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치료 회기구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치료 계획서
1.1. 대상자 정보
1.2. 의학적 진단명 및 언어적 진단명
1.3. 장기목표 및 단기 목표
1.4. 회기별 활동 계획
1.5. 언어 형태 강화절차 및 준거
1.6. 활동 결과
2.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 대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
2.1. 대상 집단 선정
2.2. 프로그램의 목적
2.3. 프로그램의 구성
2.4. 프로그램 내용
2.5. 프로그램 결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치료 계획서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2015년 12월 12일 생으로 현재 7세 3개월의 남자 아동이며, 주거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언어적 진단명은 단순 언어장애로 확인되었다. 감독자 성명과 실습생 성명이 제시되어 있다.
1.2. 의학적 진단명 및 언어적 진단명
대상자는 단순 언어장애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언어장애는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발달성 언어장애로, 언어 이해력 및 표현력의 지체가 주된 증상이다. 구체적으로 이 대상자의 경우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야기를 듣고 사실적, 추론적 정보를 충분히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장기목표 및 단기 목표
장기목표는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야기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이다. 단기목표는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야기를 듣고 사실적 정보를 70%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와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야기를 듣고 추론적 정보를 70%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이다.
장기목표는 대상자가 구조화된 상황에서 이야기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단기목표는 구조화된 상황에서 사실적 정보와 추론적 정보를 각각 70% 이상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1.4. 회기별 활동 계획
회기별 활동 계획은 다음과 같다.
1회기에서는 서로 인사를 나누고 착석한 후 금일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참여를 위한 동기유발을 한다. 치료사가 "00아, 선생님과 작은 동물원 가사를 함께 읽어볼까?"라고 말하며 가사를 함께 읽고, 가사 중 소리를 흉내내는 말이나 행동을 흉내내는 말을 찾아 동그라미하는 활동을 한다. 이후 치료사는 "작은 동물원에 나오지 않는 동물들로 바꾸어 가사를 새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라고 말하며 아동이 새로운 동물을 제시하고 그 동물들의 소리나 행동을 표현해보는 활동을 한다. 정반응 시 강화 스티커를 제공하고, 오반응 시 첫음절 단서를 제공한다.
2회기에서는 서로 인사를 나누고 착석한 후 금일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참여를 위한 동기유발을 한다. 치료사가 "작은 동물원 가사를 함께 읽어볼까?"라고 말하며 가사를 함께 읽고, 가사 중 소리를 흉내내는 말이나 행동을 흉내내는 말을 찾아 동그라미하는 활동을 한다. 이후 치료사는 "작은 동물원에 나오지 않는 동물들로 바꾸어 가사를 새로 만들어 보면 어떨까?"라고 말하며 아동이 새로운 동물을 제시하고 그 동물들의 소리나 행동을 표현해보는 활동을 한다. 정반응 시 사회적 강화를 제공하고, 오반응 시 행동 단서를...
참고 자료
최혜원, 최연실,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가족과 가족치료(Family and Family Therapy)』, 제27권 제4호,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