.
이처럼 교회의 본질에 대한 관점은 교파별로 다른데, 이는 교회에 대한 성경적 이해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된 성도들의 공동체이다. 따라서 교회의 본질은 외형적 조직이나 형태가 아닌 그리스도와의 영적 연합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초기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 개척자들
그리스도의 교회는 한국에 어떤 경로를 통하여 들어오게 되었는가? 동석기 전도자(1881-1972), 강명석 전도자(1897-1944), 이흥식 전도자(1912-1991)가 이 분야에서 크게 기여했다.
동석기 전도자는 함경북도 북청 출신으로 미국 유학 시절 그리스도의 교회 환원운동을 접하고 귀국 후 북한지역과 서울지역에서 복음을 전파했다. 그는 1936년 서울 내수동에 최초의 그리스도의 교회를 세웠다.
강명석 전도자는 경남 밀양 출신으로 감리교 목사가 되었다가 유학 중 그리스도의 교회 환원운동을 알게 되어 귀국 후 울산, 경주 등 영남지역에 교회를 개척했다. 그는 환원운동뿐만 아니라 기독교 문단에서도 활동하며 신학적 기여를 했다.
이흥식 전도자는 동석기 전도자를 통해 복음을 받고 평생을 그리스도의 교회 발전을 위해 바쳤다. 그는 부산, 대구, 서울 등 전국 각지에 10여 개의 교회를 개척하거나 동역했으며, 교회 재산 보호와 신학교 발전에도 힘썼다. 이흥식 전도자의 생애는 초기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동석기, 강명석, 이흥식 전도자 등이 한국 그리스도의 교회 개척과 성장에 큰 역할을 했다. 그들의 노력으로 그리스도의 교회가 한국에 뿌리내릴 수 있었다""
1.3. 교회의 목회적 기능
1.3.1. 복음전도
복음전도는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명 중 하나이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마태복음 28:19)고 명령하셨다. 이는 교회가 복음을 전파하여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제자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복음전도의 목적은 죽어가는 영혼들을 구원하여 하나님의 나라로 인도하는 것이다. 교회는 세상 사람들이 진리를 깨닫고 구원받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교회가 복음을 외면한다면 교회의 본질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거하여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해야 한다.
복음전도는 교회가 행해야 할 가장 핵심적인 사역이다. 교회는 지역 사회와 세상을 향한 선교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교회는 끊임없이 복음을 전파하고, 새로운 제자를 양성해야 한다. 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복음전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교회가 복음 전파에 힘쓰지 않는다면 그 교회는 점점 쇠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교회는 복음전도에 더욱 힘써야 한다.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도 변함없이 복음의 진리를 증거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메시지를 전해야 한다. 세속화된 세대 속에서 교회는 담대히 복음을 선포하여 영혼을 구원하고, 하나님 나라를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1.3.2. 교육과 훈련
교회의 두 번째 중요한 기능은 복음을 받아들이고 그리스도인이 된 교인들을 신앙적으로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일이다. 교회의 교인들이 아무리 많아도 그들이 교육받고 훈련되지 못하면 그들은 다만 냉동실 안의 냉동된 자산에 불과한 것이다. 교회 안의 모든 교인들이 신앙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그들의 가슴속에 기독교의 고상한 가치관을 확립하게 될 때 그들의 삶이 바뀌고 그들이 속한 사회가 변화되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게 된다.
성경은 우리가 지녀야 할 가장 고상한 가치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린도전서 13장 13절). 교회의 교육과 훈련은 이 가치관이 궁극적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믿음(faith)은 절대적이며 영원한 가치를 지닌 신념이다. 테레사 수녀의 신념이 바로 그러한 신앙이다. 이러한 믿음의 고상한 가치관을 지니고 살아갈 때 인간은 비로소 세상적인 모든 것을 객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소망(hope)은 오늘을 살아가는 힘이며 역경을 견디고 이기게 하는 원동력이다. 확실하고 변치 않는 소망은 절대적인 존재에 대한 믿음을 근거로 해야만 한다. 그 믿음에서 우러나오는 꿈과 비전과 소망이 있을 때 인간은 오늘의 장애를 넘어 미래 지향적인 삶을 살 수 있다.
