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학과 철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업혁명의 전개 과정과 영향, 의의
1.1. 서론
1.2. 산업혁명의 전개 과정
1.2.1. 전기 산업혁명
1.2.2. 후기 산업혁명
1.3. 산업혁명의 영향: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사회주의
1.4. 산업혁명의 의의와 한계
1.5. 결론
1.6. 참고문헌
2. 공업의 특성과 발전
2.1. 공업의 특성
2.1.1. 원료의 해외 의존
2.1.2. 풍부한 노동력
2.1.3. 공업 구조의 이중성
2.1.4. 부족한 자본과 기술
2.2. 공업과 자동차공업
2.3. 공업과 비날론공업
2.4. 공업과 북한공업
2.5. 공업과 중국공업
2.6. 공업과 관서지방공업
2.7. 공업과 중공업노조
2.8. 공업의 현황과 전망
2.9. 참고문헌
3. 메타버스 기술의 항공정보통신공학과 적용
3.1. 항공정보통신공학과 소개
3.2. 항공정보통신공학과의 메타버스 발전현황과 이슈
3.2.1. VR/AR 활용
3.2.2. 정비훈련
3.3. 메타버스와 항공정보통신분야의 융합 전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업혁명의 전개 과정과 영향, 의의
1.1. 서론
정보 통신의 발달과 함께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했다. 언론을 비롯한 각종 매체에서 다루는 주제인 만큼 그 뜻을 정확하게 모르더라도 낯선 주제는 아닐 것이다. 어쩌면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이 그 말의 정의를 명확하게 하기도 전에 오용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에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3차 산업혁명(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이라는 책을 발표했고, 이제야 3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인터넷과 관련된 기술과 신재생 에너지가 융합하며 강력한 '3차 산업혁명'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중요한 요지는 우리 사회에서 이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단어는 꽤 익숙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산업혁명의 전개 과정이나, 이 산업혁명이 당시 전개되었던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확대 또는 자본주의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필자는 어쩌면 오용되고 있을지도 모르는 이 '산업혁명'이라고 하는 단어에 대한 본질적인 탐구를 통해 심도 있는 평가를 내려보고자 한다.
1.2. 산업혁명의 전개 과정
1.2.1. 전기 산업혁명
전기 산업혁명은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혁신과 이에 수반하여 일어난 사회와 경제 구조의 대대적인 변혁이다. 영국의 산업혁명은 명예혁명 이후 시민들의 사유재산권에 대한 보호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정치적 안정으로 산업의 발전에 매진할 수 있었던 점에서 시작한다. 영국의 '울타리 치기 운동'인 인클로저 운동에서부터 모직물 공업이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1764년 제니 방적기의 발명, 수력을 동력으로 하는 방적기의 발명이 이어지면서 면사 생산량이 300~400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대규모 공장이 들어서고 노동자들이 기계 앞에서 실을 뽑아내는 일을 하였으며, 이 실을 바탕으로 방직 공업이 함께 발전하였다. 제임스 와트가 효율적인 증기 기관을 발명함으로써 이러한 발전의 양상이 전 세계로 확대되었다. 영국에서 시작된 중세를 지배하고 있던 경제 구조인 장원 제도의 붕괴는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영국은 안정된 사회를 바탕으로 조세 금납화가 순조롭게 이루어졌고,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노동력이 중요해지고 도시의 반란은 자본주의적인 세계경제의 출현을 예고했다. 이는 영국 외의 국가에게는 '절대왕정'이라고 하는 정치 형태의 등장을 요구했고, 이후 절대왕정과 자본가는 결합하며 중상주의라고 하는 경제 체제를 완성시켰다. 제임스 와트의 증기 기관은 이후 교통산업의 발전으로 확대되었고, 화력이 좋은 석탄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다량의 철이 소비되기 시작했다. 증기 기관을 통한 철도의 발명은 단순한 발명이 아니었고, 철도는 교통수단에서의 대대적인 변화와 더불어 제국주의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근대화의 상징이자 수탈의 상징으로 해석되기 시작하였다. 교반법과 압연법을 비롯한 다양한 제철 기술이 발전하였고, 결국 이 전기 산업혁명은 산업자본주의의 토대를 완성시켰다.
