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소셜 미디어가 급격하게 진화하고 발전하면서 레거시 미디어의 아성을 허물고 있다. 더불어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생태계 변화도 굉장히 빠르게 진행 중이다. 일부는 새롭게 등장하는 소위 뉴 미디어는 레거시 미디어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의 역할을 할 뿐이라며 뉴 미디어의 등장을 평가절하하지만 뉴 미디어의 쓰나미를 레거시 미디어가 버텨낼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리포트는 새롭게 떠오르는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핵심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변화를 살펴보기로 한다.
2.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
2.1. 소셜 미디어의 정의 및 역사
소셜 미디어의 정의 및 역사는 다음과 같다.
소셜 미디어는 웹 2.0 기술에 기반한 관계지향 서비스로, 이용자 간 콘텐츠 및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미디어를 말한다. 소셜 미디어라는 용어는 1997년 티나 샤키드가 처음 사용하였다. 샤키드는 관계 서비스를 총칭하는 말로 소셜 미디어 개념을 제안했는데, 이는 지금까지도 유효한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역사는 그 기원이 비교적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1979년 톰 트라이브(Tom Truscott)과 짐 엘리스(Jim Ellis)가 최초의 인터넷 토론 시스템인 usenet을 개발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초기 모델이 등장하였고, 1980년대 BBS(Bulletin Board System)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인간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는 웹 1.0 시대가 열리면서 개인 홈페이지, 메신저 등이 등장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웹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서비스가 본격화되었다.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로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웹 2.0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이용자 간 관계 형성과 콘텐츠 공유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틱톡, 클럽하우스 등 새로운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이 등장하며 소셜 미디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2.2. 소셜 미디어의 핵심 특성
소셜 미디어의 핵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결성은 타인과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실재감을 제공한다"". 공유는 이용자 간의 콘텐츠 및 의견을 공유하고 반영한다"". 대화 촉진은 다양한 상황에서 개방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집단 형성은 레거시 미디어에 비해 더 많은 집단 구성이 가능하며 집단의 규모가 무제한이다"". 평판은 평판 체계의 존재로 이용자 간 관계를 확장할 수 있다(예: 연결 인원, 좋아요 수 등)"". 관계 유지는 관계 유지에 대한 알고리즘이 작동하며 관계망을 통해 관계 분석 및 연결을 추천한다"". 정체성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면서 개인의 정체성을 노출한다"".
3. 디지털 미디어 산업의 변화
3.1. 소비자 행동의 변화
현대 소비자들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행동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첫째, 소비자들은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접하여 즉각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디바이스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끔 지원하는 신규 플랫폼들이 급속히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둘째, 기성 세대가 거주 지역에 국한된 콘텐츠 소비 습관을 보이는 것과 달리,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젊은 층에서는 다른 국가나 지역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경계 없는 콘텐츠 소비가 활발해지고 있다.
셋째, 소비자들은 즉각적 만족보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