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원 위험성평가 체크리스트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선정 이유
1.2. 문헌고찰
2. 병원 낙상관리지침 조사
2.1. 낙상고위험 대상자 사정도구: More Fall Scale
2.2. 고위험군 스티커 및 병실 침대의 낙상예방 안내문 및 표지판
2.3. 화장실과 샤워실 내 낙상 주의 표시판
2.4. 병동 내 붙여진 낙상 예방 포스터와 병실 입구 낙상 예방 포스터
2.5. 입원 관리 시 낙상 예방 안내문
2.6. 병동 내 휠체어, 수액걸이, 워커 낙상위험 안내문
2.7. 원광대학교 산본병원 홈페이지 내 낙상 예방 교육
2.8. 원광대산본병원 신관 11병동의 낙상 관련 장.단점
3. 질 향상(QI) 활동 계획서
3.1. FOCUS-PDCA를 활용한 질 향상 활동 방법 적용
3.2. 질 향상 활동 계획서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선정 이유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위해 사건 중의 하나이며 의료과실로 소송이 제기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입원기간 중 낙상사고는 2차 손상으로 이어져 골절, 뇌 손상 등의 신체적 손상낙상으로 인해 환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재원 기간을 연장하고 추가적인 치료 비용의 부담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낙상은 철저한 예방을 필요로 한다. 더불어 환자 안전사고 의무보고, 중대재해법 시행, 2016년 환자안전법 시행 등과 함께 환자 안전사고에 대한 병원의 책임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프로젝트에서는 위험요인 분석을 통해 잠재적인 낙상의 위험율 감소시키고 낙상 예방에 대한 환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낙상 예방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추락과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 낙상의 발생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심각한 손상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낙상이 발생했을 때 보통 찰과상, 타박상 등이 흔하지만 낙상의 3%는 골절 등의 심한 상해를 일으키며 이차적으로 넘어짐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감의 결여는 신체적 활동을 저하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낙상은 예방의 중요하며 이를 위한 재활학적, 환경적 중재는 매우 중요하다.
낙상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국내 1.9배)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여자에서 2배 잘 발생하나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남자가 여자 보다 49% 더 높게 발생한다. 낙상으로 인한 심각한 손상은 나이가 많을수록 더 많은데, 85세 이상에서는 65-75세보다 4-5배 정도 더 많이 심한 손상이 발생한다. 병원에서 퇴원 후 가정에서 요양 중인 환자의 20%에서 낙상을 경험하게 된다.
낙상은 질병과도 관련이 높은데 국내 조사에 의하면 60세 이상의 낙상환자에서 질병으로 인한 낙상이 6.2%로 나타났다. 주로 사지마비 등 보행장애나 균형 장애, 어지럼증이 있거나 부정맥으로 실신하는 환자, 전신적으로 쇠약한 환자,혈압강하제나 수면제, 이뇨제 등 약물복용 환자, 호흡곤란, 간질 발작, 출혈과 관련된 빈혈, 낙상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음주와 관련한 낙상이 7.8%로 나타났으며 남성 에서는 18.3%로 높은 편이다.
낙상 환자 10명중 약 1명은 대퇴부의 골절이나 머리 손상으로 입원이 필요한 심각한 손상이 동반되어 손상에 의한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경우에 따라서 사망까지 발생하므로 본인과 가족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심하며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 이러한 이유로 낙상에 대한 예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낙상으로 사망할 수 있고, 낙상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크며, 낙상은 예방 가능하기 때문이다.
병원에서의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일반 환자 낙상 예방활동과 고위험 환자 낙상 예방활동이 필요하다. 일반 환자를 대상으로는 낙상예방 교육 시행, 침대바퀴 고정, 침상난간 올리기, 주변물품 정리, 미끄럼 방지 위해 바닥 물기 제거, 미끄럽지 않고 발에 맞는 신발 착용, 적절한 밝기의 조명유지, 환의를 침대에서 서서 갈아입지 않기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고위험 환자를 대상으로는 입원팔찌에 낙상고위험 환자 스티커 부착, 수면 전 화장실 다녀오도록 교육, 보호자나 간병인 항시 상주하도록 교육, 이동 시 보호자나 간병인 동행하도록 교육, 이동 시 서서히 단계적으로 이동하고록 교육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병원 질 향상 활동 방법인 FOCUS-PDCA는 미국병원법이 개발한 것으로 기본적인 PDCA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F(Find): 개선이 필요한 과정의 발견, O(Organize): 팀 구성, C(Clarify): 질 향상 대상 업무내용의 파악 및 변이 원인분석, U(Understand): 문제점 및 변이 원인 파악, S(Select): 원인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도출, P(Plan): 개선과 자료수집을 명확히 함, D(Do): 개선, 자료수집, 자료분석 실행, C(Check): 실행을 통한 개선 과정의 자료 점검, A(Act): 이익을 유지하면서 개선활동 유지 순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FOCUS-PDCA 방식을 활용하여 질 향상 활동을 시행하면 효과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2. 병원 낙상관리지침 조사
2.1. 낙상고위험 대상자 사정도구: More Fall Scale
More Fall Scale은 낙상 고위험 대상자를 사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낙상 저위험군, 중위험군, 고위험군을 판단하는 도구로, 다음과 같은 세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낙상력(3개월 이내) 항목은 없음 0점, 있음 25점으로 구성된다. 이차진단(부진단) 항목은 주진단만 있음 0점, 주진단 외 부진단 있음 15...
참고 자료
원광대산본병원 EMR
이현숙 외 공저, 간호역량증진을 위한 간호관리학, 수문사, 2023
송명애, 박미화, 정승교, 박혜자. “단축형 노인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 한국보건간호학학회지 28(3). 495-508. (2014)
박인자, 권순석. “대학병원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Nursing & Health Issues 23(1). 19-27. (2018)
조은경, 성미현, 이윤신, 석소현.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190-200. (2019)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그림으로 알아보는 돌봄자용 실무가이드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낙상 www.health.kdca.go.kr
광명성애병원 교육프로그램, 낙상 보고율 등 QPS 참고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Fcare.pdf
박복희, 김주현, 최미경, 남선희, 김현숙, 박윤주, 김현숙, 김인수, 최형준 (2021). 일반간호사의 환자확인 미 수행 경험. 대한질적연구학회지, 6(2), 96-109.
구미지 (2021).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임상간호연구, 27(1), 109-119.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ssociation.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ssociation; [Cited 2019. September 10].
Lin L. Comparison of risk management in Taiwan and the USA.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6;14(3):222–226. [doi: 10.1111/j.1365-2934.2006.00559.x|]
Gwen S, Jane B. In: Oh JA, Shin HW, Kang JA, Jennie CQuality and safety in nursing - A competency approach to improving outcomes -. Seoul: Soomoonsa; 2015.
이명애. (2017). 환자 안전관리: 정확한 환자 확인. 대한소화기내시경간호학회지, 25(2), 35-38.
호기. (2015). 환자안전을 위한 환자확인의 개념과 중요성.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1975(8456), 2093-5951.
표지희, 이원, 최은영, 장승경, 옥민수, 이상일. (2018). 일반인 대상 환자안전 교육을 통한 환자안전 및 환자 참여에 대한 인식 증진: 예비 연구. 대한보건연구, 44(3), 65-88.