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이상심리학 DSM-5에서는 10가지 성격장애를 증상적 유사성에 따라 크게 3가지 집단으로 나누고 있다. 그 중에서 B집단(cluster B)에는 극적이고 감정적이며, 충동적이고 변덕스러운 특성을 보이는 히스테리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가 포함된다. DSM-5를 기본으로 한 문헌이나 서적을 참고하여, B집단 성격장애 4가지(히스테리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의 각각의 특징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B집단 성격장애 4가지 각각의 특성 뿐 만 아니라, 4가지 성격장애 각각에 속할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을 한 명 씩 찾아 각각의 예시로 들고, 왜 그 성격장애를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는지 근거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2. B군 성격장애
2.1. 히스테리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히스테리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는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들은 극적인 표현을 하며, 즉각적 만족 및 관심을 요구하고는 하지만, 그 요구가 좌절될 경우 불쾌감을 느끼거나 히스테리를 부리는 모습을 보이고는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성격은 지속적으로 대인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주변의 시선을 받으려고 하거나, 감정 표현을 과장되게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 환자의 경우 연극을 하는 것과 같이 정서적 피상성을 보이거나, 의존성, 성적 기능 장애, 극적인 반응 등을 보이게 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지나치게 광범위한 정감성을 가지고 관심을 끌고자 하는 행동을 들 수 있다. 또한, 감정적으로 안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충동적이며, 유혹적이게 되는데 보통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는 성격 장애이다.
해당 성격 장애 환자들은 자신들이 주목받지 못하게 될 경우에 자신을 인정받지 못하였다고 느끼며,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주목받기 위하여 과도하게 활기차고 극적으로 행동하고자 하며, 성적 대상과 관계를 어렵게 느끼기 때문에 문란한 경우가 많다.
히스테리성 인격 장애의 경우 주로 여성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남성에게도 간혹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 또한 여성을 유혹하려고 하거나 과도한 멋을 부리는 행동 등으로 성향을 보이게 된다. 간혹 우리 사회에서는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를 지닌 사람들로 인해 사건이 발생하고는 한다.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살인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2014년 5월 인천 남동공단에서 발견된 토막살인사건에 대한 가해자 또한 히스테리성 인격장애에 속하는 인물이었다.
2.2. 반사회성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성 성격장애를 지닌 환자들은 사회적 규범에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이득을 위해 타인을 무시하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범하고는 한다. 또한,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며, 이것이 잘못된 것인지 공감 그 자체를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은 주로 청소년기 이후에 나타나게 되는데, 18세 이하의 학생은 학교를 무단결석하거나, 청소년 비행 등 품행 장애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이러한 품행 문제는 범법 행위로 이어지게 되거나 성적인 문란함, 채무의 불이행으로 연결되고, 가정생활에서도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고는 한다. 이들은 겉으로는 합리적인 모습을 하지만 신의가 없으며, 우울한 상황에서도 냉정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반사회성 인격 장애는 우리가 TV로 보게 되는 범죄자들에게 많이 보이는 장애로, 영화 '조커'의 주인공이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 조커는 자신의 감정 통제에 어려움을 겪고, 인간을 돈의 관점으로 보는 등 뒤틀린 행동 양식을 보이며, 자신이 거절당한 이들에 대해 모욕적인 언사를 하는 등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증상과 유사한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