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아리 활동 보고서
1.1. POC (Pioneer of Chemistry) 동아리 활동
1.1.1. 동아리 구성 및 목적
POC(Pioneer of Chemistry) 동아리는 이공계 진로를 꿈꾸는 후배들과 화학 분야를 탐구하고 실험 보고서 등 활동을 통해 진로에 대해 다양한 활동을 하며 자신의 꿈에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한 취지로 추진되었다. 동아리 설립 및 2023년 활동 추진 목적은 가장 우선적으로 이공계 진로를 뚜렷이 정하는 것이고, 그 다음으로 평소 화학 등과 관련하여 탐구하고 싶었던 실험을 교내 학생들끼리 모여서 탐구하고 설계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지며, 신문 활용 방법(NIE) 활동도 하고 과학관을 통해 직접 보고 체험하면서 동아리 활동과 과학 나눔 재능기부를 통해 향후 명확히 결정된 자기 진로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것이 목표이다.
1.1.2. 동아리 연간 활동 계획
동아리 연간 활동 계획에 따르면, POC(Pioneer of Chemistry) 동아리는 이공계 진로를 꿈꾸는 학생들이 화학 분야를 탐구하고 실험 보고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진로를 모색하고자 추진되었다. 구체적으로 동아리는 화학실험과 신문 활용 방법(NIE) 활동을 중심으로 연간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동아리 연간 활동 계획에 따르면 3월부터 12월까지 다양한 실험과 NIE 활동이 진행된다. 먼저 3월에는 동아리 구성 및 목적을 안내하고, 현대의 주기율표 운영 방안과 탄산칼슘과 묽은 염산의 반응 실험을 진행한다. 4월에는 발생된 수소 부피 측정 실험과 함께 NIE 1~2차시 활동을 한다. 5월에는 NIE 3~4차시 활동과 탄화수소의 분자모형 조립, 농도와 온도에 따른 평형이동 실험을 실시한다.
6월에는 NIE 7차시에서 12차시까지 이어지고, 극성 및 무극성분자의 성질과 아세틸렌의 제법과 성질 실험을 진행한다. 7월에는 NIE 자료 정리와 함께 동아리 1학기 활동 평가를 한다. 8월에는 일시적 휴식기를 가진 후 9월부터 다시 동아리 활동을 재개한다.
9월에는 기체 확산 속도 실험과, NIE 11~12차시 활동을 진행하며, 10월 말에는 내 지식을 위한 소양 쌓기와 동아리 활동 보고서 정리 활동이 있다. 11월에는 환경정화활동과 동아리 발표대회 준비를 한다. 마지막으로 12월에는 동아리 발표대회를 통해 1년간의 활동을 마무리한다.
이처럼 POC 동아리는 화학실험과 NIE 활동을 통해 이공계 진로를 모색하고자 하며, 다양한 체험활동과 봉사활동도 계획하고 있다. 특히 화학 실험과 NIE 활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학생들의 화학 분야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진로를 보다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3. 동아리 회원 구성
POC(Pioneer of Chemistry) 동아리는 단 2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회원들은 모두 과학중점계열 희망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1학년 부회장 1명, 2학년 회장 1명, 3학년 부회장 1명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과학중점반 학생 18명과 자연계열 학생 4명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이처럼 동아리 회원 전체가 화학에 관심이 있는 이공계 진학 희망자들로 구성되어 있어 동아리 활동의 목적에 부합하는 인력이 모여있다고 볼 수 있다.
1.1.4. 동아리 활동 내용
POC (Pioneer of Chemistry) 동아리 활동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실험 활동으로 총 10개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1은 현대의 주기율표를, 실험 2는 탄산칼슘과 묽은 염산의 반응을, 실험 3은 발생된 수소 부피 측정을 다루었다. 실험 4는 탄화수소의 분자모형 조립, 실험 5는 농도와 온도에 따른 평형이동을 탐구하였다. 실험 6은 극성 및 무극성분자의 성질, 실험 7은 아세틸렌의 제법과 성질을 다루었다. 실험 8은 화합물의 분자모형 조립, 실험 9는 다양한 화학전지의 효율 비교, 실험 10은 기체 확산 속도를 실험하였다.