1.2.2. 후기 산업혁명
후기 산업혁명은 19세기 이후부터 전개되었으며,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후기 산업혁명 시기에는 동력원이 전기와 석유로 전환되면서 중공업 부문에서 기술의 혁신과 발전이 일어났다"" 이제는 단순한 공장에서의 생산이 아닌 대량생산체제로 진입하였으며, 기업과 공장이 대형화되어 거대 기업이 탄생하기 시작했다"" 또한 과학혁명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과학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새로운 화학과 생리학의 지식이 농업과 결합하며 인구 증가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농업생산의 증대가 함께 전개되었다"" 특히나 미국이 독립혁명 이후 전 세계 최초의 민주공화국을 건설하면서 본격적인 산업의 발전을 이룩하여 선도 국가 역할을 담당하였다""
1.3. 산업혁명의 영향: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사회주의
산업혁명은 단순한 산업의 혁명을 넘어 전 유럽에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제국주의의 확대와 자본주의의 발전, 그리고 사회주의의 등장이다.
산업혁명과 함께 전 유럽은 과학혁명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이 과학혁명은 '대항해 시대'를 가능하게 했다. 그 과정에서 유럽은 '식민지'라는 원료의 값싼 공급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품 시장의 기능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국내의 잉여 인구와 자본의 투자지 역할을 모두 담당할 수 있는 새로운 땅의 개척을 시작했다. 물론 이는 유럽 사람들의 시선에서의 해석이며, 이로 인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는 이주민들의 수탈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식민지 개발이 본격적인 제국주의로 발전한 것은 19세기 영국의 디즈레일 수상이 주장했던 '제2의 로마제국 건설'을 시작점으로 볼 수 있다. 제국주의는 대항해 시대의 단순한 식민지 개발과는 그 차원이 다른 정치적인 의미가 강한 것이었다. 식민지 경쟁의 이유에는 후기 산업혁명의 전개에 따른 새로운 공업의 원료 생산지가 필요했으며, 이외에도 문명화의 사명을 통한 정당성 부여와 선교 사업이라는 새로운 이유가 추가되었다. 레닌은 제국주의를 자본주의 최후의 단계로 규정하고 이를 비판한 바, 본격적인 식민지 투쟁은 결국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야기하게 되었다.
한편 산업혁명은 자본주의의 발전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 시대 이전에는 타고난 신분이 사회적 위치를 결정하며 개인의 평생을 결정하였지만, 이제는 '생산 수단을 가진 사람'이 사회적 지배계급이 되었다. 이들의 가치관이나 태도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지배계급으로서의 헤게모니를 장악해 나갔다. 부르주아의 가부장적인 사회, 사유재산과 사랑의 결실로 결합을 맺은 가족, 보수주의적인 도덕관,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분업과 같은 특징이 사회 전반에 확대되었다.
산업혁명 이전의 무역 형태인 '중상주의'는 드물게 '중농주의'가 제시되기도 하였지만, 대다수 국가는 정경유착을 통한 독점 자본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경제 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자유주의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을 시작으로 자유무역주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동시에 자본주의로의 이행에 반발하면서 러다이트 운동이나, 사회주의가 등장하였다.
