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타이포그래피제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0.19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타이포그래피제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타이포그래피 광고물의 사례 분석
1.1. 서론
1.2. 본론
1.2.1. 사례1 - 애플의 Don't blink 광고
1.2.1.1. 브랜드 이미지
1.2.1.2. 광고 컨셉
1.2.2. 사례2 - 현대카드의 타이포그래피 광고
1.2.2.1. 브랜드 이미지
1.2.2.2. 광고 컨셉
1.3. 결론

2. 언어와 문자가 결합한 형태 조사
2.1. 한국의 사례
2.1.1. 조선 후기 (민화도, 현판)
2.1.2. 근대 (캘리그래피)
2.1.3. 현대 (캘리그래피)
2.2. 외국의 사례
2.2.1. 고대 (기록에 가까움)
2.2.2. 중세, 근대 (독특한 형태의 결합)
2.2.3. 현대 (타이포그래피와의 결합)
2.3. 조사하면서 느낀 점

3. 편집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자세
3.1. 서론
3.2. 편집디자인의 개념
3.3.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
3.3.1. 기획 (Planning)
3.3.2. 레이아웃 (Lay-out)
3.3.3. 타이포그래피 (Typography)
3.3.4. 일러스트레이션 (Ilustration)
3.3.5. 포토그라피 (Photography)
3.3.6. 표지/본문 디자인
3.3.7. 출력 (Out-put)
3.4.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타이포그래피 광고물의 사례 분석
1.1. 서론

타이포그래피는 그리스어 typo에서 유래 되었다. 사전적으로는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금속 조각에 새겨진 문자를 통해 인쇄되는 활판인쇄술을 말하며, 이러한 인쇄 과정을 통해 표현되는 결과를 포함한다. 그러나 산업혁명의 영향을 받아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탄생하면서 그 의미도 현대적인 의미로 바뀌었다. 타이포그래피는 기능과 미학적인 측면에서 활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이나 연구의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다. 물론 활자와 관련된 디자인을 말하지만, 현대의 타이포그래피 개념은 이보다 훨씬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이미지, 유형, 그래픽 요소, 색상, 레이아웃, 디자인 형식, 마케팅 등 디자인에 관련된 모든 활동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시각디자인'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레포트에서는 타이포그래피 광고 사례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1.2. 본론
1.2.1. 사례1 - 애플의 Don't blink 광고
1.2.1.1. 브랜드 이미지

애플의 'Don't Blink' 광고 캠페인은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해 빠르게 변화하는 화면에서 시청자의 집중력을 유지하려는 도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화면이 계속해서 전환되고 깜빡이며 흰색과 검은색 바탕에 글자와 영상, 음악적 요소가 잘 어우러져 있어 시청자를 강렬하게 집중시킨다. 이를 통해 아이폰 7의 다양한 기능을 인상적이고 간결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참신한 광고 방식으로 인해 애플의 브랜드 이미지가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이미지로 자리 잡게 되었다.


1.2.1.2. 광고 컨셉

Don't Blink는 애플이 아이폰 7을 출시와 동시에 선보인 광고이다. 107초 만에 애플이 2016년 출시한 스마트폰의 모든 것을 인상적이고 간결하게 담아내고 있다. 사용자가 자신도 모르게 집중할 수 있도록 화면이 계속해서 전환되고 깜빡이며 흰색과 검은색 바탕에 글자와 영상, 음악적 요소가 잘 맞아 2020년에도 애플 광고 중 최고의 광고로 평가받고 있다.


1.2.2. 사례2 - 현대카드의 타이포그래피 광고
1.2.2.1. 브랜드 이미지

현대카드의 타이포브랜딩 전략은 단순히 좋은 글꼴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활용함으로써 현대카드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네덜란드의 디자인 회사 토탈 아이덴티티가 개발한 'Youandi' 폰트는 전통적인 영문 알파벳 형태에서 벗어나 현대카드만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한글 버전의 추가 개발을 통해 영문과 한글 모두에서 현대카드의 아이덴티티를 일관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이처럼 'Youandi' 폰트는 현대카드의 CI와 카드 디자인은 물론 홈페이지, 앱, 인쇄물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며 현대카드만의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로 자리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2.2. 광고 컨셉

현대카드는 초기에는 출시되는 카드에 알파벳을 다양하게 활용해 카드별 특징을 부각시키려 했다. 그러나 기존 영문 글꼴로는 현대카드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곧 현대카드 전용 서체가 제작되었다. 네덜란드의 디자인 회사인 토탈 아이덴티티가 개발한 이 글꼴은 현대의 영어 알파벳을 유럽식으로 읽을 때 비슷하게 들리는 'You and I'를 착안해 이름 붙여졌다. 신용카드의 모양과 비율, 각도를 그래픽 모티브로 디자인한 'Youandi' 폰트는 전통적인 영문 글자 틀에서 벗어나 현대카드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 또한 'Youandi'폰트로 큰 성공을 거둔 현대카드는 당초 디스플레이 용도로만 설계됐던 'Youandi'폰트를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글 폰트를 추가해 폰트 패밀리를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외국계 회사인 토탈 아이덴티티가 한글 글꼴로 작업하는 것이 어려워 국내 글꼴 제조업체인 산돌커뮤니케이션과 협업했다. 이렇게 완성된 'Youandi' 글꼴은 영문 글꼴의 특성을 그대로 담은 한글 글꼴을 추가했고, 기존 본문 텍스트용 영문 글꼴의 사용이 간편한 버전도 추가됐다. 오늘날의 현대카드 CI와 카드 디자인뿐만 아니라 현대카드 홈페이지, 앱, 인쇄물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는 'Youandi'글꼴은 현대카드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표현하며 대표적인 브랜드 서체 성공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볼 수 있다.


1.3. 결론

광고는 소비 촉진, 생산 증가, 신제품 시장 확대, 기업 간 건전한 경쟁 유도 등 더 나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사 간의 경쟁을 촉진한다. 또한 제품 선택의 폭을 넓히고 제품 사용법을 가르치며 소비와 건강한 소비습관을 위한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광고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가장 직접적인 정보 전달 매체이기 때문에 단순한 시각적 요소를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다. 많은 브랜드들이 자신만의 브랜드 성향을 잘 표...


참고 자료

최미임. (2008). 영상이미지에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활용사례 연구-영상매체 활용사례 중심.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9(17), 71-80.
Song Lyricz, 2016. 9. 10.게시, Apple – Don’t Blink, https://youtu.be/jk6sz25OZgw
각주에 참고자료 붙어있습니다
김지연, “타이포그래피의 예술적 관점에서 본 구체시의 정신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2006
김현정, “책의 역사와 디자인 요소 분석을 통한 전자책 디자인 제안”, 2011
이선옥. “편집 디자인에 있어서 Grid System 적용에 관한 연구”, 1996
전나리. “어린이 그림채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형 분석 및 특징 연구”. 2007
박영희. "우리나라 광고대행사 사보디자인에 관한연구." 淑明女子大學校, 199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시각디자인 기초』. 2005, 교육부
http://kr.encycl.yahoo.com/enc/info.html?key=1298490&q=레이아웃.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