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덴버발달검사(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
1.1. 개요
덴버발달검사(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는 1967년 Dr. W. Frankenburg에 의해 개발된 검사도구로, 출생부터 6세 아동의 잠재적인 발달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검사는 15개국 이상에서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발육 지연을 발견하는 데 유용하고 의료인뿐만 아니라 아동 관련 전문인들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나 지역사회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DDST는 아동의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및 전체 운동 영역에서의 발달 수준을 105개 항목으로 사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1990년에는 언어 영역의 추가 필요성과 검사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재표준화되어 125개 문항의 Denver II로 발표되었다.
1.2. 검사 목적
덴버발달검사(DDST)는 출생부터 6세 아동의 잠재된 발달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고, 또래 아동들의 발달 속도에 비해 지연되는 아동을 구별하며, 발달 지연 장애의 위험이 있는 아동을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이다."
1.3. 검사 도구
덴버발달검사(DDST)에 사용되는 검사 도구는 "빨간 털실뭉치", "건포도(대체 가능) 몇 개", "손잡이가 있는 딸랑이 1개", "작은 종 1개", "테니스 공 1개", "빨간 색연필 1개", "종이 1장", "작은 플라스틱 인형", "손잡이가 달린 컵", "초시계", "1인치 크기의 적목 8~10개 정도(빨강, 노랑, 파랑, 초록)"이다.""
1.4. 검사 항목의 구성
DDSTⅡ는 아동의 각 발달 영역별 발달 사정을 위한 110항목과 5개의 검사활동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110개 발달 사정 항목은 개인사회 발달영역 22문항, 미세운동 및 적용발달영역 27문항, 언어발달 영역 34문항, 운동발달영역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출생부터 6세까지의 아동의 개인-사회성, 미세운동, 언어 및 전체 운동영역에서의 발달수준을 사정할 수 있다"."
1.5. 검사 시행 및 절차
검사 시행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DENVERⅡ는 지능검사가 아니며 모든 항목을 다 통과해야 되는 것이 아님을 부모에게 잘 설명하고 유아가 항목에 실패했을 때 초초해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