둘째, 물 지킴이 및 POC(화학) 동아리 관련 신문활용 교육(NIE) 활동이 진행되었다. 물 지킴이 활동으로 강물이 수돗물로 정수되는 과정, 수돗물의 소독, 녹조현상, 지구의 물 순환, 농업용 저수지 수질오염, 저수지 취·배수 시설 등을 다루었다. POC(화학) 동아리 활동으로는 농사의 첨단 기술 융합, 나노기술의 신약 개발 응용, 나노기술의 친환경 에너지, 곰팡이의 의학적 기여, 플라스틱 오염, 자연모방 바이오 소재, 손난로와 대체에너지, 인공광합성 등을 다뤘다.
셋째, 화학 퍼즐을 활용하여 화학 관련 용어를 익히는 활동이 진행되었다.
넷째, POC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제작하고 소감문을 작성하였다. 미래와 상상 화학실험 교실 사진, 현장체험학습 소감문, 석학 초청 강연 소감문, 생태학습장 탐방 및 환경정화 활동 소감문, 과학특강 소감문, 환경청 특강 소감문, 과학캠프 소감문, EM 흙공 제작 및 도랑 살리기 활동 소감문, 신문활용대회 소감문, 바다학교 체험활동 소감문, 생명과학연구원 체험활동 소감문, 물 지킴이 활동 소감문, 과학교육 나눔 활동 소감문, 화학 세상 봉사활동 소감문 등이 작성되었다.
이와 같이 POC 동아리에서는 화학 실험 및 탐구활동, 신문 활용 교육, 화학 퍼즐 활동, 다양한 체험활동 등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화학 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1.1.5. 기대 효과
화학실험을 통하여 화학 계통의 직업으로서의 꿈과 열정 그리고 희망을 품을 수 있는 소중한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화학실험과 신문 활용 방법(NIE) 활동을 통해 과학의 새로운 발전 방향과 문제점 해결 방안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 나눔 재능기부 체험활동을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과 유대감 형성 및 봉사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성 함양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화학실험과 NIE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화학 관련 직종에 대한 꿈과 열정을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이공계 진로에 대한 소중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화학 분야의 새로운 발전 방향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더불어 교육 나눔 활동을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봉사정신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화학 지식과 기술을 배양함과 동시에 타인에 대한 배려와 나눔의 마음을 기를 수 있게 된다.""
1.2. 물 지킴이 신문활용 활동자료 및 활동지
물 지킴이 신문활용 활동자료 및 활동지는 총 6개의 NIE(신문활용교육) 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차시인 'NIE 1차시. 여과·소독 등을 거치면 강물이 수돗물 된대요.'에서는 수돗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다룬다. 강물은 오염 물질이 많아 그대로 마시면 배탈이 날 수 있지만, 정수센터에서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깨끗한 수돗물로 탈바꿈한다. 취수장에서 강물을 끌어올리고 정수 약품을 투입하여 이물질을 큰 덩어리로 응집시킨 뒤 여과지를 거치고 오존과 활성탄으로 더욱 깨끗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세균 억제를 위해 염소 소독을 거쳐 상수도관으로 배달된다. 수돗물에서 특유의 냄새가 나는 이유도 바로 이 염소 소독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처럼 물의 정수 과정과 소독 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두 번째 차시인 'NIE 2차시. 물 쓰듯, 아니 소중한 물'에서는 우리나라의 수돗물 사정과 물 부족 문제를 다룬다. 우리나라가 수돗물 사정이 좋아서 안심하고 마실 수 있지만, 다른 나라는 수질이 좋지 않아 탁할 정도라는 내용이 나온다. 또한 상하수도 시설의 발달로 물을 안전하게 마실 수 있게 되었지만, 평소 물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해수 담수화, 하수 재이용 등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