셋째, 사랑(love)은 믿음과 소망의 가치가 진정으로 고상한 가치가 되기 위한 필수적 요소이다. 테레사 수녀의 사랑이 바로 그러한 사랑이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사랑의 사명이 주어져 있다. 교회는 교육과 훈련을 통해 교인들을 사랑의 제자들로 만들어야 하고 그들을 통해 사회와 국가와 세계를 사...
참고 자료
강신권, 「21세기를 향한 리더십」(서울: 쿰란출판사, 1996), p. 30.
김명훈, 「리이더쉽론」(서울: 대왕사, 1975), p. 71.
김병원, 「목회학」(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3), p. 11
김상복, 「목회자의 리더십」(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7), p. 77-78.
김순규, 「크리스챤 리더십」(서울: 세무교육정보센타부설 성음소리, 1987), p. 13.
명성훈, 「창"조용기 목사"적 리더십」(서울: 말씀사, 2000), p. 18.
박윤선, 「구약주석 사기서 제4권」(서울: 영음사, 1987), p. 105. 3
박형렬, 「탁월한 목회 리더십」(서울: 도서출판 치유, 1994), p. 31.
존 맥스웰(John Maxwell) 「당신 안에 잠재된 리더십을 키우라」강준민 역, (서울: 도서출판두란노, 1997), p. 16.
채구호, “현대 도시교회의 목회자상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신대 대학원, 2008,
Burns, James MacGregor. 1978. Leadership. New York, NY: Harper and Row.p.20
Cullen, E. (1992). A vital way to manage change, Education. November 13, pp.3~17.
Dubious, D.D(Ed),(1993). The Competency Case book, HRD Press.
E. A. Locke,(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 Rand McNALLY, p.130.
Fairholm, G.W. (1991), Values Leadership: Toward a New Philosophy of Leadership, Praeger, New York, NY.p. 14.
John. W. Gardner,「'The Nature of Leadership: Introductory Consideration'」(Washington: Independent Sector, 1986), p. 6. 참"조용기 목사" 재인용
Mouton. S.(2002). Performance and Development Review 360 Feedback, SPHR. Nixon, C. Jr.(1990).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superior performing middle managers from average performing middle managers withi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UMI.
Robert D. Dale, 「Ministers as Leaders」 (Nashville, Tenessee: Broadman Press, 1984), p. 11-12. 참"조용기 목사" 재인용
Tart,C.(Ed.). 1975. Transpersonal Psychologies. NY ; Harper & Row.
Wulff. D.M. 1996. The Psychology of Religion ; An overview In. E. P. SHAFRANSKE. (ED.). Rligion & Clinical Psychology pp.43-7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Zinnbauer, Pargament & Scott, 1999 the Prescriptive compulsion of a Spiritual capitalism, (Lofton, 2006,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 39, No. 4)
17쪽 20,000만 - 2만 또는 20,000달러
68쪽 2,500명이하의 마을이 종족이 없어질 --- 종적
83쪽 4째줄 초기의 정의들은 앞선 정의들은 바꿀 수 --- 앞선 정의들을 바꿀 수
87쪽 아래서 5째줄 집중에서 ---집중해서
106쪽 5째줄 일차는 곧 --- 일치는 곧
144쪽 7째줄 퍼시픽 크 리스찬 대학의 --- 퍼시픽 크리스찬 대학의
220쪽 아래서 6째줄 ‘편리성’이라는 소제목이 있어야 항 자리 같음
238쪽 아래서 2줄 모두 다음의 239쪽 위의 두줄과 중복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