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르네상스
1.1. 르네상스란?
르네상스란 15~16세기 유럽 사회의 인본주의적 문예부흥기를 의미한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시작된 시민운동으로, 종교적 교리보다는 고대 그리스 문화에 관심을 가졌다. 메디치 가문 등 명문가가 미술가와 학자를 후원하여 학예를 장려하면서 르네상스 시대의 문화적 발전을 이끌었다. 대표적인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있는데, 그는 화가, 조각가, 발명가, 건축가, 기술자 등 다양한 분야의 천재적 재능을 발휘했다.
1.2. 르네상스의 등장
14세기에 종교적 사건, 정치적 암투, 흑사병 등으로 교회의 권위가 위축되면서 학자나 작가들은 종교적 교리보다는 인간중심의 고대그리스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된 인문주의 운동이 르네상스의 토대가 되었다.
메디치 가문은 14세기부터 발흥한 이탈리아의 명문가로 피렌체와 토스카나 공국을 지배하였다. 이들은 미술가와 학자를 후원하여 학예를 장려하였으며, 르네상스 시대 문화와 예술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세르 피에로 다빈치는 인류 역사상 최고의 천재로 평가받는다. 그는 화가, 조각가, 발명가, 건축가, 기술자, 해부학자, 식물학자, 도시 계획가, 천문학자, 지리학자, 음악가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이처럼 14세기 이후 중세시대의 가치관에서 벗어나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와 인간중심주의가 부각되면서 르네상스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1.3. 르네상스 음악의 특징
르네상스 음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시대 작곡 음역대보다 더 넓어졌다. 르네상스 음악은 중세 음악보다 큰 음역대를 가지고 있으며, 보다 자유로운 선율 진행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음악에서 인간 감정과 내면적 표현이 더욱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교회, 세속, 기악음악에서 새로운 양식이 발전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종교음악인 미사와 모테트뿐만 아니라, 귀족사회를 위한 세속음악인 샹송, 마드리갈 등이 발전했다. 또한 기악음악에서도 즉흥곡, 변주곡, 기악편곡 등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
셋째,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이탈리아, 독일, 영국, 스페인 등으로 확산되었다. 르네상스 음악은 주로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지만, 이후 다른 유럽 국가로 전파되면서 각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게 되었다.
넷째, 1450년대에 쿠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으로 악보 보급이 빨라졌다. 인쇄술이 발달하면서 악보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보급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수의 음악 작품이 유럽 전역에 퍼져나갈 수 있었다.
따라서 르네상스 음악은 중세 음악에 비해 보다 개인적이고 감정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다양한 장르와 양식으로 발전했고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고 할 수 있다.
1.4. 르네상스의 악기
르네상스의 악기는 매우 다양했으며, 이 시기에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악기들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거의 안정된 모습을 갖추었다.
첫째, 현악기로는 류트, 스페인 형 류트인 비우엘라, 비올(3가지 사이즈 트레블, 테너, 베이스 = 비올라다 감바)가 있었다.
둘째, 건반악기로는 클라비코드, 하프시코드, 버지널, 오르간 등이 있었다.
셋째, 관악기로는 리코더, 숌, 크럼호른, 코넷, 색버트, 라케트 등이 있었다.
넷째, 타악기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했다.
이처럼 르네상스 시대에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악기들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거의 안정된 모습을 갖추었다. 이는 음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다.
2. 바로크
2.1. 바로크시대란?
바로크시대란 1600년부터 1750년(바흐의 사망년도)에 걸쳐 유럽에서 발전한 예술 양식이다. 이 시대의 음악은 계속저음(basso continuo)의 사용과 콘체르토(concerto) 양식의 발달로 특징지어진다.
바로크란 포르투갈어로 "불규칙적이거나 기형적인 진주" 또는 "과장된 장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바로크시대의 음악은 화려하고 과장된 표현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이 시대의 음악이 종교적 예식이나 궁정의 화려한 행사를 위해 작곡되었기 때문이다. 바로크 음악은 르네상스 시대의 모호한 화성과 느슨한 리듬에서 벗어나 보다 분명한 조성감과 엄격한 리듬을 보여준다.
바로크시대는 음악의 역사적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시대에는 현악기와 관악기의 기술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오페라와 같은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였다. 또한 독립된 기악 양식이 발달하였고, 작곡 기법에 있어서도 큰 혁신이 있었다. 특히 바로크 시대 말기인 18세기 초반에는 J.S. 바흐와 헨델과 같은 거장들에 의해 음악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2.2. 오페라
오페라는 1600년경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발생하여 몬테베르디에 의해 정립되었다"" 오페라는 왕족, 귀족을 위한 것이었으나 1637년 베니스에서 공공극장이 생긴 이후 점차 대중화되었다""
오페라는 크게 세 가지 장르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오페라 세리아'로 신화나 역사상의 왕이나 영웅의 비극적 운명을 다룬 심각한 내용의 노래 중심의 오페라이다"" 두 번째는 '오페라 부파'로 시민적 내용을 소재로 하며 사투리, 빠른 말의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익살스러운 장면을 보여주는 오페라이다"" 세 번째는 글룩에 의한 '오페라 개혁 운동'으로 성악, 대본, 음악의 균형과 종합적 예술성을 추구한 오페라이다""
특히 오페라 개혁 운동에서 글룩은 과장된 장식과 기교를 금지하고, 다카포 아리아 구조를 수정하며, 관현악을 레치타티보와 아리아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등 오페라의 내용과 음악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2.3. 바로크의 주요 작곡가
바로크 시대의 주요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
몬테베르디(Claudio Monteverdi, 1567-1643)는 바로크 오페라의 개척자이자 정립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음악사에 큰 족적을 남긴 작곡가로, 16세기 르네상스 음악의 전성기를 이어받아 성악음악의 완성을 실현하였다. 몬테베르디는 새로운 배경 음악과 다양한 가창법의 사용, 비극적 감정 표현 등을 통해 오페라 양식을 발전시켰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오르페오"는 최초의 진정한 오페라로 평가받는다. 이후 그의 영향력은 이탈리아 오페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는 바로크 음악의 대가이자 협주곡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협주곡을 크게 발전시켜 약 500여 곡의 협주곡을 작곡하였으며, 특히 바로크 시대 최고의 연주자이자 혁신적인 작곡가로 평가받고 있다. 비발디의 대표작으로는 "사계", "메두사의 모험" 등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간결하고 밝은 리듬과 화려한 솔로 선율, 생동감 넘치는 관현악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그는 바로크 음악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기법을 창조하여 장르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헨델(Georg Frideric Handel, 1685-1759)은 영국을 대표하는 바로크 작곡가이다. 헨델은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품에서 두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오라토리오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오라토리오 "메시아", "유다 마카베우스" 등이 있다. 헨델은 풍부한 선율과 함께 화려한 관현악 기법으로 작품의 극적 효과를 높였다. 또한 성악과 기악의 조화를 이루며 바로크 음악의 극적인 성격을 확립하였다.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바로크 음악의 대가이자 음악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는데, 특히 기악 음악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바흐의 대표작으로는 "평균율 클라비어" 전집,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무반주 첼로 모음곡, 골프베르크 변주곡 등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대위법적 구조와 화려한 선율, 복잡한 리듬, 풍부한 화성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바흐는 바로크 음악의 정점을 이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