사회주의의 등장은 유토피아 사회주의자로도 불리던 공상적 사회주의자와 과학적 사회주의로 그 발전 양상이 전개되는데, 이 두 사회주의 계열은 모두 산업혁명으로 초래된 자본주의의 발전,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유재산 제도의 타파를 주장하며 '생산 수단을 사회가 공동소유'하는 형태의 사회주의 국가의 출현을 예고했다. 이는 기존의 신분에 따른 사회의 구별이 자본의 유무로 자본가와 노동자로 나뉨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산업혁명은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사회주의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현대 사회의 기반을 형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4. 산업혁명의 의의와 한계
산업혁명의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산업혁명은 현대 사회의 근간이 되는 다양한 사상의 근원지라고 평가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그만큼 다양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를 의의와 한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산업혁명의 한계라고 하면 다양한 사회 문제의 야기를 꼽을 수 있다. 산업혁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사회는 부르주아-노동자라고 하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었는데, 다양한 노동법을 비롯한 노동자의 보호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생산 수단을 가진 부르주아가 어떤 형태로 노동자를 착취하더라도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그 결과 낮은 임금과 불안정한 고용으로 인한 난민촌의 형성, 가난의 해결을 위한 매춘과 같은 도덕성의 붕괴를 야기하는 '돈이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거래'하는 행태가 만연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노동 계급의 형성과 발전, 그들의 권리를 쟁취하는 노동 운동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산업혁명이 마냥 부정적인 영향만을 초래한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산업혁명은 농업 중심의 사회에서 공업 중심의 사회로 전환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류의 부양이 가능해졌으며, 비합리적인 중세라고 하는 시대의 무지로부터 탈피하는 의식과 사고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인류는 더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되었고, 도시와 농촌으로 나뉘어져 있던 벽을 허물고 문화의 전파 속도를 ...
참고 자료
문용주. [한경 BIZ School] 제조업 강타한 '3차 산업혁명'…원자재 시장 질적 변화 대비해야. 한국경제. (2016.07.28.). https://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72801641
송병건. (2016). 산업혁명 시기 영국 기술선도의 요인. 경제사학, 62(0), 487-519.
네이버 정치경제 용어사전. 매뉴팩처. (2023.10.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43550&cid=47332&categoryId=47332
두산백과. 철도. (2023.10.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6356&cid=40942&categoryId=32191
김현민. 미국, 독립과 동시에 산업혁명에 돌입하다. 아틀라스. (2019.12.28.). 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4
박혜정. (2018). 유럽중심주의 극복과 전 지구적 연계성 사이에서 - 미국 대학용 세계사 교과서 7종의 인도양, 산업혁명, 제국주의 내용 분석 -. 역사교육논집, 68(0), 115-142. 10.17999/SOHE.2018.68.04
김상희. [Economovie] 부르주아 가족의 불행의 씨앗. 더스쿠프. (2018.04.12.).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62
김용출. 겸손하면서도 강인했던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의 삶과 사상의 궤적 한눈에. 세계일보. (2023.06.09.).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609515141?OutUrl=naver
민기채. (2014). 폴란드 복지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 사회주의 이전, 사회주의 시대, 사회주의 이후 비교. 국제지역연구, 18(4), 55-83.
이웅호 and 이혜자. (2017). 영국 산업혁명의 의의와 시사점. 경영사연구, 32(1), 81-106.
민석홍. (1993). 서양사개론. 서울: 삼영사, 184.
강수돌(1987), 생산기술과 노동통제 및 노동자의식에 관한 연구 : 자동차공업의 노동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석사논문
김상수(1992), 개화기 한국 공업입지의 연구, 동국대학교
김기철(2002), 공업의 특성과 발전, 경상대학교 / 최고관리자과정 논문집
남근우(2001), 북한 공업관리체계 변화에 함축된 정치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백영훈(1997), 중화학공업과 수출문제,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국회보
차진화 등(1999), 중국주변경제권, 중국경제출판사
경운대학교 항공정보통신공학과 http://naver.me/xEMrLFVl
김상균, 메타버스, 플랜비디자인, 2020.12.18.
메타버스 적용사례 총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fJ-Lu1p2YPE&t=13s
메디컬아이피, 서울대 의대에 메타버스 적용 실습교육 도입. 강석오. 2021.06.21. DATANET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930
‘실제 항공기 조종하듯’… 메타버스 훈련체계로 새 먹거리 창출, 나기천, 세계일보 2021.11,17 http://m.segye.com/view/20211116513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